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는 지난 2011년부터 유휴부동산 매각을 추진해왔다. 유선 통신망 광대역화로 인해 통신사업에 필요한 부동산의 규모가 줄면서 수익성 낮은 부동산을 고부가가치의 자산으로 전환한다는 목적이었다.

애초의 목적과 달리 KT는 최근 유휴부동산 매각으로 곤욕을 치르고 있다. 유휴부동산을 감정가의 75% 수준에 매각해 회사에 손해를 끼쳤다는 주장이 제기되면서다. 이같은 주장은 KT가 부동산을 헐값에 매각했다는 오명을 씌웠다.

급기야 참여연대가 나서 KT의 유휴부동산 매각이 회사에 수백억 원대 손해를 끼쳤다며 의사결정 체계의 정점에 있던 이석채 전 회장을 배임혐의로 고발했다. 이어진 검찰의 압수수색은 이 전 회장이 사의를 표명하게 된 결정적인 계기가 됐다.

그러나 정작 부동산업계에서는 KT의 보유 부동산 매각과 관련해 180도 다른 시각을 보이고 있다. KT가 매각한 전화국 건물의 특성과 시장상황 등을 고려할 때 적정한 가격에 거래가 이뤄졌다는게 업계관계자들의 중론이다.

부동산신탁사 관계자는 "감정가격은 매매거래시 참고하는 자료에 불과하다"며 "실질적인 거래가 이뤄지는 가격은 투자자의 수요, 공급물건의 활용도, 시장상황 등에 따라서 감정가격보다 낮게 결정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업계에서 지적하는 가격하락 요인은 다양하다. 건물을 매입하는 투자자들은 임차인의 임대료를 통해 수익을 내는 경우가 통상적이다. KT의 매각물건인 전화국에 대한 임차수요는 통신업체로 한정돼 임대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더욱이 용도변경을 통해 새로운 부동산으로 전환하는 것도 쉽지 않다. 안정적인 수익 확보를 위해 부동산 매입에 나선 투자자 입장에서 개발에 대한 부담도 적지 않다.

또 KT의 매각 건물 중 상당수가 지방에 위치해 있다는 점도 매매가격을 끌어내리는 원인이다. 지방의 부동산 거래가 활발하지 않아 투자금 회수를 위한 매각에 차질을 빚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이같은 이유로 KT의 부동산 헐값 매각 주장을 바라보는 업계의 시선은 곱지 않다. 부동산업계의 시각을 빌리면 검찰수사가 이석채 전 회장을 자리에서 끌어내리기 위한 표적수사라는 해석이 나오는 것도 무리가 아니다.

결론적으로 KT가 매각한 부동산의 헐값 거래여부를 가리기는 쉽지 않다. 거래 당사자 모두가 만족하는 적정한 가격의 기준은 시각에 따라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매매가격이 결정되는 과정에서 그 절차가 공정했는지에 대해 검증해 볼 필요는 있겠다.

by 100명 2013. 11. 28. 14: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