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콘텐츠산업 정책 토론회
미디어 환경이 급변하고 있는 가운데 전통적인 미디어가 생존을 위해 디지털 모델로 전환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김재연 삼성경제연구소 실장은 국회 디지털뉴미디어포럼 주최로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21세기 대한민국 콘텐츠산업 정책 주요 이슈 대토론회'에서 기조발표를 통해 이같이 주장했다. 김 실장은 "최근 콘텐츠 산업이 방송, 출판, 인터넷 등을 아우르는 거대기업 중심으로 재편되고 있다"면서 "시차는 있겠지만 전통적인 미디어가 기존의 아날로그 모델에서 디지털 모델로 전환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가령, 방송의 경우 광고 수익을 기반으로 수십 개 채널을 운영하는 형태에서 광고와 가입비를 기반으로 하는 수백 개의 채널 형태로 변환하고, 신문 역시 광고 수익에 기반을 두고 종이로 배급하는 형태에서 광고와 함께 가입비를 기반으로 온라인을 통해 배급하는 식으로 변해야 한다는 것이다. 특히 콘텐츠의 저작권 보호와 관련한 정부 대책이 절실하며 당위론적인 육성정책보다는 장기적인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방향으로 정부 정책의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그는 강조했다. 글로벌 콘텐츠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실효성 있는 정부의 대책 마련을 촉구하는목소리도 이어졌다. 최영호 한국방송영상산업진흥원 부원장은 "제조업에서 기술이 중요하듯이 콘텐츠 분야에서는 창의력이 중요하다"면서 "정부가 콘텐츠의 질을 높이기 위해 각종 인프라를 지원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우리나라에도 타임워너와 같은 거대 글로벌 미디어 기업이 탄생해야 한다"면서 "거대 미디어 기업이 생산하는 문화콘텐츠가 다른 경제 산업 분야를 선도하게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경선 한국콘텐츠산업연합회 의장은 "대표적 방통융합 서비스로 DMB를 들고 있지만 전적으로 동의할 수 없다"면서 "DMB가 외형적으로 성장한 것처럼 보이지만 양방향성 서비스는 할 수 없고 오로지 방송 수신만 되는 반쪽짜리 서비스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콘텐츠 산업 육성을 위해 정부가 직접 예산을 투입하는 것보다는 콘텐츠 사업자가 양질의 콘텐츠를 만들 수 있도록 제대로 된 사업환경을 마련해달라"며 기반기술 및 표준화 지원, 제작 인프라 지원, 건전한 유통환경 조성, 자율규제 활성화등 4가지 요구사항을 제시했다. 구문모 한라대 미디어콘텐츠학과 교수는 "전체 콘텐츠 매출 중 문화 콘텐츠가 차지하는 비중이 크다"면서 "문화콘텐츠를 만드는 인력이 가장 중요한 만큼 이들을 위한 실질적인 정책을 펴야 한다"고 주장했다.
(서울=연합뉴스)
RECENT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