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콘텐츠유통전문사' 내년 설립된다

이르면 내년 초 방송콘텐츠의 원활한 유통과 활용, 수출 등을 지원하기 위한 ‘방송콘텐츠유통전문회사’가 설립된다.

 이와 함께 방송콘텐츠 발전 및 진흥, 심의 및 조정을 전담하는 ‘방송콘텐츠진흥위원회’도 꾸려진다.

 한국케이블TV방송협회(KCTA) PP협의회는 국내 방송 콘텐츠 제작과 유통의 활성화를 위해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가칭)디지털 방송콘텐츠 진흥법(안)’을 마련, 방송통신위원회와 문화관광체육부에 제출할 계획이다.

 김영철 KCTA 콘텐츠사업지원국장은 “오는 9일 KCTA 회장단 회의를 거쳐 진흥법(안)을 놓고 최종적인 의사 결정을 할 것”이라며 “다음주에 양 기관에 제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총칙과 부칙을 포함, 총 4장으로 구성된 KCTA 측 법안은 방송콘텐츠 산업 체계적 진흥과 방송콘텐츠 글로벌 경쟁력 확대, 시청자 서비스 강화 등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우선, 방송콘텐츠 진흥에 관한 모든 업무를 추진하고 조정하기 위해 국무총리를 위원장으로 하는 방송콘텐츠진흥위원회 설치를 요구할 예정이다. 이는 방송콘텐츠 정책 추진 체계를 일원화, 효율적인 정책 추진이 가능하도록 하자는 의도다. 방송콘텐츠의 국내외 유통, 활용 및 수출을 활성화하고 건전한 유통질서 확립을 위해 방송콘텐츠유통전문회사를 설립한다는 것이다.

 이로써 해외시장 판로 개척을 위한 신규 시장 확보는 물론이고 해외 마켓 정보 수집 및 분석 등 종합적인 지원 체계를 갖추도록 하는 게 취지다.

 이어 방송콘텐츠사업자의 디지털 전환에 따른 추가 비용부담을 고려해 제작·송출·유통 등과 관련된 장비 및 시설의 디지털 전환 지원을 비롯, 디지털 방송콘텐츠 제작을 활성화를 위한 콘텐츠 포맷 개발, 국내외 공동제작 지원, 방송콘텐츠 자체 프로그램 제작비 지원 등의 방송콘텐츠 제작 지원 방안도 요구할 방침이다.

 특히 방송콘텐츠 제작 및 유통 활성화를 위해 방송콘텐츠 지식재산권 보호 및 공정 이용 등에 관한 지원 방안과 세제 지원, 콘텐츠 제작 지원을 위한 기금조성 방법 등도 담은 것으로 알려졌다.

 KCTA는 이번 주 회장단 의결 이후 곧바로 방통위와 문화부에 디지털 방송콘텐츠 진흥법(안)을 제출할 계획이다.

 김영철 국장은 “당초 지난달에 방통위와 문화부에 제출하려 했지만 수정·보완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며 “방통위와 문화부가 협의를 거쳐 다음달 개원하는 18대 국회에 제출, 오는 9월 정기국회에서 입법 절차가 완료돼 내년 초 시행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by 100명 2008. 5. 7. 09: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