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신문 2005.07.12

나노소자와 소재 등 첨단 나노기술을 종합적으로 연구개발하기 위해 만들어진 국내 유일의 국가나노종합팹센터가 민자 유치 등 기금 출연 확보에 실패, 이달부터 착수하기로 예정된 2단계 조성사업이 위기를 맞는 등 흔들리고 있다.

 11일 과학기술계 및 정부출연연구기관 등에 따르면 나노종합팹센터는 올해부터 오는 2008년까지 3년간 정부 예산 327억원과 민간 출연금 400억원 등 총 732억원의 예산을 확보해야 정상적으로 운영할 수 있지만 민간 출연금 확보가 쉽지 않은 상황이다.

 애초 나노종합팹센터는 정부와 장비 임대 등을 통해 운영예산을 스스로 마련하기로 했으나 기금확보에 실패하면서 어려움이 예상되고 있다. 이처럼 나노종합팹센터의 장비 안정화 작업이 지연될 상황에 처한데다 최근 각 지자체가 잇따라 나노팹센터 설립을 추진해 치열한 경쟁구도마저 예고하면서 존립여부에 대한 위기감까지 고조되고 있다.


 ◇팹센터 예산확보난=나노종합팹센터가 2단계 사업을 위해 당장 확보해야 할 민간 투자분은 대략 400억원이다. 그러나 위성랩으로 참여하며 9년 간 각각 40억∼150억원씩의 기금을 출연하기로 했던 8개 출연연구기관 가운데 확답한 기관은 원자력연, 기계연, 지질연 등 3개 뿐이다.

 지난 2002년 1단계 사업에 착수한 나노종합팹센터는 지난달까지 사업비 1120억원을 들여 140여종의 장비를 확보하고 일부 장비의 서비스에 들어갔다.

 ◇경쟁자도 우후죽순=더 큰 문제는 우후죽순 식으로 설립되고 있는 타 지역 나노팹과의 차별화를 통한 경쟁력 강화 가능성 여부다. 팹간 차별화를 도출하기 못할 경우 공급 초과로 공멸의 위기를 맞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최근 나노팹센터의 설립이 추진되고 있는 지역은 수원의 나노특화팹센터를 비롯한 포항, 광주, 전주 등이다. 이에 따라 나노팹센터의 이용자를 둘러싼 회원 확보전이 치열할 것으로 학계 및 업계는 내다보고 있다.

 나노종합팹센터 측이 지난 달 나노팹 이용자협의회 창립총회와 네트워크 구축을 서두른 것도 이같은 맥락에서 이해되고 있다.

 ◇활성화 대안없나=나노 전문가들은 나노종합팹센터의 포괄적인 종합지원 기능이 오히려 센터 활성화의 발목을 잡을 수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1단계 사업으로 구입한 장비의 안정화 작업도 관건이다. 설치는 해 놓았지만 여전히 상당부분은 시험상태에 놓여있거나 시험과 서비스를 병행하고 있다.

 나노기술 분야의 한 전문가는 “대학지원 기능으로 특성화한 포항지역이나 반도체 및 LCD 등으로 특화한 수원 특화팹처럼 나름의 고유색을 찾아야 할 것”이라며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돈되는’기업을 얼마나 확보하느냐에 따라 성패가 좌우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대해 나노종합팹 관계자는 “수익모델을 다양화하기 위해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등 나름대로 수익화 방안을 고민하고 있다”며 “경쟁관계를 갖게 될 과학기술부·산업자원부 간의 무분별한 나노팹 설립도 향후 문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대전= 박희범기자

by 100명 2005. 7. 13. 08: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