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이 식민지출신자 국적박탈하면서 '무국적자' 전락

일본이 식민지출신자 국적박탈하면서 '무국적자' 전락

(도쿄=연합뉴스) 조준형 특파원 = 일본 아베 신조(安倍晋三) 내각은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 발효 61주년을 맞은 28일 '주권회복 기념일'을 명목으로 자축했지만 고통의 기억을 떠올리는 사람들이 있다.

식민지 조선에서 살다 일본 본토나 사할린 등지로 끌려간 뒤 현지에서 1952년 4월28일을 맞은 사람들이다.

일본 정부가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 발효에 맞춰 조선, 대만 등 구 식민지 국가·지역 출신자의 일본 국적을 박탈했기 때문에 이들은 졸지에 무국적자 신세가 됐다. 사실상 '난민'이 된 이들은 기댈 곳 없는 처지에서 일본으로부터 정당한 노동의 대가도 받지 못했다.

이와 관련, 아사히 신문은 29일 사할린 거주 한인 조응규(79)씨의 삶을 조명했다.

세살 때인 1937년 당시 식민지였던 조선에서 어머니와 함께 사할린으로 건너간 조씨는 1945년 일본의 패전으로 소련이 사할린을 점령한 뒤로도 귀국하지 못한 채 현지에 남았다.

조씨는 명목상 일본국적자였지만 일본은 소련 당국과의 협의를 통해 자국 출신자들만 귀환시켰고, 당시 한반도에는 자국민을 데려올 국가권력이 들어서지 않은 상태였기 때문이다.

그러던 중 1952년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이 발효됐고, 조씨는 사할린에서 '무국적 신분증명서'라는 기막힌 서류를 송달받았다. 어느 국가에도 소속되지 않은 '낙동강 오리알' 신세가 된 것이다.

조씨는 1955년 현지에서 대학에 입학하면서 소련 국적을 얻기까지 3년간 조선인도, 일본인도, 소련인도 아닌 처지의 삶을 견뎌야 했다. 그는 아사히와의 인터뷰에서 일본 정부가 4월28일을 주권회복일로 기념하는데 대해 "우리는 '오욕'이 더해진 날일 뿐"이라며 개탄했다

by 100명 2013. 4. 29. 15: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