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인터넷 해킹 경유지 중국>미국>일본順
北, 89년부터 사이버전 전담인력 양성
중국이 한국 정부 및 지방기관 등의 인터넷을 가장 많이 해킹하는 경유지인 것으로 분석됐다.
한국정보보호학회 이홍섭 회장은 20일 국군기무사령부가 서울 대방동 공군회관에서 주최한 '2008 국방정보보호 컨퍼런스'에서 발표한 '중국발 해킹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란 논문을 통해 국내 인터넷을 해킹한 경유지는 중국(53.6%), 미국(14.3%),
일본(5.2%), 브라질(4.9%), 대만(2.7%) 순으로 분석됐다고 밝혔다.
이는 한국정보보호진흥원(KISA)이 지난 3월 한 달 동안 인터넷 해킹 및 해킹시도 사례 2천121만 건을 분석한 결과라고 이 회장은 말했다.
그는 지난 2월 초 세계 최대의 온라인 경매업체 이베이의 한국 자회사인 옥션의 회원 이름, 주민번호, 카드번호, 비밀번호 등의 유출을 대표적인 중국발 인터넷 해킹 사례로 지적했다.
이 회장은 "중국발 보이스 피싱(전화사기) 신고 건수는 연간 5천700여 건에 피해액은 570여억원에 달한다"며 "정부기관과 사업자간 공조를 강화하고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용도별로 다르게 통합관리하는 등의 방법으로 대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고려대 정보경영대학원의 임종인 원장은 '미래 사이버전 대응을 위한 정보보호전략'이란 논문에서 북한은 1989년부터 사이버전 전담인력을 양성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특히 북한은 조선컴퓨터센터(KCC)를 통해 주요 국가의 인터넷망을 해킹하고 인터넷 침해 감시망을 운영하고 있다고 임 원장은 설명했다.
임 원장은 "일본은 시험용 컴퓨터 바이러스와 해킹기술의 독자개발을 추진하고, 중국은 해커부대인 넷포스와 사이버전 시험센터를 운영하는 등 미국에 버금가는 사이버전 능력을 보유하고 있다"며 "러시아도 사이버 무기로 C4ISR(지휘통제감시정찰)체계를 무력화하는 방안을 연구 중"이라고 말했다.
미국은 국가안보국(NSA)과 FBI(연방수사국)을 중심으로 사이버전 부대를 구성하고 사이버 공격 및 전담대응기구(JTF-CNO)를 창설한 데 이어 국토안보부 주관으로 매년 사이버전 모의훈련을 실시하고 있다고 임 원장은 덧붙였다.
앞서 김종태 기무사령관은 개회사를 통해 "첨단 IT기술의 발전은 전쟁수행의 패러다임을 무기체계 중심의 대량파괴 살상전에서 네트워크 중심전으로 변화시키고 있다"며 "특히 세계 각국은 사이버전 전담부대를 창설하는 등 사이버전 수행 능력을 국가 및 국방 핵심전력으로 추진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김 사령관은 "사이버공간을 안전하게 관리하고 지키는 것은 국가안보는 물론 국가 경쟁력과 직결되는 매우 중요한 일"이라며 "공공분야, 민간분야의 유관부서 간 긴밀한 협조와 유기적인 협력체계를 통해 국가 차원의 완벽한 정보보호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RECENT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