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정부의 공공기관장 인사 지연은 자연스레 포스코, KT처럼 당초 정부가 최대 지분을 가졌다가 ‘민영화된 공기업’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박근혜정부가 법적 근거가 없는 민간기업 인사에 절대 개입하지 않겠다는 원칙을 밝히고 있지만 청와대가 두 기업 최고경영자 교체를 기정사실화한 게 아니냐는 말이 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두 회장 교체 루머는 지난 6월 박근혜 대통령의 중국 방문 당시 불거졌다. 경제사절단에 포함됐던 두 사람은 박 대통령과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의 한·중 정상 초청 경제인 만찬에 초대받지 못했다. 정준양 포스코 회장은 오는 10일 시작되는 박 대통령의 인도네시아 국빈방문에서도 경제사절단에 합류하지 못했다. 포스코는 인도네시아 현지 제철소는 물론 부생가스 발전소, 연료전지 발전소 건설 사업을 추진 중이다. 그런데 정작 최고경영자가 경제사절단에 포함되지 못하자 또다시 청와대의 정 회장 교체설이 정설로 굳어지는 분위기다.

청와대는 민영화된 공기업 인사에 대해 “각 기업이 이사회를 소집해 경영진 교체 여부 등을 자율적으로 결정하면 되는 문제”라는 입장이다. 그렇지만 해당 기업들은 난감함을 감추지 못한다. 이들 기업 회장 인선에 전통적으로 정부가 개입해 왔기 때문이다.

청와대가 자꾸 교체설 연막을 피우면서 경영에도 큰 차질이 빚어지고 있다고 한다. 공격적인 투자 및 경영계획을 내놓지 못하면서 흑자 폭이 줄거나 해외투자 길이 막히는 등 어려움을 겪는다는 것이다. 민영화된 공기업의 한 간부는 3일 “이미 민영화돼 외국인 지분이 상당하고 해외 증시에도 상장된 회사의 최고경영자를 정권이 들어설 때마다 바꾼다면 어떻게 회사가 정상 경영을 할 수 있겠느냐”고 반문했다.

by 100명 2013. 10. 6. 07: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