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빼올 땐' 신났는데 '뺏기니' 열받은 KT?

KT 보조금 딴지에…SKT·LGU+ "가입자 뺏기니 시정과열 문제 제기는 어불성설"

'불법 보조금'에 따른 처벌 차원에서 이뤄졌던 이통 3사의 순차적 영업정지가 결국 또다시 불법 보조금으로 고객 쟁탈전을 벌이는 진흙탕 싸움을 불러왔다.

KT가 경쟁사인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가 최대 100만원 수준의 단말 보조금을 지급한다고 비난하면서 불법 보조금 논란이 재점화 되고있다.

KT는 6일 긴급 브리핑을 열고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가 과도한 리베이트를 지급하며 시장 혼란을 주도 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KT는 “양사는 새정부 조직이 불안정한 시기를 틈타 휴대폰 출고가 수준으로 과도하게 판매점에 리베이트를 지급해 유통 시장을 교란시켰다”며 “방통위가 시장 혼란을 주도하고 있는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를 처벌해 줄 것을 촉구한다”고 말했다.

표면적으로 KT의 이같은 강경 대응의 명분은 '경쟁사가 과도한 보조금을 지급하면서 시장 혼탁을 가중시켰다'는 것이다.

하지만 실상은 영업정지 기간 동안 가입자가 상당 부분 빠져나가며 위기에 몰린 KT의 벼랑 끝 전술이라는 분석이다.

실제 KT 영업정지 기간인 지난달 22일부터 현재까지 KT의 하루 평균 번호이동건수는 3만8468건에 달했다. 이는 LG유플러스와 SK텔레콤의 영업정지 기간 번호이동건수인 2만6259건과 2만5225건을 크게 웃돈다.

심지어 지난해 KT의 하루 평균 번호이동건수인 2만8682건보다 1만 여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KT는 2위 LTE 사업자인 LG유플러스를 따라 잡기는커녕 격차만 벌리고 있어 특단의 조치를 취한 것으로 풀이되고 있다.

KT의 ‘절박한’ 불법 보조금 지급 경고에 대해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는 이해할 수 없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의 영업정지 기간 KT도 100만원대에 이르는 보조금을 지급하며 보조금 경쟁을 부추겨 놓고, 자사 영업정지 기간에 가입자 이탈이 많아지자 시장과열을 문제 삼아 시장안정화를 얘기하는 것은 어불성설이라는 입장이다.

LG유플러스 관계자는 “KT는 다른 통신사가 순차적 영업정지에 들어가자 과도한 불법 보조금을 지급, 시장을 과열시키며 신규 가입자를 대거 모집한 바 있다”며 “특히 온라인, 사내채널(GB) 등 특수채널을 이용하며 가입자를 유치, 자사의 유통구조를 스스로 무너뜨리고 있다”고 비난했다.

SK텔레콤 역시 과거 과도한 보조금을 지급한 KT가 불법 보조금 논란을 제기하며 논지를 흐리고 있다고 평가했다.

일각에서는 지난 1월 LG유플러스의 영업정지 기간 불법 가입자 유치 문제를 제기한 KT가 이번에도 언론 플레이를 통해 상대방 흠집 내기에 치우친 것이 아니냐는 논란까지 제기되고 있다.

실제 KT는 지난 1월 LG유플러스를 대상으로 “위반 수준이 문제가 아닌 법을 어겼냐 어기지 않았냐가 문제”라고 언급한 반면 이번에는 “불법 보조금 위반율을 따져야 한다”고 말하며 상반된 입장을 내놓았다.

통신업계 관계자는 “KT는 자사의 네트워크 품질 등의 경쟁력이 떨어진다고 평가받은 상황에서 스스로 경쟁력 제고하는 데 힘써야 한다”고 지적했다.[데일리안=정은지 기자]

by 100명 2013. 3. 7. 07: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