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각한 경영위기에 시달리고 있는 OBS의 생존방안을 고민하기 위해 시민단체들이 뭉쳐 공동대책위를 발족했다. 이들은 “빈사 상태에 있는 OBS를 위한 실질적 정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OBS는 인천·경기·서울지역 시민사회단체, 시청자, 언론노동자들의 노력 끝에 2007년 12월 개국했다. 하지만 △방송광고법의 불리한 적용 △방송위 허가추천 1년 지연 △방통위 역외재송신 3년 7개월 지연 등 정책적 차별을 받았고, 매년 적자가 누적돼 1,400억원 자본금마저 100억원대밖에 남지 않아 ‘생존’을 호소하고 있는 상황이다.

   
▲ OBS 생존과 시청자주권 사수를 위한 공동책위원회가 발족하며 27일 프레스센터 앞에서 기자회견을 했다. ⓒ미디어스

이에 전국언론노동조합·민주언론시민연합·언론개혁시민연대·인천지역연대·경기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와 언론노조 OBS지부(지부장 이훈기), 인천지역 시민단체 60여개가 OBS 생존과 시청자 주권 사수를 위한 공동대책위원회(이하 공대위)를 꾸렸고, 26일 서울 광화문 프레스센터 앞에서 출범 기자회견을 열었다.

언론노조 강성남 위원장은 “거의 네트워크 체제로 구성된 지역방송은 서울에서 제작된 콘텐츠를 주로 내보내지만, OBS는 유일한 독립 지역방송으로 진정한 지역성을 구현하고 있다”며 “지역의 제대로 된 목소리를 전달하는 역할을 더욱 잘 수행하는 독립 지역민방으로 자리 잡기 위한 환경 조성에 힘쓰겠다”고 밝혔다.

민언련 박석운 공동대표는 “저질 종편은 승승장구하고 있는데 공익적 민영방송으로 독립민방 취지 살리고 있는 OBS는 빈사 상태”라며 “그 원인은 재전송, 미디어렙 문제 등 OBS에 대한 방통위의 차별 조치에 있다”고 지적했다. 박석운 대표는 “OBS 살리기를 경기·인천 지역만이 아니라 방송 공정성과 공영성을 지키기 위한 차원으로 생각하고 힘닿는 대로 돕겠다”고 말했다.

이훈기 OBS지부장은 “10년 전 노력 끝에 방송을 만들었는데 기대에 부응하지 못해 죄송하다”면서도 “대한민국 유일의 독립지역민영방송 OBS에 대한 정책적 차별이 너무 심하다”고 토로했다. 이훈기 지부장은 “OBS는 SBS-지역민방 종속관계를 타파하는 새 네트워크를 꾸리는 등 다양한 가능성은 지닌 곳”이라며 “OBS 제2의 창사를 할 수 있도록 힘을 모아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공대위는 OBS의 광고 판매를 SBS를 대주주로 둔 미디어크리에이트가 맡고 있는데다, 방송광고 총량을 구성하는 ‘결합판매비율’과 ‘신생가중치’도 각각 76.7%(타사 80~90% 수준), 17.3%로 타사보다 불리해 광고 판매총량이 묶여 있다고 주장했다.

공대위는 OBS가 다음 달 미디어렙 재고시를 앞둔 만큼 방통위에 △OBS 생존을 담보할 실질적 광고 매출 보장 △지역방송발전지원 특별법 조속한 제정 △독립방송 OBS에 대한 근본적 정책 마련 등을 촉구할 예정이다.

by 100명 2013. 9. 27. 14: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