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KT 광대역 서비스 시기 연기 주장에 강력 반발
[아시아경제 심나영 기자]LTE 주파수 경매가 시작 되기도 전에 이동통신사 간 갈등 양상은 2라운드로 접어들었다.
KT는 19일 경쟁사인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 등 경쟁사들이 현재 적용중인 멀티캐리어와 이 기술을 통해 곧 선보일 LTE-A(어드밴스드) 서비스를 전면 중단해야 한다는 내용의 건의서를 미래창조과학부에 제출했다.
KT가 경쟁사의 신기술에 대해 이같이 제동을 건 이유는 1.8GHz 대역 주파수 경매 때문이다. 1.8GHz 대역에서 이미 LTE 서비스를 하고 있는 KT는 이번 경매에서 인접대역을 더 확보해 주파수 광대역화를 하면 LTE 속도를 두배 더 빠르게 할 수 있는 서비스를 노리고 있다.
그러나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는 KT가 1.8GHz에서 인접대역을 확보해도 광대역화 된 주파수를 이용한 서비스 출시 시기를 미뤄야 한다고 줄기차게 주장해왔다. 이에 KT도 이런 논리라면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의 LTE-A 서비스도 미뤄야한다고 반격에 나선 것이다.
LTE- A 서비스는 서로 다른 두개의 주파수 대역을 같이 활용해 LTE 속도를 빠르게 하는 기술이고, LTE 광대역은 한개 주파수 대역의 폭을 넓혀 LTE 속도를 높이는 기술이다.
KT는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는 광대역과 똑같은 품질의 LTE-A 제공이 가능하면서 발목잡기 식으로 KT의 광대역 LTE 서비스를 지연시키고자 한다면, SKT와 LGU+ 역시 KT가 준비될 때까지 MC 적용을 즉각 중단하고 LTE-A 서비스 출시 일정도 미뤄야 한다"고 말했다.
현재 이통 3사가 LTE로 사용 중인 주파수는 SKT와 LGU+가 각각 40MHz 폭인데 반해 KT는 절반 수준인 20MHz 폭에 불과하며, KT는 멀티캐리어 기술을 보유하고도 800MHz의 10MHz 폭은 협대역이라서, 900MHz는 주파수 간섭 문제 때문에 LTE-A를 실현할 수 없다는게 KT측 설명이다.
KT는 "현재의 경쟁상황이 KT에 불공정한데다 경쟁사도 광대역 주파수를 할당 받아 동등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서비스 개시 시기 지연 등 인위적인 제한을 두는 것은 LTE 사업을 포기하라는 말과 같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미래창조과학부에서는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 신기술 출시를 좌지우지할 권한이 없어 이번 KT의 전면중단 요구는 절박하다는 선언적 의미에 가깝다는 게 업계 설명이다
RECENT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