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age

정부가 와이브로 올인 정책을 사실상 포기하면서 현재 와이브로 서비스 시장에도 적잖은 변화가 예고된다.

현재 와이브로 가입자 수는 KT (37,000원 상승650 1.8%) 90만명, SK텔레콤 (222,000원 상승8500 4.0%) 13만명 등 총 103만명 가량이다.

2011년 한때 79만명으로 크게 늘기도 했지만 이후 가입자 수는 100만명 수준에서 정체돼 있다. 용도 또한 에그 등을 활용한 데이터 서비스 혹은 3G, LTE 트래픽 분산용으로 국한돼 있다.

반면, 사업자들은 매년 의무적인 시설 투자와 서비스 유지비로 사업자들은 적자에 허덕이고 있는 상황이다. 여기에 작년 3월 KT와 SK텔레콤이 와이브로 주파수를 재할당 받으면서 오는 2019년까지 재할당 비용과 투자를 의무적으로 진행해야한다. 한마디로 통신사들 입장에선 '와이브로'가 '애물단지 사업'으로 전락한 셈.

지난해 7월 표현명 KT 사장이 기자간담회에서 단말기 수급 애로 등을 거론하며 "국내 와이브로 서비스를 LTE TDD로 전환하는 정책변경이 필요하다"고 공개적으로 문제를 제기했던 것도 이같은 맥락에서다.

하지만 이같은 KT의 바람은 성사되긴 어려울 전망이다. 12일 공개된 와이브로 정책 방향에 따르면, 정부는 기존 와이브로 주파수 대역(2.3GHz) 할당 사업자(KT, SK텔레콤)에 대해서는 LTE TDD로의 기술적 용도변경을 불허키로 했다.

다만, 이용자 보호대책을 전제로 주파수 회수를 요청할 수 경우, 이를 검토할 수 있다는 게 정부 방침이다. 과거 KT가 2G 종료할 때처럼 사업자의 의지에 따라 와이브로 사업에서 철수할 수 있다는 얘기다.

그러나 현실적인 면에서 와이브로 사업 단기 중단은 쉽지 않다. 주파수를 반납하게 되면, 정부는 해당 사업자가 아닌 주파수 경매를 통한 경쟁을 통해 새로운 사업자를 선정하게 된다.

신규 경매를 통해 해당 주파수를 할당받고 LTE TD 신규 투자에 나서야되는데 현재로선 그럴 정도로 여력 있는 사업자가 없다. 현재 이동통신 3사간 LTE 고속화 경쟁이 치열한 가운데 주파수 경매 이후 KT와 SK텔레콤은 LTE-A와 광대역 LTE 등 기존 LTE(LTE FDD) 투자에 올인 해야 되는 상황이다.

서비스 가입자들의 해지 유도 또한 만만치 않다. KT의 경우, 2011년 2G 종료 당시 30만명의 가입자를 해지시키는데 전사인력이 투입되는 등 진땀을 흘려야했다. 이번에는 가입자가 90만명 수준이다.

KT 관계자도 "정부가 와이브로 서비스 종료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이 없는 한, 서비스를 중간에 해지하기는 사실상 불가능한 것 아니냐"며 회의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는 것도 이 때문이다.

차라리 와이브로 신규투자를 최소화하는 한편, 기존처럼 3G 및 LTE 데이터 분산용으로 활용하는 게 나을 수 있다는 게 업계의 판단이다.

한편에서는 정부의 와이브로 정책변화에 따라 단말기 장비 및 제조사들이 '와이브로' 기술을 포기하고 통신사들의 와이브로 신규 서비스도 축소되면서 와이브로 가입자 수도 자연스럽게 줄어들 것이라는 관측도 내놓고 있다.

by 100명 2013. 9. 13. 07: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