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랫폼 보다 콘텐츠 경쟁력 강화 중요”
[뉴미디어, 우리는 이렇게 준비한다] ⑨ 김광현 한국경제 기획조정실 전략기획국 기획부장

경제신문의 양대 축을 형성하고 있는 매일경제가 묵직한 정석의 느낌이라면 한국경제는 실용적이고 유연한 이미지에 더 가깝다. 매경이 영어문법서의 고전인 ‘성문’이라면 한경은 좀 더 발랄한 ‘맨투맨’이라고 할까. 그래서 경제신문을 얘기할 때 이 둘은 항상 비교대상이 된다.

뉴미디어 전략에서도 이 두 회사는 상당히 닮아있다. 본지 외에 케이블방송을 소유하고 있고, 경제주간지를 발행한다. 전문적인 경제·경영서 출판에서도 이 둘은 경쟁관계다.

“이미 3년 전 미디어 연구소 설립, 올 2월 전략기획국으로 통합 …
뉴미디어 가능성 실행 무대 될것”

한경은 한국경제신문을 중심으로 한국경제TV, 한국경제매거진, 한경닷컴 등이 유기적으로 얽혀있는 구조다. ‘종합 경제 미디어 그룹'이라는 한경의 설명처럼 다매체 다채널 시대에 대응할 수 있는 기반은 갖춰진 셈이다.

한경은 뉴미디어 전략에서 타사보다 앞서 있다는 평가를 받아왔다. 이미 3년 전부터 그룹 차원에서 미디어연구소를 설립해 뉴미디어 동향 파악에 주력해왔다. 미디어연구소는 올해 2월 기획조정실 전략기획국으로 통합되면서 더 다양한 역할을 맡게 됐다.

사내에서 IT전문가로 통하는 김광현(사진·48) 기획조정실 전략기획국 기획부장은 “미디어연구소가 지금까지 뉴미디어 동향과 사업가능성에 대해 자료를 모으고 검토해왔다면 전략기획국은 그 가능성을 본격적인 실행으로 옮기는 핵심부서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미 유망한 사업모델이 상당부분 진척됐다는 의미로 읽힌다.

그는 “전략기획국 외에도 계열사 별로 뉴미디어 담당자들을 두고 뉴미디어 동향파악과 전략을 세우고 있다”고 소개했다. 2005년 하반기부터 월 1회 본사와 계열사 뉴미디어 담당자 10여 명이 고정적으로 참석해 의견을 교환해온 ‘뉴미디어전략회의’가 대표적이다. 이 전략회의에서는 그동안 DMB, 통합뉴스룸, 아카이브 등 각종 현안들이 논의됐다.

그러나 정책과 실행은 조금 다른 문제다. 김 부장은 언론계의 뉴미디어 진출 붐에 대해 회의적인 시각을 갖고 있다. 10년 넘게 IT업계를 취재해 온 경험에 비춰봤을 때 실패위험은 크고 마땅한 수익모델은 없다는 것이 그의 판단이다.

김 부장은 “IT판은 그야말로 지뢰밭이다. 함부로 덤볐다간 다치기 십상”이라고 말했다. 그는 한 예로 지난해 경쟁적으로 케이블TV 시장에 뛰어들었다가 현재 고전하고 있는 신문사들을 언급했다. 그는 또 “DMB나 와이브로는 어떤가. 한때는 뉴스 플랫폼으로 매력이 있을 것으로 봤지만 현재로서는 투자대비 효과가 없다”고 선을 그었다. 시장을 선점하지 않으면 경쟁에서 뒤처진다는 생각으로 쫓기듯 뉴미디어 시장에 뛰어드는 것은 위험하다는 지적이다.

그렇다고 한경의 행보를 단순히 ‘보수적인 투자’라고 단정하기는 어렵다. 한경은 텍스트 콘텐츠를 영상미디어로 통해 단순 전달하는 것이 큰 반향을 기대하기는 어렵다고 보지만 이미 KT의 IPTV를 통해 신문지면 보기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또, 프리미엄 동영상 콘텐츠 서비스인 ‘Hi CEO’는 서비스 시작 1년 만에 손익분기점 도달을 눈앞에 두고 있다. 지난해 3월부터 한경가치혁신연구소에서 콘텐츠를 제작해 별도의 홈페이지(www.hiceo.co.kr)를 통해 유료로 제공하고 있는데, 경영인들 사이에서 입소문이 번지면서 가입자가 빠르게 늘고 있다는 설명이다.

한국경제TV의 T-트레이딩도 대표적인 뉴미디어 서비스다. T-트레이딩은 디지털TV를 통해 양방향 주식거래를 할 수 있는 서비스로 수도권 일부 지역에서 시범 서비스 중이다.

김 부장은 “인프라가 확보돼 양방향 주식거래가 본격화되면 T-트레이딩이 새로운 수익원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한국경제TV가 2010년 입주가 마무리되는 상암DMC 신사옥 입주 뒤에는 더 다양한 서비스들을 선보이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 부장이 요즘 관심을 갖고 추이를 지켜보고 있는 뉴미디어 서비스는 아마존의 ‘킨들’과 같은 이페이퍼(e-paper) 시장이다. 국내에서는 조선일보가 최근 ‘아이리더e’ 서비스를 선보이며 이 시장에 먼저 뛰어들었다.

“시장 선점 경쟁은 위험, 비싼 돈 주고라도 사고싶은 콘텐츠 만들것…
아마존 ‘킨들’같은 이페이퍼라면 경제신문도 도전해볼 만해
정부는 ‘전통미디어 역차별’ 원인 밝혀야”


그는 “아마존 킨들에는 뉴욕타임즈가 월 13.99달러, 월스트리트저널은 9.99달러 등 한화로 1만원 정도의 가격으로 제공되고 있다”며 “킨들처럼 신문과 잡지, 책 등을 결합한 이페이퍼라면 경제신문으로서는 검토해볼 만하다”고 강조했다.

김 부장은 한경의 수준 높은 콘텐츠에 경쟁력이 있다고 믿고 있다. 그는 “신문기업의 경우 플랫폼 다양화에 앞서 콘텐츠 강화가 중요하다”며 “비싼 돈을 주고라도 사고 싶은 콘텐츠를 생산하는 게 목표”라고 밝혔다.

새 정부에 바라는 것으로는 “전통 미디어에 대한 역차별 철폐”를 꼽았다. 그는 “신문사들이 포털에 콘텐츠를 제공하면서 제값을 받지 못하는 이유가 무엇인지 확인해 시정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못박았다.
그는 또 “인터넷이 발달하면서 언론의 진입장벽이 지나치게 낮아진 것도 문제”라며 “마음만 먹으면 누구든지 기자 명함을 들고 다니며 (기업에) 압력을 행사할 수 있는 언론환경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덧붙였다.

■ 김광현 기획부장은

1987년 전자신문 기자로 출발해 이듬해 서울경제신문으로 옮겼고 1995년 한국경제신문에 입사했다. 기자생활 대부분을 정보산업부, 산업부, 유통부, 정보과학부, IT 등 산업관련 부서에서 보냈다.

특히 IT부장 4년을 포함해 10여 년을 IT분야를 취재했다. 지난 3월 기획조정실이 신설될 때 기획부장으로 발령을 받았다.

그는 '광파리의 글로벌IT 이야기'(http://blog.hankyung.com/kim215)라는 블로그를 운영하고 있다.

by 100명 2008. 5. 7. 21: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