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시네마 수혜 1순위 '서버와 프로젝터'
디지털시네마비전위원회가 2010년까지 스크린의 절반을 디지털화하겠다는 야심찬 계획을 발표함에 따라 관련 장비 시장에 미칠 영향이 주목된다.

가장 먼저 수혜를 입는 곳은 기존 영사기와 필름을 대신할 시네마 프로젝터와 영화 파일을 저장할 스토리지, 상영용 서버 등이 꼽히고 있다. 그외 카메라 등 제작 관련 장비들이 업그레이드 수요도 만만치 않을 전망.

하지만 장비를 도입해야할 극장이나 영화 제작사 등의 투자 능력의 제한에 따라 시장 확대도 어느 정도 한계가 예상된다는 지적도 있다.

◆ 프로젝트, 서버 5년간 1천억 원대 시장 열릴 듯

영화진흥위원회 이왕호 영상전략팀장은 "기종과 사양, 브랜드에 따라 가격차는 존재하지만, 현재 상영관을 디지털화하는 데는 통상 1억 원 안팎의 프로젝터와 5천만 원 선의 서버 구입 비용이 필요하다"고 설명한다.

지난해 기준 국내 스크린 총수는 1천 400개.

따라서 21일, 비전위원회가 제시한 '2010년 국내 스크린 절반 디지털화' 목표가 계획대로 추진된다면 스크린당 1억5천만원 씩 700개 이상의 스크린에 장비 교체 수요가 발생한다는 계산이 나온다.

이 계산대로라면 앞으로 5년 간 스크린 디지털화 과정에서 프로젝터와 서버 발주만으로 형성될 시장 규모는 줄잡아 1천억원 이상이다.

영진위 측은 여기에 해당 기간 동안 스크린 증가분을 고려, 2010년까지 많게는 1천개에 이르는 스크린을 디지털화 한다는 목표로 관련 정책을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따라서 프로젝터 및 서버 시장의 규모는 보다 확장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영화를 찍는데 사용되는 카메라 부분도 상당량 재도입이 필요하다. 영화 촬영용 디지털 카메라의 현재 국내 보유 현황은 약 100대 미만으로 추산된다. 일부 영화제작사들은 소니 등 장비 업체로 부터 카메라를 빌려 사용하고도 있다. 대당 5억 원 안팎의 디지털 카메라가 제작 현장에 본격 보급된다면 관련 장비 시장 규모는 껑충 뛰어 수천억 원대로 성장할 가능성이 높다.

이외에 이미 상당부분 디지털화돼 있는 녹음, 편집 등 후반작업에 필요한 장비들의 업그레이드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미국 DCI(디지털 시네마 이니셔티브)가 규정한 디지털시네마 표준, 즉 최소 2k급 이상의 디지털시네마를 구현하는 데는 보다 업그레이드 된 사양의 후반작업 장비 수요가 발생할 것 이라는 게 영진위 측 의견이다.

◆ 장비 대부분 외산, 국내업계 수혜 가능성 적어

이같은 장비 시장 훈풍 예감에 따라 업계에서도 디지털시네마 시장 확대를 준비하고 있다. 그렇지만 대부분의 핵심 장비가 외산이어서 국내 업체들이 시장을 확보하기는 어려운 상황.

프로젝터만 해도 미국 큐비스사와 벨기에 바코사, 싱가폴의 GDC를 비롯 크리스티, 소니, NEC, 파나소닉 등이 세계 시장을 장악했고 국내서도 그들만의 경쟁을 벌이고 있다.

프로젝터의 핵심 부품을 생산중인 텍사스 인스트루먼트(TI)도 프로젝터 시장 확대의 수혜 1순위 업체다.

TI는 시네마 프로젝터 핵심 기술인 DLP(Digital Light Processing)를 위한 반도체를 개발했다. DMD라 불리는 이 칩이 사용된 바코, 크리스티, NEC 3사의 프로젝터는 이미 세계 220여 개 이상의 상영관에서 영화를 상영중이다.

TI외에 소니의 반격 기세도 만만치 않다.

소니는 할리우드 관계자들이 디지털시네마의 가능성을 타진하기 시작했던 지난 2000년 경 장비를 비롯 표준화 작업에까지 관심을 보이며 업계 선발로 시장에 집중해왔다. TI가 프로젝터 분야에만 집중돼있다면 소니는 카메라 부터 프로젝터로 이어지는 수직 라인도 형성하고 있다.

서버 업체들 중에서도 시네마용 서버 사업을 추진 중인 기업들이 등장하고 있다. 대표적인 HPC업체 실리콘그래픽스, 국내 업체 싸이더스 등이 시네마용 서버 공급을 추진 중이다. 실리콘 그래픽스는 미국 본사차원서 시네마 서버 시장을 공략 중이다.

이에 대해 영진위 측은 "PC 기반 디지털시네마 서버 등 관련 장비 시장에 관심을 두는 국내 기업도 있는 것으로 안다"고 설명했다.

◆극장 등 투자 여력이 문제

반면 영화 업계에서는 전반적인 시장 성장가능성을 점치는 시각에도 불구하고, '냉철한 상황판단'을 요구하는 목소리도 들려온다.

영사기와 카메라를 사다 쓰는 '선택권'을 가진 영화관, 영화제작사 등 현장 관계자들이 움직여야 하는데 그러기 위해서는 구매력이 관건이라는 것. 투자 재원이 있어야 한다는 말이다.

실제로 21일 디지털시네마 비전위원회의 중간보고 자리에서 메가박스 이진일 운영본부장은 "(상영관 디지털화는)중복투자를 감수해야 하는 일"이라며 "디지털 영화 시장 규모가 투자를 감수해야 할 만큼 늘어나주지 않는다면, 민간 사업자로서는 디지털시네마 작업에 동참하는 것이 녹록치 않은 일"이라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CJ엔터테인먼트 최평호 상무도 "제작비 증감에 민감하게 반응할 수 밖에 없는 투자배급사 입장에서는 디지털시네마가 고화질 구현 등의 순기능이 많다고 해도 비용부담에 대한 고민을 하지 않을 수 없다"며 유보적인 입장을 보였다.


by 100명 2005. 11. 24. 1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