글
‘미디어 공공성’ 대토론회 8人 “통제맞선 공공성 사수”
![]() |
기존의 공영방송에 대한 불신감이 1인 미디어와 수십만의 네티즌을 만들어냈다. KBS와 MBC가 당연히 해야 할 것도 안 하고 있다가 이번에 운이 좋아서 시민들이 그들에 대해 환호하고 있는 것이다. 두 방송사가 침묵하는 바람에 한·미 자유무역협정(FTA)과 쇠고기 협상이 타결된 것이다. 방송사는 매번 부족한 제작비 타령을 하지만 소규모 인터넷 업체들은 노트북 컴퓨터, 디지털 카메라 등만 가지고 대형 방송사가 하지 못한 걸 이뤄냈다.
KBS와 MBC 등 지상파 공영방송은 이제 말로만 ‘국민의 방송’을 외치지 말고 시민들이 감동할 만한 프로그램을 내놓아야 한다. 지상파 방송을 탄 프로그램이 인터넷으로 들어가는 게 아니라 국민들이 인터넷에 올린 콘텐츠가 지상파를 탈 수 있도록 기존의 방송 틀 자체를 깨야 한다.
김승수 전북대 신문방송학과 교수“방통위 정치적 투명성 절실”
인터넷과 공영방송은 우리가 자랑할 만한 자산이다. 특히 공영방송은 상대적으로 볼 때 정치적으로 독립돼 있고 비판 능력을 갖고 있다. 그래서 집권층이 이를 빼앗으려고 하는 것이다. 거꾸로 얘기하면 공영방송은 국민에게 진실의 무기다. 확고부동한 수호 의지가 필요하다.
![]() |
강혜란 한국여성민우회 미디어운동본부 소장 “공영방송 스스로 권력 내놔야”
이명박 정권은 인터넷을 통한 우리 서로간의 소통을 막으려고 안간힘을 쓰고 있다. 방통위, 검찰, 경찰을 통해 무시무시한 압력을 넣고 있다. 그러나 네티즌들은 정권이 도저히 따라잡을 수 없는 방식으로 대응하고 있다.
![]() |
손석춘 새로운 사회를 여는 연구원 원장 “ 내부 구성원들 뼈 깎는 성찰을”
공영방송이 현재 제 역할을 하고 있는가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고 싶다. 우리 공영방송은 모든 정권 때마다 당시 대통령의 통치 행태와 유사한 모습을 보여줬다.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체결에 비관해 노동자·농민이 분신자살을 할 때, 도시 빈민들이 생활고에 못 견뎌 집단자살을 할 때,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공권력에 의해 폭력을 당할 때 MBC와 KBS는 어디에서 무엇을 하고 있었는가. 시민들은 촛불시위를 하며 공영방송 수호를 외치고 있지만 ‘공영방송 바로 세우기’로 재정립하는 게 옳다. 공영방송다운 공영방송이 되기 위해서는 내부 구성원들의 성찰이 필요하다. 정부를 견제하는 프로그램을 몇 개 만들었다고 해서 소임을 다 했다고 생각해서는 안 될 일이다.
![]() |
공영방송 위기의 가장 근본적인 원인은 종사자들의 잘못이다. MBC PD수첩에서 쇠고기 문제를 다뤘지만 종사자 누구도 PD수첩이 공을 세웠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시민사회가 만들어 놓은 밥상에 숟가락만 얹었을 뿐이다.
우리는 단 하나의 단초 정도를 제공한 것이다. 다만 공영방송에 대한 국민들의 눈높이가 너무 높은 것 같다. 책무와 의무만 강조했지, 재원 지원이 부족하다. 그래서 자발적 상업화로 나가고 있는 상황이다. 시민사회의 감시와 비판이 절실하다.
![]() |
정연구 민언련 공동대표·한림대 언론정보학과 교수 “정부가 매체 선전수단화 기도”
정부가 공공부문 민영화을 유예하겠다고 하고, 광우병 쇠고기 문제도 조금 더 ‘눈속임’을 하고 있는 것 같다. 그러나 사람들이 시들해졌을 때 낙하산 인사뿐 아니라 법까지 바꿔서 완전히 모든 매체를 선전수단화해놓고 다시 하나씩 해나갈 것 같은 걱정이 든다. 이제 프레임을 바꿔야 한다. 대통령에게 가서 바꿔달라고 하지 말고, 직접 기업을 상대로 해서 물건을 안 사면 된다. 직접 해결할 수밖에 없는 구도다. 그렇게 해서 좀 바뀌었다고 치자. 그 이후에 어떻게 될 것인가. 결국 잘 먹고 잘 살고 싶다는 그런 문화를 바꾸지 않으면 반복된다. 시간적으로나 정신적으로 좀더 여유있게 살고 싶어 하는 방향으로 한국 사회의 체질을 바꿔서 문제가 반복되는 토양 자체를 바꿔야 한다.
![]() |
지상파 방송의 공공성과 독립성 유지 문제가 내부 구성원의 어깨에 달려 있다는 의견은, 사실적으로도 옳지 않고 그렇게 돼서도 안 된다는 견해를 갖고 있다. 과거의 언론 발전 과정을 보면 내부 소통이 되지 않아 언론 자유의 신장이 되지 않은 적은 없다. 물론 일정 부분은 내부 구성원들에게 책임을 물을 수 있지만 모든 부분의 책임을 구성원들에게 전가시켜서는 안 된다고 생각한다. 외부의 견제와 감시도 매우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이다. 포털 다음의 아고라와 같이 전문성으로 포장된, 제도권 언론이 아닌 곳에서 끊임없이 비판해야 공영방송이 제대로 된 역할을 할 수 있다. 같은 맥락에서 KBS 노조 집행부는 자신들의 회사를 담지할 능력이 없으면 물러나야 한다.
최상재 전국언론노동조합 위원장 “KBS 사장 선출 공개논의 필요”
![]() |
- 대한민국 희망언론! 경향신문, 구독신청(http://smile.khan.co.kr) -
ⓒ 경향신문 & 경향닷컴(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경향닷컴은 한국온라인신문협회(www.kona.or.kr)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 |
RECENT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