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겨레]사용후핵연료 연 750톤 쏟아져


임시저장소 2016년부터 꽉 차


1m서 몇초 노출땐 한달내 사망

"화장실은 없고 오물을 커다란 요강에 임시로 저장 중인데, 요강이 이제 꽉 찼다."

김익중 동국대 의대 교수는 최근 펴낸 <한국탈핵>에서 원자력발전소(원전)에 대해 이렇게 일갈한다. 원전에서 나오는 핵폐기물을 처분할 방안을 마련하지 못한 사정을 빗댄 말이다. 같은 맥락에서 일본에서는 원전을 '화장실 없는 아파트'라고 부른다.

8일 산업통상자원부 집계를 보면, 지난 9월 말 기준으로 우리나라의 사용후 핵연료 저장량은 총 1만3069t에 이른다. 전체 저장 용량의 71.4%가 차 버린 셈이다. 예상 포화 시점을 보면, 국내에서 첫 상업운전을 시작한 고리 원전이 2016년으로 가장 빠르다. 가장 늦은 신월성 원전도 2022년에 포화 상태에 이른다.

우리나라의 원전 23기에선 해마다 750t씩 사용후 핵연료가 나온다. 연소된 핵연료는 강한 방사선과 높은 열을 뿜어내는 위험물질이 된다. 세슘과 플루토늄, 크세논(제논) 등과 같은 인체에 해로운 방사성물질이 새로 생성되기 때문이다. 원자로에서 막 꺼낸 사용후 핵연료의 방사능은 1m 거리에서 17초만 인체에 노출되더라도, 한달 안에 예외없이 사망에 이른다. 사용후 핵연료의 방사능이 인체에 해롭지 않은 수준으로 떨어지는 데는 최소한 10만년쯤 걸린다. 세계 어느 곳에서도 영구처분에 대한 기술적 불확실성을 해소하지 못한 상태다.

산업부는 이달 중으로 2차 에너지기본계획(2013~2035년)을 확정하면서 향후 원전 정책에 대한 방침을 구체화할 방침이다.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원전의 안전성에 대한 찬반 논쟁이 끊이지 않는 가운데, 앞으로는 사용후 핵연료의 처리 방안도 원전 정책을 정하는 데 중요한 변수로 떠오를 전망이다. 방사능 농도가 높은 '위험한 쓰레기'를 처분할 방안도 마련하지 못한 채 무작정 발전소만 늘릴 수는 없는 노릇이기 때문이다.

by 100명 2013. 12. 9. 21: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