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앞서 IPTV아이피티브이(IPTV) (IPTV : Internet Protocol Television): 광대역 정보통신망을 이용해 양방향 인터넷 프로토콜(IP) 방식으로 실시간 방송과 데이터·영상·음성·전자상거래 서비스를 함께 제공하는 TV상세보기▶140 서비스 업체별 제공하는 채널과 VOD 콘텐츠 편수, 종류 및 특징을 살펴봤다. 하지만 제공되는 채널이나 VOD 편수가 많다고 해도 요즘처럼 대화면 풀HD LED TV가 확산되고 있는 환경에서 고화질 콘텐츠가 부족하면 사용자 만족도는 떨어진다.
우선 총 채널 수로는 KT 올레tv가 총 203개의 채널을 제공한다(올레tv스카이라이프는 198채널). LG U+의 tv G 154개, SK브로드밴드의 B tv 164개에 비하면 30% 정도 더 많다.
◇저렴하면서 볼 게 많은 IPTV140 서비스는?
요금제 기준으로 고급형 서비스부터 살펴보면 KT 올레tv는 총 203채널 중 무료 고화질 131채널을 제공한다. LG U+의 고급형 요금제인 tv G 25는 154채널 중 무료 고화질 111채널로 구성된다. SK브로드밴드 B tv의 디지털 고급형 요금제는 164채널 중 무료 고화질 111채널이 제공된다.
고급형 서비스에서 올레tv가 제공하는 무료 채널, 고화질 채널이 더 많다. 하지만 경제형 혹은 실속형 요금제에서는 어떨까. 다양한 콘텐츠와 채널, 고화질 콘텐츠가 제공된다고 해도 프리미엄 요금제로만 이용할 수 있다면 사용자 만족도는 떨어질 수밖에 없다. 기본형부터 실속형 요금제를 기준으로 살펴보자.
현재 IPTV 서비스는 다양한 상품이 존재하기 때문에 일괄적인 비교는 어렵다. 최근에는 스마트TV 기술을 접목한 서비스(예 : SK브로드밴드 B tv 스마트)도 추가됐으며 숫자는 적어도 고화질을 원하는 사용자를 겨냥한 서비스(예 : LG U+의 HD라이트, HD이코노미) 등으로 더욱 분편화 되고 있다. KT 역시 여러 그룹으로 구분된 선택형 패키지를 제안하고 있다.
따라서 가격대와 제공 콘텐츠 및 채널 숫자의 유사성을 기준으로 실속형부터 기본형 서비스를 비교해보기로 한다. 아래의 IPTV 서비스 요금은 3년 약정으로 인터넷 결합 상품일 때이며 부가세를 포함되지 않은 것이다.
우선 KT 올레tv의 경우 실속형 8000원, 올라잇 9000원, 기본형 1만1000원의 요금으로 각각 167개, 175개, 198개의 채널을 제공한다. 1만1000원의 올레tv 기본형 요금제에서는 198채널 중 무료 고화질 130채널이 제공된다. 9000원의 올라잇 요금제로는 175채널 중 무료 고화질 124채널이 지원된다.
LG U+에서 이와 유사한 요금제의 서비스로는 tv G 14, tv G, HD라이트가 있다. tv G 14는 월 1만4000원의 요금으로 154채널과 무료 고화질 108채널(풀HD 70개+HD 38개)를 제공한다. 월 9900원의 tv G 요금제는 131채널에서 무료 고화질 88채널(풀HD 70개+HD 18개)을 볼 수 있다.
LG U+의 IPTV140 서비스 중 KT 올레tv 실속형과 비슷한 요금제로는 HD라이트(월 9000원), 보급형(월 7000원)이 있다. HD라이트는 스포츠, 라이프스타일, 드라마에 특화된 서비스 상품으로 총 93채널 중 무료 고화질 59채널(풀HD 48개+HD 11개)을 볼 수 있는 상품이다. 보급형 요금제는 월 7000원에 오락, 영화, 어린이 등 인기 있는 핵심 채널을 제공하는 상품으로 총 65채널(전체 무료)에 고화질 42채널(풀HD 35개+HD 7개)을 지원한다.
SK브로드밴드 B tv에서는 월 9900원의 디지털 기본형(총 138채널 중 무료 고화질 90채널), 월 9000원의 디지털 실속형(총 127채널 중 무료 고화질 82채널), 월 7000원의 디지털 보급형(총 84채널 중 무료 고화질 48채널) 요금제와 비교할 수 있다.
월 요금 9000원을 낸다고 할 때 KT 올레tv에선 175채널(무료 170채널) 중 무료 고화질 110채널을 즐길 수 있다. LG U+ tv G에서는 HD라이트로 총 93채널(무료 88채널) 중 무료 고화질 59채널 혹은 HD이코노미 세이브 총 129채널 중 무료 고화질 91채널을 선택할 수 있다. HD 특화 상품이 아닌 경우 월 9900원의 tv G가 가장 유사한 요금제인데, 올레tv보다 10% 더 비싸며 채널 수는 더 작다. 131채널(무료 126채널) 중 무료 고화질 88채널을 볼 수 있다.
SK브로드밴드의 경우 디지털 실속형 요금제가 월 9000원이다. 디지털 실속형 요금제에서는 총 127채널(무료 122채널) 중 무료 고화질 82채널을 지원한다. LG U+ tv G와 동일하게 월 9900원의 요금을 지불하는 디지털 기본형은 총 138채널(무료 133채널) 중 무료 고화질 90채널을 제공받는다.
즉 월 9000원의 요금을 기준으로 살펴보면 총 채널 수는 KT 올레tv 175채널(올라잇 요금제), LG U+ tv G 총 93채널(HD라이트 요금제) 또는 129채널(HD이코노미 세이브 요금제), SK브로드밴드 B tv 127채널(디지털 실속형 요금제)이다. 같은 요금제에서 무료로 제공되는 고화질 채널 수를 비교하면 올레tv 110채널, tv G 59채널 혹은 91채널, B tv 82채널이다.
올레tv의 9000원 올라잇 요금제 서비스를 tv G와 B tv의 10% 더 비싼 9900원 요금제 상품과 비교해도 마찬가지다. 월 9900원일 때 tv G는 총 131채널 중 무료 고화질 채널 88채널(tv G 요금제), B tv는 총 138채널 중 무료 고화질 90채널(디지털 기본형 요금제)이 제공된다. 올레tv의 올라잇 요금제는 월 9000원으로 총 175채널 중 무료 고화질 124채널을 제공한다. tv G와 B tv만 놓고 봤을 때 채널 수는 B tv가 근소하게 더 많다.
결론적으로, 제공 VOD 콘텐츠와 채널 수 기준으로 KT 올레tv의 가성비가 가장 높다.
RECENT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