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신문]서울대 전산망이 올 상반기에 하루 두 번꼴로 해킹을 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해킹이 늘고 있는 것도 그렇지만 해킹기법이 고도화하면서 문제점을 치료하고 침입을 차단하는 비율이 낮아지고 있다는 것도 문제다.
7일 서울대 정보화본부에 따르면 올 1∼6월 서울대에서 발생한 해킹은 월 평균 66건으로 지난해 40건에 비해 65%가 늘었다. 서울대 해킹은 2004년 월 평균 12건을 기록한 이후 해마다 가파른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올해 해킹사례 가운데 취약점을 발견해 치료하고 차단조치를 한 경우는 월 평균 27건으로 전체 해킹사례의 40.9%에 불과했다. 해킹 처리율은 2004년 66.7%, 지난해 52.5% 등 갈수록 낮아지고 있다.
서울대 관계자는 “학교 규모가 워낙 클 뿐 아니라 크고 작은 연구소들이 밀집해 있다 보니 해킹이 자주 일어날 수밖에 없다. 하지만 스팸메일 경유지로 이용되는 낮은 수준의 해킹일 뿐, 개인 정보가 유출될 정도로 위험한 수준의 해킹은 발생하지 않았다.”고 해명했다.
현재 서울대 도메인(seoul.ac.kr)을 사용하는 컴퓨터 4만 7000여대 가운데 서버로 활용되고 있는 컴퓨터는 약 4000대에 이른다. 그러나 4000대의 서버용 컴퓨터 중 상당수가 운영자들에 대한 보안교육은커녕 최소한의 방화벽조차 갖추고 있지 않은 상태다.
이 때문인지 서울대 전산망은 해킹뿐만 아니라 바이러스 침투에도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올 1학기 바이러스 감염건수는 월 25건이며 이 중 평균 4건을 치료, 처리율이 16%에 불과했다.
RECENT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