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중국, 군기밀 유출될까 전전긍긍
[내일신문]
재해대처하다 작전수행능력 노출 … 지진으로 비밀군시설 공개
쓰촨 원촨대지진으로 인한 군용·민용 핵시설 피해 여부를 두고 논란이 일고 있는 가운데 중국 측은 이번 지진으로 인민해방군의 각종 기밀이 누출될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관영 신화통신이 발행하는 ‘국제선구도보’는 21일 이번 지진은 중국에 군사 전략적인 타격을 줬다며 외국 군사정보기관들은 이번 지진을 틈타 전략에서 구체적인 작전능력까지 인민해방군을 파악하려고 노리고 있다고 보도했다.
외국 정보기관들이 이번 지진에 주목하고 있는 이유는 크게 두 가지다. 인민해방군의 재해지역 투입이 실제 군사작전을 방불케 할 정도로 대규모로 이뤄지고 있는 데다가 지진피해지역이 중국의 대표적인 군수공업지대이기 때문이다.
◆해방군 작전역량 파악 = 중국 국방부 대변인 후창밍 대령은 지난 18일 “5월18일 12시까지 중국군과 무장경찰 11만3080명이 쓰촨 지진재해구호 작업에 참여했다”며 “출동부대는 주로 청두, 지난, 란저우, 베이징, 광저우군구와 해군, 공군, 제2포병(전략미사일), 무장경찰이다”고 밝혔다.
‘국제선구도보’는 “10만 대군과 각종 지원장비가 수 천 킬로미터 밖에서 신속하게 재해지역으로 투입됐다”며 “이 정도의 병력과 이동거리를 2차대전 중의 유럽으로 이동시킨다면 우크라이나의 핵심으로 신속하게 진격했던 독일군의 연합대작전과 맞먹는다”고 전했다.
문제는 이를 통해 중국군의 작전능력이 고스란히 평가된다는 데 있다. 현대전은 버튼 하나만 누르면 전세가 판가름 나는 양상을 보이고 있지만 실제상황은 이보다 훨씬 복잡하다.
전투기와 차량은 유류가 필요하고 작전수행을 위해 이들을 유도해야 하는 인원과 장비가 필요하며 병력 개개인은 모두 식량 등 보급을 필요로 한다. 또 공중과 지상부대의 연락이 원활해야 하고 작전과 업무의 분담이 적절히 이뤄져야 하고 돌발상황에 대처하는 능력도 있어야 한다. 재해대처작전에서도 이처럼 실전을 방불케 하는 복잡한 상황을 처리해야 한다.
서방 정보기관은 이번 지진이 병참지원, 지휘통신, 부대전개 등 중국군의 작전수행능력을 종합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기회이다.
◆중국 군수공업상황 노출 = 마오쩌둥 집권시절이던 1960년대는 중국이 미국과 소련으로부터 동시에 군사적 위협을 받던 시기였다. 전쟁으로 인한 국가존망의 위기감을 느끼던 중국은 마오쩌둥의 지시와 계획위원회의 주도로 주요 군수공업시설을 내륙으로 이동시켰다. 주로 동북지역과 동부연해 대도시에 집중돼 있던 군수공업시설은 바다와 국경에서 너무 가까워 유사시 적의 타격으로부터 위험해질 수 있다는 판단 때문이었다. 이를 ‘3선 건설’이라고 부른다.
현재 논란이 되고 있는 각종 핵시설도 1964년부터 시작된 ‘3선 건설’의 영향으로 내륙에 깊숙이 자리잡은 쓰촨에 들어서게 된 것이다. ‘선구도보’는 “쓰촨에는 핵, 항공, 우주, 군용전자공업, 군수중공업 등 수많은 중요한 군수공업기업들이 있다”며 “이들 시설은 평소에는 비밀스럽게 감춰져 있어 정찰이 쉽지 않지만 지진이 발생한 후 위장시설들이 파괴돼 건축물 및 내부시설들이 고스란히 드러났다”고 밝혔다.
◆정찰위성이 큰 몫 = 이 같은 정보파악에는 정찰위성이 한 몫을 담당하고 있다. 로이터통신은 지진발생 2일째인 13일 “미국 국가지리공간정보국(NGA) 정보분석관은 정찰위성이 얻은 쓰촨대지진 사진을 분석했다”고 보도했다.
일본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도 사이트에 육지관측기술위성(ALOS)을 이용해 관측한 지진지역 디지털사진을 올렸다. 중국언론은 정찰위성을 간첩위성으로 지칭하며 “위성사진은 군민 양용으로 외국의 ‘관찰자’들은 부대 주둔지, 각 부대의 집결상황, 병력수와 부대고유번호 등 평소에 쉽게 접하기 어려운 정보들을 이번 기회에 접할 수 있게 됐다”고 보도했다.
RECENT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