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뉴스핌=이연춘 기자] 자본잠식에 빠진 11번가를 두고 서진우 SK플래닛 대표가 고민에 빠졌다.
오픈마켓 사업을 영위하는 SK플래닛이 결국 미운오리로 전락할 위기에 처했기 때문이다. 11번가를 두고 관련업계가 갸웃한 시선을 보내고 있다.

11번가의 오픈마켓 사업은 SK텔레콤의 웹 플랫폼 구축 서비스 사업의 일환으로 2008년부터 시작됐다. SK텔레콤이 2011년 10월 플랫폼 사업부를 물적 분할해 SK플래닛을 신설했다. 11번가 사업은 SK플래닛의 100% 자회사 커머스플래닛의 핵심 사업부문으로 운영되고 있다.
21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 시스템에 따르면 11번가를 운영하는 비상장사인 커머스플래닛은 지난해 매출 525억원을 기록했다.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은 처음으로 흑자전환하며 괄목할만한 성장을 이뤄냈다.
11번가의 몸집은 커지면서 지난해 첫 흑자전환을 했지만 자본잠식 빠지면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다.
자본잠식은 자본총계가 자본금보다 적은 상황을 말한다. 11번가의 경우자본총계가 -13억원으로 자본금(2억)보다 적다.
오픈마켓 특성상 사업 안정화까지 다소 시간이 걸리면서 매년 영업이익률이 현저하게 떨어지고 있다는 게 수익성 감소의 이유로 꼽힌다.
그 어느 기업보다 11번가의 국내 오픈마켓의 1위를 향한 갈망은 크다. SK텔레콤은 선발주자인 G마켓, 옥션이 점유하고 있는 오픈마켓 시장에 11번가라는 이름으로 2008년 뛰어들었지만 상황은 녹록치 않다.
업계 한 관계자는 "후발주자인 11번가가 모기업의 마케팅으로 인지도를 쌓고 있지만 투자대비 효과는 미미한 것으로 보인다"며 "향후 추가적인 성장 동력을 위해서는 적지 않은 투자가 끊이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RECENT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