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IT강국 실망스런 ‘망인프라’/홍창기기자
“회선 비용을 서비스업체가 100% 부담하고 있어요. 세금 혜택이나 보조금 등으로 정부가 제도적으로 지원해줘야 합니다.”
“국내 인터넷 기업들이 해외로 진출하려면 초고속 국가망처럼 비용도 낮고 회선 용량도 풍부한 글로벌 상용망을 구축해 길을 열어줘야 합니다.”
해외 진출을 염두에 두고 있는 인터넷 기업들이 외국에 비해 글로벌 회선비용이 너무 비싸고 해외서비스를 위한 회선 용량이 부족하다고 하소연하고 있다. 해외 네티즌이 국내 웹사이트에 접속하려면 우리나라 망 업체들의 글로벌 회선을 통해 들어와야 하는데 이 용량이 턱없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이 때문에 해외시장을 겨냥한 서비스를 오픈 하거나 준비 중인 업체들은 글로벌 서비스를 준비 해도 경쟁력이 없고 결국 해외에 별도 서버를 구축하지 않으면 안돼 해외 서비스 업체들과 경쟁하기에는 벅차다는 주장이다.
이들 업체는 “해외에서 접속할 경우 일본을 거쳐서 들어오기 때문에 효율이 일본보다 떨어지는 것은 어쩔 수 없지만 회선 용량에서조차 일본이나 중국보다 절대적으로 부족한 게 문제”라고 입을 모으고 있다.
아울러 국내 기업이 국내에서 해외 서비스를 구축하려면 매달 수억원에 이르는 회선 비용을 지불해야 하지만 일본의 회선서비스 비용은 우리나라의 절반 정도밖에 되지 않고 미국은 25∼ 30%밖에 되지 않는다며 정부가 이 부문에 관심을 가져주길 바라고 있다.
국내에서 해외 서비스를 하기 위해서는 해외 인터넷 서비스 기업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비용을 지불해야하기 때문에 수지 타산이 맞지 않고 해외 인터넷 서비스 업체들과 경쟁이 버겁다는 것이다.
그렇다고 무작정 관련 업계 탓만 할 수도 없다. 해외인터넷 망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사기업에서 감당하기 힘든 막대한 비용이 들기 때문이다.
우리나라 인터넷 서비스 기업의 활발한 해외 진출을 위해서는 기업의 콘텐츠도 중요하지만 부족한 인터넷 회선도 확충해야 한다는 업계의 메아리가 공허한 것이 되지 않도록 정부의 관심이 필요하다. 이제 조직 정비를 시작한 방송통신위원회는 인터넷 서비스기업들이 정부가 나서서 관련 산업을 육성하고 지원해야 한다는 이들의 주장을 한번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 |
“국내 인터넷 기업들이 해외로 진출하려면 초고속 국가망처럼 비용도 낮고 회선 용량도 풍부한 글로벌 상용망을 구축해 길을 열어줘야 합니다.”
해외 진출을 염두에 두고 있는 인터넷 기업들이 외국에 비해 글로벌 회선비용이 너무 비싸고 해외서비스를 위한 회선 용량이 부족하다고 하소연하고 있다. 해외 네티즌이 국내 웹사이트에 접속하려면 우리나라 망 업체들의 글로벌 회선을 통해 들어와야 하는데 이 용량이 턱없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이 때문에 해외시장을 겨냥한 서비스를 오픈 하거나 준비 중인 업체들은 글로벌 서비스를 준비 해도 경쟁력이 없고 결국 해외에 별도 서버를 구축하지 않으면 안돼 해외 서비스 업체들과 경쟁하기에는 벅차다는 주장이다.
이들 업체는 “해외에서 접속할 경우 일본을 거쳐서 들어오기 때문에 효율이 일본보다 떨어지는 것은 어쩔 수 없지만 회선 용량에서조차 일본이나 중국보다 절대적으로 부족한 게 문제”라고 입을 모으고 있다.
아울러 국내 기업이 국내에서 해외 서비스를 구축하려면 매달 수억원에 이르는 회선 비용을 지불해야 하지만 일본의 회선서비스 비용은 우리나라의 절반 정도밖에 되지 않고 미국은 25∼ 30%밖에 되지 않는다며 정부가 이 부문에 관심을 가져주길 바라고 있다.
국내에서 해외 서비스를 하기 위해서는 해외 인터넷 서비스 기업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비용을 지불해야하기 때문에 수지 타산이 맞지 않고 해외 인터넷 서비스 업체들과 경쟁이 버겁다는 것이다.
그렇다고 무작정 관련 업계 탓만 할 수도 없다. 해외인터넷 망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사기업에서 감당하기 힘든 막대한 비용이 들기 때문이다.
우리나라 인터넷 서비스 기업의 활발한 해외 진출을 위해서는 기업의 콘텐츠도 중요하지만 부족한 인터넷 회선도 확충해야 한다는 업계의 메아리가 공허한 것이 되지 않도록 정부의 관심이 필요하다. 이제 조직 정비를 시작한 방송통신위원회는 인터넷 서비스기업들이 정부가 나서서 관련 산업을 육성하고 지원해야 한다는 이들의 주장을 한번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RECENT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