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관 30% 2007년에 필름 안건다
[중앙일보 2006-09-18 19:08]

[중앙일보 김원배] 필름 없는 영화관 시대가 본격 개막된다.

국내 최대 통신업체인 KT와 복합 영화관을 운영하는 롯데시네마.씨너스.MMC 세 업체는 18일 전략적 제류를 통해 연말까지 100여 개 스크린(상영관)에 디지털 시네마 시스템을 설치하기로 했다. 이는 디지털 방식으로 촬영한 영화를 필름으로 만들지 않고 파일 형태로 영화관에 전송해 디지털 영사기로 상영하는 것이다. 이들 업체는 내년까지 이 시스템이 들어간 스크린 수를 500개로 확대할 계획이다. 이는 국내 스크린의 30%에 해당한다.

기존의 아날로그 필름 방식은 상영관 수에 맞춰 필름을 복사해 영화관에 날라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필름 복사 비용은 개당 200만~300만원으로 영화를 500여 개 스크린에서 동시 개봉하려면 필름 복사비만 10억원 넘게 들었다. 디지털 시네마 시스템을 갖추면 영화 파일을 서버에 저장해 놓고 영화관에 전송만 하면 된다. KT는 초고속 광 통신망을 이용해 200~300 GB 정도인 영화 파일을 영화관에 보낼 계획이다. 관객들도 더 좋은 화질의 영화를 감상할 수 있다. 상영을 거듭하면 화질이 떨어지는 아날로그 필름과 달리 디지털 파일은 여러 번 상영해도 화질이 나빠지지 않는다. 영화 제작 방식에도 변화가 올 것으로 보인다. 영화를 필름 형태로 제작하기보다 아예 디지털 방식으로 촬영하는 경우가 늘어날 것이라는 이야기다. KT 솔루션사업본부의 임장미 부장은 "디지털 방식의 영화는 TV와 인터넷 등 다양한 매체에 맞게 쉽게 변환할 수 있다는 장점이 크다"고 설명했다.

CJ CGV도 디지털화에 적극적이다. 이 회사는 이미 전국 284개 스크린에 디지털 영사기를 설치하고 영화 파일이 든 하드디스크(HDD)를 연결해 상영할 수 있는 채비를 갖췄다. 3월엔 국산 영화 '마법사들'을 서울 강변.상암과 인천,부산 서면 등 네 군데 영화관에 디지털 파일로 전송해 상영하기도 했다.

by 100명 2006. 9. 19. 08: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