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시스】김민기 기자 = KT의 주인은 누구일까. 6.81%로 최대주식을 보유하고 있는 국민연금일까. 아니면 KT의 수장 이석채 회장일까.

이석채 회장에 대한 검찰의 전격적인 압수수색을 바라보면서 떠오르는 첫번째 의문이다.

총자산 24조원, 임직원 수 3만1000여 명, 자본금 1조 5600억 원의 대표적인 통신 공룡 KT는 현재 국민연금(8.65%), 미래에셋자산운용(4.99%), 자사주(6.6%), 우리사주(1.1%) 등으로 분산돼 사실상 지배주주가 없다.

2002년 정부가 지분을 매각하면서 법적으론 '순수 민간기업'이 됐지만 아무도 KT를 순수 민간기업으로 여기지 않는다.

뚜렷한 주인 없는 KT는 정권 교체기마다 5년을 주기로 어김없이 회장 교체설에 흔들린다.

전임자인 남중수 사장도 2008년 연임에 성공했지만 이명박 정부 출범 후 1년을 버티지 못했다. 임기를 2년 이상 남긴 상태에서 배임수재 혐의로 구속됐고, 올해 초 사면복권됐다. 그 자리를 이석채 회장이 거머줬으나 박근혜 정부가 들어서자 이 회장 역시 정부 입김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했다.

수장의 잦은 교체는 KT에겐 치명적 리스크다.

수장이 바뀔 때마다 그동안 힘을 집중시켰던 사업들은 백지화되거나 흐지부지 약해지고, 내부 조직도 흔들린다. 초단위로 빠르게 변화는 IT 시장에서 적절한 대응을 기대한다는 것 자체가 코메디다.

이미 KT는 LTE(롱텀에볼루션) 시장의 대응이 늦어 경쟁사에게 가입자를 뺏기고 무선 사업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성패의 결과는 두고봐야 했지만 이 회장이 야심차게 준비해온 신사업과 해외 사업은 이번 검찰의 압수수색으로 흔들릴 수 밖에 없다.

게다가 직원들 사이에 깊이 패일 갈등의 골은 어떻게 할 것이며, 직원들의 사기는 또 어떻게 끌어올릴 셈인가.

이석채 회장 역시 박수 받을 정도는 아니라는 것이 주변의 평가다.

KT 수장 자리를 보전하기 위해 이사회를 강화하고 정치권 인사를 영입하는 등 무리수를 뒀다. 경영의 지속성을 위해 내부 임원들을 단속하다보니 조직 내 불만이 커졌다. 만약 KT 수장이 정치적으로 이용되지 않았다면 이석채 회장을 비롯한 역대 KT 대표 역시 자리보전을 위해 소모적인 행동을 하지 않았을 것이다.

이 모든 피해는 아이러니하게도 고스란히 국민들 몫이다.

KT가 서비스하는 '통신'과 비지니스의 골간인 전파는 대표적인 국민 재산. KT의 실패는 바로 국민 재산권의 피해로 직결된다.

이 참에 매번 5년 주기로 흔들리는 KT 지배구조를 근원적으로 개선할 해법이 나오길 희망한다면 정치권에 대한 너무 순진한 접근인가?

by 100명 2013. 10. 23. 07: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