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으로 보는 한국전쟁 30 편

 여기 실린 사진은 미국 메릴랜드 주에 있는 NARA(국립문서기록보관청, National Archives and Records Administration) 5층 사진자료실에 보관된 'KOREA WAR(한국전쟁)' 파일의 사진들입니다. 날짜와 장소는 사진 뒷면에 있는 영어원문을 따랐음.이 사진이 기록물이 부족한 우리나라에 자료로 남기를 바랍니다. 생사가 교차되는 전선에서 귀한 사진을 남긴 카메라맨들에게 경의를 드립니다. 시리즈로 #1 에서 #30까지 연재로 작성한것을 한 화면에 올렸습니다. 특히 6.25를 겪은 6학년세대들에게는 직접 피부에 와 닿는 생생함 그대로입니다.이 자료는 "Oh My News" 에 박도(Park Do)기자가 올린글 소개입니다.

▲ 1950. 10. 22. 평양, 북한 주민의 학살 현장. 누가 그들을 죽였을까?
ⓒ 미국 문서기록보관청





▲ 1950. 11. 2. 거리에 버려진 아이들이 트럭에 실려 고아원으로 가고 있다. 눈망울이 초롱한 아이는 그 후 어떻게 되었을까?
ⓒ 미국 문서기록보관청





▲ 1950. 11. 11. 바지 저고리들의 포로들. 총이나 한 번 제대로 잡아보고 포로가 되었는지?
ⓒ 미국 문서기록보관청





▲ 1950. 11. 13. 함흥 덕산광산, 482명을 생매장한 갱도에서 시신을 꺼내 늘어놓은 것을 한 아버지가 아들을 찾고 있다. "제발 내 아들이 아니기를..."
ⓒ 미국 문서기록보관청





▲ 1950. 11. 13. 지아비가 생매장된 갱도 어귀에서 오열하는 지어미. "날라는 어찌 살라하고 가시리잇고"
ⓒ 미국 문서기록보관청





▲ 1950. 8. 12. 북한군 포로.
ⓒ 미국 문서기록보관청





▲ 1950. 8. 10. 폭격으로 불타는 마을
ⓒ 미국 문서기록보관청





▲ 1950. 8. 10. 핫바지들을 인솔하는 미 해병대.
ⓒ 미국 문서기록보관청





▲ 1950. 7. 29. 경북 영덕, 포화에 쫓기는 피난민.
ⓒ 미국 문서기록보관청





▲ 1950. 7. 29. 경북 영덕, 남자는 등에 지고 여자는 머리에 이고 지향없이 떠나는 피난민 행렬.


▲ 1950. 7. 29. 경북 영덕, 논두렁에 머리를 처박고 죽은 북한군 병사
ⓒ 미국 문서기록보관청


▲ 1950. 7. 29. "뜨거운 전우애" 한 병사가 부상당한 전우를 업어가고 있다
ⓒ 미국 문서기록보관청


▲ 1950. 7. 29. 마을 소년들이 주먹밥을 만들어 군인들에게 나눠주고 있다
ⓒ 미국 문서기록보관청


▲ 1950. 7. 29. 야간 전투 후 주간 취침.
ⓒ 미국 문서기록보관청


▲ 1950. 7. 29. 취침 후 병기 손질
ⓒ 미국 문서기록보관청


▲ 1950. 8. 4. 피난민들의 보금자리 산동네 판자촌
ⓒ 미국 문서기록보관청


▲ 1950. 8. 8. 누가 이 아이를 버리게 했을까?
ⓒ 미국 문서기록보관청


▲ 1950. 8. 8. 다리 아래 피난민 움막
ⓒ 미국 문서기록보관청


▲ 1950. 8. 9. 임시 포로수용소
ⓒ 미국 문서기록보관청


▲ 1950. 8. 2. 금강철교


▲ 1950. 8. 3. 뙤약볕 속에 전선으로 가는 국군 행렬
ⓒ 미국국립문서기록보관청





▲ 1950. 8. 3. 한국전쟁 무렵의 부산항, 멀리 영도가 환히 보인다.
ⓒ 미국국립문서기록보관청





▲ 1950. 7. 29. 경남 진주 부근에서 생포한 빨치산(?). 원문은 포로로 되어 있다.
ⓒ 미국국립문서기록보관청





▲ 1950. 12. 16. 흥남부두. 후퇴하려고 수송선을 기다리는 병사들
ⓒ 미국국립문서보관기록소





▲ 1950. 12. 18. 흥남에서 묵호(동해)로 후퇴한 후 수송선에서 내리는 병사들
ⓒ 미국국립문서기록보관청





▲ 1950. 12. 24. 유엔군 후퇴 후 텅 빈 흥남부두
ⓒ 미국국립문서기록보관청





▲ 1950. 12. 24. 유엔군 후퇴 후 불타는 흥남항
ⓒ 박도





▲ 1950. 12. 26. 전차도 후퇴대열에. 흥남항에서 출발해 부산항에 도착하고 있다
ⓒ 미국국립문서기록보관청





▲ 1950. 12. 27. 인천항에서 출발해 부산항에 도착한 피난민들
ⓒ 미국국립문서기록보관청





▲ 1950. 1. 3. 1·4 후퇴를 앞두고 불타고 있는 서울 시가지

▲ 1951. 1. 5. 1.4 후퇴 피난민 행렬
ⓒ 박도
▲ 1951. 1. 5. 언 한강을 피난민들이 걸어서 건너고 있다
ⓒ 박도
▲ 1951. 1.4. 한강나루터에서 건너야 할 강을 바라보는 피난민 아이들
ⓒ 박도
▲ 1951. 1. 4. 한강 임시 부교
ⓒ 박도
▲ 1950. 12. 29. 양평 , 생포된 포로들
ⓒ 박도
▲ 1950. 11. 29. 최전방의 간호사들
ⓒ 박도
▲ 1951. 1. 6. 수원역에서 남행열차를 기다리는 피난민들
ⓒ 박도
▲ 1951. 1. 5. 한미 합작의 한국군 병사 장비. 신발, 겉옷 , 모자 : 한국제. 코트, 소총, 탄환 : 미제
ⓒ 박도
▲ 1951. 1. 5. 입에 풀칠이라도 하려고 미군 부대에 몰려온 한국의 노무자들
ⓒ 박도
▲ 1951. 1. 4. 무개화차에 몰린 피난민들


▲ 1950. 12. 1. 부산 임시 포로수용소에서 포로를 등록하려고 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 미국국립문서기록보관청






▲ 1951. 1. 16. 대구 근교 신병훈련소에서 신병들이 M1 소총 사격 교육을 받고 있다.
ⓒ 미국국립문서기록보관청






▲ 1951. 1. 4. 대구 근교 신병훈련소에서 신병들이 PRI(사격술 예비훈련)을 받고 있다.
ⓒ 미국국립문서기록보관청






▲ 1950. 11. 5. 국군과 유엔군이 수복한 북한의 어느 지역(평산)에서 주민들이 지역 대표와 치안대장을 뽑고 있다. 그들 대표는 무슨 색깔의 완장을 찼을까?
ⓒ 미국국립문서기록보관청





▲ 1951. 1. 5. 서울. 꽁꽁 언 한강을 피난민들이 조심조심 건너 남하하고 있다.
ⓒ 미국국립문서기록보관청





▲ 1950. 9. 22. 전쟁에는 2등이 없다. 포로가 되는 순간부터 치욕이다. 미군들이 생포된 포로의 온 몸을 수색하고 있다.
ⓒ 미국국립문서기록보관청





▲ 1950. 9. 20. 미군이 인민군 포로들을 발가벗긴 채 수색하고 있다.
ⓒ 미국국립문서기록보관청





▲ 1950. 9. 17. 인천. 유엔군 인천상륙작전 후 함포사격 포화에 무너지고 그을린 인천시가지
ⓒ 미국국립문서기록보관청





▲ 1950. 9. 18. 인천에 상륙하기 위해 전함에서 병사들이 하선하고 있다.
ⓒ 미국국립문서기록보관청





▲ 1951. 5. 28. 38선 부근 6마일 남쪽 마을에서 탱크의 포화소리에 귀를 막는 소년들. 이들의 누더기 바지 차림이 그 무렵 소년들의 대표적 옷차림이다.
ⓒ 미국 문서기록보관청
by 100명 2008. 5. 19. 19: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