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LTE 시장에서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는 KT가 책임경영제 시범 도입으로 상황 타개에 나섰다.

KT는 지난 1일부터 일부 현장 조직을 기준으로 예산운영과 조직 및 인력구성에 있어 자율성을 강화하는 현장 책임경영제를 시범운영하고 있다고 12일 밝혔다.

   
 

KT에 따르면 이번 책임경영제 시범부서는 본부급으로 수도권서부고객본부를 비롯해 서초지사 등 6개 지사와 강동, 동부산 등 2개 마케팅부다. 대상조직은 예산 운영의 자율성을 부여받으며 이익개선 중심의 평가를 받게 된다. 

해당 부서장은 조직 구성도 일정 범위 내에서 자율적으로 변경할 수 있으며, 인력 또한 탄력적으로 조정 운영할 수 있다.

KT는 해당 제도의 시범운영을 통해 현장 관리자의 권한 강화가 갈수록 심해지는 통신시장에서 탄력적인 대응과 경쟁력 강화에 도움이 되는지 점검한다는 방침이다. KT는 일단 현장 책임경영제를 현장 일부 조직에만 금년말까지 시범적으로 운영키로 했다.

KT는 이번 책임경영제를 통해 분위기 반전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최근 KT는 LTE 시장에서 난항을 겪고 있는 중이다.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가 LTE-A로 가입자 유치에 열을 올리고 있지만, 주파수 간섭 문제로 인해 LTE-A 시작은 꿈도 못 꾸고 있다. 설상가상으로 일주일간 단독 영업정지를 통해 가입자 6만명도 빼앗긴 상황. 지난 2분기 영업 실적도 경쟁사에 비해 저조한 성적을 냈다. 현장 영업 강화를 통해 이번 위기를 극복하겠다는 의도다.

다만, 일각에서는 KT의 책임경영제가 사실상 인력 구조조정과 다름없다는 지적이다. KT책임경영제 문서를 살펴보면 지사장은 자율판단에 따라, 인력 운영에 있어서 20% 범위 안에서 상황에 따라 직원을 충원 및 감축할 수 있다. 성과급 또한 지사장이 내부 기준에 따른 주관으로 등급을 매겨 지급한다.

KT새노조 이해관 대표는 “KT가 최근 영업실적이 경쟁사에 비해 좋지 못했다”며 “이에 대한 대책으로 책임경영제를 도입한다고 하는데, 해당 제도는 비용 절감을 위한 노동 강도 강화를 본사 주도로 하는 것이 문제가 되니까 지사장에게 자율성을 명분으로 책임을 전가하겠다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by 100명 2013. 8. 13. 07: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