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 지난 6일 서울 동작구 흑석동 중앙대병원 부근 KT 대리점을 찾은 민주당 을지로위원회 우원식, 은수미, 윤후덕 의원이 매장 상황을 살펴보고 있다. ⓒ천지일보(뉴스천지) |
[천지일보=김지연 기자] KT, LGU+ 등 통신업계 ‘갑’의 횡포가 논란을 빚고 있는 가운데, 민주당 을지로위원회가 6일 서울 동작구 흑석동의 KT대리점을 현장 방문했다. 이 문제는 민주당 은수미 의원이 담당으로 배정돼 있다.
이날 현장조사에 함께한 을지로위원회 우원식 최고위원은 “우리나라 굴지의 기업인 KT가 본사의 요구대로 하지 않으면 대리점의 전산부터 차단해버리고 있다”면서 “조만간 KT 본사를 방문해 이석채 회장을 만나고 시정을 요구하겠다”고 말했다.
현장방문이 이뤄진 흑석동 매장을 운영해 온 안혜리 대리점주는 지난 7월 1일부로 전산이 차단돼 일체의 영업활동을 할 수 없는 상태다. 매일 대리점 문은 열고 있지만, 임대료와 직원임금만 계속 나가면서 손해를 보고 있다.
안 씨는 “본사의 영업 방침으로 인한 손해를 감수해 왔고, 결국 대리점을 정리하려고 해도 본사가 제대로 된 응대 없이 채권 90일 경과 시점에 전산을 차단해 버렸다”고 설명했다.
안 씨는 “가입자 등록부터 요금수납까지 어떤 업무도 불가하다. 고객들은 들렀다가 속사정을 모르니 직원들에게 욕만 하고 다른 지역 대리점을 찾아가야 하는 불편을 겪고 있다”고 의원들에게 호소했다.
대리점주들은 시연폰(테스트폰) 개통도 문제로 지적한다. 삼성 갤럭시, 아이폰 등 인기모델 위주로 시연폰을 개통하라는 요구가 본사에서 내려오는데 단말기값 약 70%와 매달 통화료는 모두 대리점에게 떠넘겨지는 현실이다.
KT본사 관계자는 이에 대해 “단말기값의 30~50%을 지원하는데, 특히 고가의 핸드폰은 50%를 본사가 부담한다”고 해명했다. 하지만 점주들의 말은 전혀 다르다.
아이폰의 경우는 일체의 지원비용이 없고, 특히 아이폰용 거치대와 장식장 등 70만 원이 넘는 비용을 대리점이 내지 않으면 아이폰 단말기 지급조차 이뤄지지 않는다는 것.
50% 지원금은 비인기 단말기에 간혹 주어지지만, 갤럭시 등 대부분 모델은 25~30만 원밖에 지원받지 못한다는 게 대리점주들의 설명이다.
그러나 이처럼 ‘울며 겨자 먹기’의 상황이 닥치고 전산이 끊겨도 대리점 문을 닫지 못하는 것은 1억 원이 넘는 권리금과 보증금을 모두 포기하고 가게를 정리하게 되는 상황이 너무나 막막하기 때문이다.
안 씨는 “한번 들어오면 빠져나가기 힘든 게 대리점이다. 겨우 채권을 다 해결하면 담당자가 와서 ‘이번엔 정말 잘해 줄테니 한 번 더 해보자’고 한다. 손해 본 게 있으니까 또 시작하고…”라며 암담한 마음을 털어놨다.
이에 우원식, 은수미, 윤후덕 의원 등은 조만간 KT 본사를 방문해 시정을 요구할 계획이다.
한편 KT 측은 ‘본사의 운영방침에 아무런 문제가 없었다’고 주장한다. 특히 민주당의 현장방문이 이뤄진 흑석동 안혜리 점주의 경우 9~10개의 대리점을 묶어 하나의 대리점처럼 취급하는 본사의 ‘연합체’ 구성 때문에 금전적 손해를 보고 법적 분쟁까지 벌어진 경우다.
이에 대해 KT 관계자는 “연합체는 대리점들이 더 높은 수수료를 받기 위해 100% 자발적으로 만들어낸 것”이라며 “KT는 전혀 책임이 없다”고 해명했다.
하지만 대리점주들은 이에 대해 ‘말도 안되는 소리’라고 입을 모은다. 대리점 코드를 열고 닫는 문제부터 수수료 정산까지 모든 게 본사에 달려있는 상황에서, 본사가 이 같은 시스템을 만들어내고 운영하지 않으면 불가능하다는 지적이다.
안혜리 점주는 단적인 증거로 KT 직원이 보냈던 이메일을 제시했다. 내용은 연합체(통합점) 점주들을 대상으로 합숙 프로그램을 진행한다는 계획이다. 이메일은 이 프로그램의 목적을 ‘지속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통합점 육성’으로 명시하고 있다.
![]() |
||
▲ KT본사가 대리점 연합시스템을 정책적으로 운영했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이메일. ⓒ천지일보(뉴스천지) |
RECENT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