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과 부동산, 미술품 투자로 거둔 수익 해외로 빼돌린 의혹

[CBS노컷뉴스 김수영 기자] CJ그룹의 국내외 비자금 규모와 조성, 운용방식이 조금씩 윤곽을 드러내고 있다.

검찰은 CJ그룹이 해외법인과 은행 차명계좌에 들어있는 비자금을 이용해 주식은 물론 부동산, 미술품에 투자해 막대한 수익을 거두고 거액의 세금을 탈루한 정황을 포착해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

CJ그룹의 비자금 조성 의혹을 수사중인 서울중앙지검 특수2부(윤대진 부장검사)는 CJ그룹이 전현직 임직원 명의의 차명계좌를 이용해 자사주를 매입한 뒤 되파는 방식으로 거액의 시세차익을 남긴 뒤 소득세를 탈루한 정황을 포착한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특히 CJ그룹이 CJ제일제당의 사료지주회사인 'CJ글로벌홀딩스'의 자산가치를 부풀린 뒤 계열사 간 인수과정을 거쳐 수백억원대의 이득을 취한 정황을 포착하고 이를 확인하기 위해 자료확보에 나선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은 이같은 의혹을 확인하기위해 24일 법원으로부터 압수수색 영장을 발부받아 한국거래소로부터 2004년과 2007년, 2008년 ㈜CJ와 CJ제일제당 각사의 거래내역을 임의제출 형식으로 넘겨받았다.

검찰은 거래소로부터 넘겨받은 자료를 바탕으로 계열사 지분 변동 내역과 자금 흐름 등을 정밀 분석하고 있다.

CJ그룹이 자사주를 매매하는 과정에서 계열사에 대한 호재성 정보를 미리 입수해 자사주를 거래하거나 주가를 인위적으로 움직여 막대한 등 자본시장법을 위반한 혐의가 있는지도 확인 대상이다.

검찰 관계자는 "현재 쫓고 있는 자금의 사용내역을 을 확인하기 위해 거래소로부터 자료를 넘겨받은 것"이라고 설명했다.

검찰은 또 CJ그룹이 주식거래를 통해 얻은 시세차익을 조세피난처에 있는 해외법인이나 스위스계 은행 등을 이용해 자금세탁을 시도한 것으로 보고 있다.

CJ그룹은 자사주 매입자금을 버진아일랜드에 설립한 페이퍼컴퍼니 법인계좌로 송금한 뒤 이 돈을 다시 홍콩의 차명법인을 통해 국내로 들여온 것으로 알려졌다.

이 과정에서 홍콩 법인이 정상거래를 위장하거나 CJ그룹 전현직 임직원과 법인 등의 차명계좌가 이용된 것으로 보인다.

검찰은 CJ그룹의 해외 비자금을 추적하기 위해 금융정보분석원(FIU) 등 국내외 관련기관의 협조를 받아 CJ그룹의 해외 계좌 거래내역에 관한 자료를 확보하는 한편 홍콩의 반부패기구인 염정공사와 등과의 사법공조에 나선 것으로 알려졌다.

CJ그룹이 서미갤러리로부터 미술품을 시가보다 높은 가격으로 사들인 뒤 차액을 돌려받는 수법으로 비자금을 조성했다는 의혹도 제기됐다.

아울러 미술품 거래상이 해외에서 진품을 사들여 이재현 CJ그룹 회장의 미국 자택으로 보내고, 진품을 베낀 위작(僞作)을 한국으로 배송해 진품 거래가 실제 이뤄진 것처럼 꾸미는 방식으로 재산을 해외로 빼돌렸다는 의혹도 제기된 상태다.

앞서 검찰은 CJ그룹 본사와 전현진 임직원 자택, 자동차 등에 대한 압수수색을 통해 비자금 관리과정에서 사용된 차명계좌 목록과 특수목적법인 리스트 등을 확보해 비자금의 규모와 조성, 운용방식을 확인하는데 수사력을 집중하고 있다.

by 100명 2013. 5. 25. 2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