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헐리우드 침략,한국 영화인 뭉치다” 전세계 언론 집중 보도
[쿠키 문화] ○…“헐리우드의 침략에 한국 영화인들이 뭉쳤다.”
전세계 주요 외신들이 한국의 스크린쿼터 축소를 둘러싼 논란을 집중 보도했다. 로이터와 AFP,AP,UPI,블룸버그,신화통신 등 외신들은 1000여명의 한국 영화인들이 스크린쿼터 축소 방침에 반대하며 서울 시내에서 가진 가두시위를 8일자로 전했다.
로이터는 “한국은 미국의 무역 거래에 대항하여 영화 제작을 전면 중지” 라는 제목을 시작으로 정부의 축소 결정에 대항하기 위해 수십 명의 유명 영화배우들과 수백 명의 영화 종사자들이 시위를 벌였다고 보도했다. 로이터는 한국 정부의 재정적인 보조 약속에도 불구하고 한국 영화인들은 스크린쿼터 축소를 한국 문화에 대한 헐리우드의 공격으로 간주하고 싸우기를 결의했다고 덧붙였다.
AFP는 “한국 영화배우들 헐리우드 침략에 대항해 집회 개최”의 제목으로 “문화 침략을 허용하는 굴욕적인 협상을 중단하라” 고 적힌 플래카드 아래서 1000여명의 영화 제작자 영화배우 그리고 배우들이 모였으며 한국의 영화 산업은 정부의 축소 방침을 반 문화적 쿠데타로 비난했다고 보도했다.
AP 통신은 “한국,스크린쿼터 축소 방안에 반대하는 영화인 집회”를 제목으로 이번 FTA 협정이 미국에 있어서도 1993년에 체결된 북미자유무역협정(NAFTA) 이래로 가장 큰 규모의 무역 협정이 될 것이라고 소개했다. 이어 ‘올드 보이’로 외국에서도 유명한 최민식 씨가 “우리는 지금 영화와 문화를 두고 미국과의 전쟁을 치르고 있다“는 말과 문화 훈장을 반납한 일을 기사에 실었다.
블룸버그는 “한국인들은 쿼터 감소를 비난한다”는 제목으로 “나는 미국 영화의 평론가가 아니라,대한민국 영화의 평론가로서 살고 싶다"라고 적힌 표지판을 들고 자유무역협정 ‘FTA’ 라고 꾸며진 큰 금속 철장 안에 서 있던 영화 평론가 양윤모 씨의 집회 모습을 실었다.
UPI는 “한국의 영화 제작자들은 쿼터 축소에 분노했다”를 제목으로 오는 7월부터 발효될 쿼터 축소에 반대하기 위해서 한국 영화인들이 영하 14도에서 시위를 했다고 보도했다. 또 안성기 씨의 “쿼터를 축소하는 것은 마치 피어나기 시작하는 꽃봉오리를 잘라버리는 것과 같다”는 말도 전했다.
중국 신화통신은 “한국,스크린 쿼터 축소에 반대하는 영화인 집회”의 제목으로,영화인들이 공동 성명서를 통해 “오만불손한 미국의 요구에 한국 정부가 무릎을 꿇었다”고 탄식했다면서 한국 정부의 스크린쿼터 축소 발표는 양국의 자유 무역 협정의 선제 조건으로 지정한 미국의 압력 하에 이뤄졌다고 보도했다.
한편 ‘문화침략 저지 및 스크린쿼터 사수 영화인대책위’는 스크린쿼터 사수를 위해 영화배우 문소리와 ‘꽃섬’,‘거미숲’의 감독 송일곤씨가 13일 오후 1시부터 5시까지 광화문 사거리 교보빌딩 앞에서 동시다발적인 1인 시위를 벌인다고 밝혔다. 국민일보 쿠키뉴스팀,자료 제공=‘문화침략 저지 및 스크린쿼터 사수’ 영화인대책위
[쿠키 문화] ○…“헐리우드의 침략에 한국 영화인들이 뭉쳤다.”
전세계 주요 외신들이 한국의 스크린쿼터 축소를 둘러싼 논란을 집중 보도했다. 로이터와 AFP,AP,UPI,블룸버그,신화통신 등 외신들은 1000여명의 한국 영화인들이 스크린쿼터 축소 방침에 반대하며 서울 시내에서 가진 가두시위를 8일자로 전했다.
로이터는 “한국은 미국의 무역 거래에 대항하여 영화 제작을 전면 중지” 라는 제목을 시작으로 정부의 축소 결정에 대항하기 위해 수십 명의 유명 영화배우들과 수백 명의 영화 종사자들이 시위를 벌였다고 보도했다. 로이터는 한국 정부의 재정적인 보조 약속에도 불구하고 한국 영화인들은 스크린쿼터 축소를 한국 문화에 대한 헐리우드의 공격으로 간주하고 싸우기를 결의했다고 덧붙였다.
AFP는 “한국 영화배우들 헐리우드 침략에 대항해 집회 개최”의 제목으로 “문화 침략을 허용하는 굴욕적인 협상을 중단하라” 고 적힌 플래카드 아래서 1000여명의 영화 제작자 영화배우 그리고 배우들이 모였으며 한국의 영화 산업은 정부의 축소 방침을 반 문화적 쿠데타로 비난했다고 보도했다.
AP 통신은 “한국,스크린쿼터 축소 방안에 반대하는 영화인 집회”를 제목으로 이번 FTA 협정이 미국에 있어서도 1993년에 체결된 북미자유무역협정(NAFTA) 이래로 가장 큰 규모의 무역 협정이 될 것이라고 소개했다. 이어 ‘올드 보이’로 외국에서도 유명한 최민식 씨가 “우리는 지금 영화와 문화를 두고 미국과의 전쟁을 치르고 있다“는 말과 문화 훈장을 반납한 일을 기사에 실었다.
블룸버그는 “한국인들은 쿼터 감소를 비난한다”는 제목으로 “나는 미국 영화의 평론가가 아니라,대한민국 영화의 평론가로서 살고 싶다"라고 적힌 표지판을 들고 자유무역협정 ‘FTA’ 라고 꾸며진 큰 금속 철장 안에 서 있던 영화 평론가 양윤모 씨의 집회 모습을 실었다.
UPI는 “한국의 영화 제작자들은 쿼터 축소에 분노했다”를 제목으로 오는 7월부터 발효될 쿼터 축소에 반대하기 위해서 한국 영화인들이 영하 14도에서 시위를 했다고 보도했다. 또 안성기 씨의 “쿼터를 축소하는 것은 마치 피어나기 시작하는 꽃봉오리를 잘라버리는 것과 같다”는 말도 전했다.
중국 신화통신은 “한국,스크린 쿼터 축소에 반대하는 영화인 집회”의 제목으로,영화인들이 공동 성명서를 통해 “오만불손한 미국의 요구에 한국 정부가 무릎을 꿇었다”고 탄식했다면서 한국 정부의 스크린쿼터 축소 발표는 양국의 자유 무역 협정의 선제 조건으로 지정한 미국의 압력 하에 이뤄졌다고 보도했다.
한편 ‘문화침략 저지 및 스크린쿼터 사수 영화인대책위’는 스크린쿼터 사수를 위해 영화배우 문소리와 ‘꽃섬’,‘거미숲’의 감독 송일곤씨가 13일 오후 1시부터 5시까지 광화문 사거리 교보빌딩 앞에서 동시다발적인 1인 시위를 벌인다고 밝혔다. 국민일보 쿠키뉴스팀,자료 제공=‘문화침략 저지 및 스크린쿼터 사수’ 영화인대책위
RECENT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