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 차 -
1. 극장 영화시장 일반지표
2. 영화 취향
3. 영화 관람 행동 유형
4. 문화 생활
5. 영화 관련 현안 및 기타


동 관객조사는 전국 6대 도시(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와 경기도 거주 만 14세 이상 49세 이하의 대한민국 남녀 1,800명을 대상으로 2005년 12월 한 달 동안 실시되었으며 (조사대행 : 현대리서치연구소) 매년 1년 단위로 한국 영화 관람객의 기본적인 성향을 조사, 분석하여 영화제작 및 마케팅의 기초 자료에 활용되고 있다.

이번 설문조사가 2004년에 비해 크게 달라진 점은, 전국 6대 도시를 기준으로 했던 기존의 조사에서 최근 상대적으로 높은 비율의 관객 수를 차지하고 있는 경기도 지역의 관람객을 포함시켜, 수도권 지역의 관람 성향을 별도로 분석했다는 것과 최근의 매체 변화와 주5일 근무제 시행 등의 환경변화가 영화 관람행동에 미치는 영향 등의 현안에 초점을 맞춘 것이다.

○ 극장 영화시장 일반지표
전국 6대 도시와 경기도에 거주하고 만 14세 이상 49세 이하 인구의 극장 영화 관람 경험률은 71.4%로 전년대비 3.7%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전체 조사대상의 1년간 관람편수는 5.76편으로 2004년에 비해 1인당 0.19편이 늘어나 총 관람횟수는 증가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전년도 개봉작 <실미도>, <태극기, 휘날리며>와 같은 흥행대작들의 중장년층 관객이 올해 다소 축소된 것이 요인인 것으로 파악된다.

○ 영화취향
- 한국 영화관객들이 가장 선호하는 영화 장르는 코미디 23.4%, 액션 21.8%, 애정/멜로 17.3% 순으로 나타났으며 Heavy User층이 선호하는 영화 장르는 코미디 23.4%, 애정/멜로 20.1%, 액션 17.3% 순으로 조사되었다.
- 선호하는 영화 국적에 관해서는 1순위 응답으로 한국영화가 64.3%로 과반 수 이상이 응답하였으며 미국영화는 22.5%, 유럽영화, 중국/홍콩영화, 일본영화 등은 5% 이하의 낮은 선호율을 보였다.

○ 영화 관람 행동 유형
- 주요 영화 관람 동기는 보고 싶은 영화가 있어서(36.5%), 타인이 권유해서(19.5%), 기분전환/시간보내기(13.4%) 등으로 나타났다.
- 관람영화 선정 시 가장 중요한 요인은 영화의 스토리, 주변사람들의 영화평, 영화관 위치 등의 순이며
- 영화에 관한 정보 취득에 관해서는 인터넷을 이용한 비율이 42.5%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TV(29.1%), 주변사람(15.1%) 순인 것으로 조사됐다.
- 영화관을 선택하는 기준으로는 영화관의 위치가 59.3%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스크린 등 상영시설은 21.8%, 부대편의 시설은 10.6%, 영화관의 분위기는 6.9% 등으로 나타났다. 이는 최근 멀티플렉스 등을 통해 변화된 극장환경을 반영하는 것으로 보인다.
- 영화 관람 동반자는 동성친구(40.6%), 이성친구(22.7%), 배우자(21.2%), 가족 (11.5%), 혼자(3.5%) 등의 답변이 많았다.
- 또한 서울 및 인근지역 영화 관객의 영화관람 지역에 관한 질문에서는 도심지역(20.5%), 강남서권역(20.1%), 강북동권역(18.1%), 강북서권역(16.7%), 강남/서초권역(14.7%) 등으로 조사되었는데, 이는 과거 종로와 충무로 등의 도심지역으로 밀집되어 있던 극장가가 최근 늘어난 멀티플렉스의 등장으로 각 지역별로 다양하게 분산되는 경향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 문화생활
- 조사대상의 월 평균 문화생활 시간은 전체 평균 429분(7시간 9분) 정도이며, 2004년도 229분(3시간 49분)에 비해 2시간 20분 늘어난 것으로 조사되었다.
- 또한 전체 문화 생활비 중 영화 관람비가 차지하는 비중은 전체 평균 14.0%로 전년도에 비해 9.4% 정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주 5일 근무제 시행 등으로 인해 다양한 방식으로 여가생활을 소비하는 최근의 생활양식의 변화와 상관된 것으로 보인다.
- 주 5일 근무제 시행과 관련하여 변화된 여가 시간을 어떻게 활용하는가에 대한 질문에는 39%가 5일 근무제와 무관하다고 답했으나 여가시간에 문화활동을 하는 이들 중에는 다수가 여행을 가거나(16.5%) 극장에서 영화를 본다(13.7%)는 답변을 하였다.

○ 입장권 구입 방법
- 입장권 구입 방법은 당일 극장에서 구입하는 비율이 73.3%, 인터넷 예매 19.5%, 1~2일전 극장에서 예매 4.3%, 전화 예매 2.6% 등으로 전년도 결과와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입장권 할인 경험률
- 입장권 구입 시 할인을 받은 경험률은 통신회사 멤버쉽 카드를 통해 영화 관람료를 할인 받은 경험률이 49.0%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신용카드 이용해 할인 받은 경험률은 19.7%, 극장 멤버쉽 카드로 할인 받은 경험률은 10.0%로 나타났다.

○ 타 매체를 이용한 영화관람
- 영화 관람 시 극장관람이 아닌 다른 매체를 통해 영화를 본 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사람은 전체 중 86.3%였고, 다른 매체를 통해 영화를 봤다는 경험자 중 어떤 방법을 이용했는지에 대해서는 TV가 21.8%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는 비디오가 19.8%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 스크린쿼터제 시행에 대한 의견
- 스크린쿼터제 시행에 대해서는 유지되어야 한다는 의견이 전체 응답자의 69.3% (2004년 73.6%), 축소되어야 한다는 의견은 16.6%, 폐지되어야 한다는 의견은 14.1%로 나타났다.

2005년도영화관객성향조사보고서(수도권).hwp

2005년도영화관객성향조사보고서(서울).hwp

by 100명 2006. 2. 22. 07: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