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통신 3사가 지난해가지 역점을 두고 추진했던 LTE망 관련 시설투자가 마무리됨에 따라 올해 1분기에 일제히 투자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통신 3사의 1분기 유무형자산 취득액은 1조7천968억8천800만 원으로 전년 동기 2조1천362억3천만 원보다 15.9% 감소했다.
설비투자에 인색했던 것과 달리 현금 및 현금성 자산과 단기금융상품 보유액(이하 현금성 자산)도 3조3천718억 원으로 직전 분기보다 12.2% 줄었다.
하지만 KT의 부진으로 전체 수치가 낮아진 것으로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는 현금성 자산이 다소 늘었다.
KT(회장 이석채)는 지난해 1분기 1조 이상을 투자했지만 이번 분기에는 7천186억 원만을 쓰면서 유무형자산 취득액이 29%나 감소했다. 이는 LTE 전국망 구축이 완료됨에 따라 이동통신설비 투자를 지난해에 비해 크게 줄인 것으로 풀이된다.
LG유플러스(대표 이상철)와 SK텔레콤(대표 하성민)은 유무형 자산 취득액이 각각 3.8%, 4.3% 감소하는 데 그쳤다. 금액으로는 200억 원 남짓 줄었다. KT보다 일찍 LTE 전국망 구축을 완료하면서 2012년 2~4분기 중에 LTE 투자를 끝냈기 때문이다.
SKT는 2012년 한 해동안 유무형자산 취득에 약 3조5천억 원을 사용했고 가장 먼저 전국망 서비스를 시작한 LG유플러스 역시 지난해 3분기에 높은 수준의 투자를 유지하다가 4분기부터 분기당 5천억 원 대로 줄어들었다.
현금성자산의 경우 KT는 26.3%, 5천억 원 이상 감소한 반면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는 증가했다.
현금성자산이 크게 줄어든 KT는 지난해 3분기 1조3천억 원 정도였던 현금성자산이 4분기에 2조 원으로 늘었다가 다시 1조5천억 원 대로 돌아왔다.
KT 관계자는 "지난해 연말에 정산됐어야 할 단말기할부채권의 정산이 늦어져 연말까지는 KT의 자금으로 인식됐다가 1분기에 정산이 이뤄진 것"이라며 "실제 KT의 현금성자산에는 큰 변화가 없다"고 밝혔다.
반면 LG유플러스와 SK텔레콤은 현금 보유를 각각 10%, 2% 늘렸다. 증가율에는 차이가 있지만 LG유플러스의 기존 현금성자산 보유가 SK텔레콤과 KT의 25% 수준에 불과해 실제 증가금액은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가 큰 차이 없는 300~400억 원 수준이었다.
RECENT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