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파워콤, 과도한 경품-현금 제공...'불법 영업은 진행중?'

기사입력 2008-06-23 11:51 |최종수정2008-06-23 12:25
◇ LG파워콤이 "규제를 한다"는 공식적인 입장과는 달리 불법적인 경품 공세와 텔레마케팅을 지속하고 있어 말썽이다.
 '말로는 규제, 실제로는 방치?'

 LG파워콤의 과도한 불법 경품공세가 끊임없는 지적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지속되고 있어 눈살을 찌푸리게 하고 있다. LG파워콤 본사에서는 "모니터링을 계속 하고 있다"는 앵무새같은 답변만을 되풀이하고 있다.

 지난 주말 서울 용산 전자상가 일대에선 길가는 행인들이 20만원의 현금과 과도한 경품을 내세운 전단지 공세에 시달려야 했다. 한달전 스포츠조선에서 지적(5월 20일자 31면)한 상황과 달라진 게 하나도 없었다.

 전단지의 내용도 똑같았다.

 LG파워콤측에 이같은 상황을 다시 얘기해주자, "본사와는 관계없는 하부 대리점의 무분별한 영업 탓"이라며 "원칙을 지키도록 계속 얘기하곤 있지만, 워낙 어려운 부분"이라며 마치 모범답안에 있는 내용을 얘기하듯 똑같은 답변을 했다.

 "한달전에도 조사를 한 뒤 조치를 취하겠다고 하지 않았느냐. 일부러 방치하는 것 아니냐"고 되묻자, 이 관계자는 "삼진아웃제를 적용해 계약관계를 끊도록 조치하고 있다. 하지만 유통구조상 어려운 부분이 많다"고 말했다.

 LG파워콤측은 다른 업체도 비슷한 이벤트를 수시로 하고 있을 것이라고 변명하고 있다. 그러나 해당지역에서 경쟁업체들의 고객유치 전단지는 전혀 발견할 수 없었다.

 현행 공정거래위원회의 경품고시에 따르면 상품가격의 10%를 넘는 경품이나 현금을 지급한 경우 엄연한 불법에 해당한다.

 이 뿐만 아니다. 고객정보유출 파문으로 경쟁업체들이 텔레마케팅(TM) 영업을 잠정 중단한 상태에서도 LG파워콤은 오히려 더 적극적인 마케팅을 펼치며 고객 유치에 안간힘을 쏟고 있다.

 수시로 들어와 수신자를 귀찮게 하는 LG파워콤의 문자메시지는 "LG파워콤 현금 이벤트/인터넷 설치 가입시 현금 20만원지급/전화 또는 문자 주세요"라는 글귀가 적혀 있다.

 발신번호로 전화를 걸어 "휴대폰 번호를 어떻게 알았느냐"고 묻자, 발신자는 "휴대폰 뒷번호를 무작위로 설정해 보낸 것 뿐이다. 귀찮게 했으면 죄송하다"며 황급히 둘러댔다.

 LG파워콤측에 상황을 설명하자 "우리는 모르는 일이다. 발신번호를 알려주면 조사를 해보겠다"고 말했다.

 이같은 불법영업으로 인한 피해는 고스란히 소비자들에게 돌아가고 있어 문제다. 과다 경품을 받은 뒤 해약할 때나 불이행에 따른 피해는 이용자가 모두 부담해야 한다.

 소비자보호원의 인터넷상담목록(전화제외)에는 올들어서만 모두 60건의 민원이 올라있으며, 해지에 관한 민원이 가장 많았다. 한달전에 비해 회원수가 100여명 늘어난 안티파워콤(cafe.naver.com/antipowercom)에도 비슷한 내용의 민원이 끊임없이 올라와 소비자들의 주의가 요구되고 있다.

 지난해 15만원을 받고 LG파워콤에 가입한 A씨는 이사를 한 뒤 다른 내용의 초고속 인터넷 상품이 들어와 해지를 신청했지만, 위약금을 내야 한다는 얘기를 들었다. 정씨는 "이사하고 나서 동일한 회선이 아닐 경우 위약금없이 해지할 수 있다고 들었다. 대기업이 이런 식으로 소비자를 우롱하는 지 이해할 수 없다"며 민원을 제기했다.

 지난 1월 6개월이 지나면 사은품(13만원) 위약금이 없다는 말을 믿고 신규가입한 B씨는 집안 사정으로 해약을 하기 위해 위약금 여부를 물었다. 그러나 당초 약속과는 달리 "1년이내 해지시 사은품 위약금이 부과되며, 설치비와 할인반환금까지 합쳐 23만원을 내야 한다"는 고객센터의 답변을 들은 A씨는 억울한 상황을 안티파워콤 게시판에 호소했다.

 업계 관계자는 "LG파워콤은 현재 통신업체의 악재로 자숙해야 되는 분위기에도 아랑곳없이 '나홀로 행보'를 지속하며 고객확보에 열을 올리고 있다"며 "경쟁사의 어려운 틈을 타 가입자를 빼앗으려는 얄팍한 술수라고 밖에 이해할 수 없다"고 꼬집었다.

by 100명 2008. 6. 23. 1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