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약국 전산보안 비상…공인인증 부작용 노출 |
경찰, 대량 수신자 조회한 의원·약국 추가조사 |
약국 전산관리에 비상이 걸렸다. 약국 전산원이 약사 공인인증서를 악용, 수십만 건의 개인정보가 유출된 사건이 발생했다. 11일 서울 방배경찰서는 약사의 공인인증서와 비밀번호를 빼돌려 무려 72만건의 국민건강보험공단 개인정보를 유출한 뒤 채권추심원에게 제공한 30대 남성과 약국 전산원을 붙잡았다. <관련기사 ![]() 불구속 된 K씨는 약국 전산원인 부인에게 의료급여 자격시스템 조회용 약사 공인인증서와 비밀번호를 받아 지난해 9월부터 올해 2월까지 공단 사이트에서 72만건의 수진자 조회를 실시해 이를 채권 추심회사에 넘기 혐의다. 이들은 건강보험 가입자 및 수진자 조회를 실시, 직장 코드가 포함된 정보를 빼돌린 것으로 경찰조사 결과 드러났다. 경찰은 수진자에 대한 대량 조회 기록이 있는 의원, 약국 3-4곳에 대해 추가 조사를 벌이고 있어 개인정보 유출사례가 더 나올 가능성이 크다. 이에 일선 약국가도 전산 보안에 비상이 걸렸다. 즉 의료급여 자격시스템 이나 심평원 DUR 시스템에 접속하기 위해 필수적인 공인인증서를 악용한 범죄가 발생했기 때문이다. 보안을 강화하기 위해 도입된 공인인증서가 되려 정보유출이라는 부작용을 양산한 것이다. 강남의 L약사는 "의료급여자격 시스템 조회 등 약국 청구업무를 하다보면 약사 공인인증서를 전산원이 사용할 수밖에 없다"며 "현실적으로 공단용 공인인증서까지 약사가 관리하기는 힘들다"고 말했다. 서울지역 약사회의 보험위원장은 "공인인증서 외에도 약국청구 SW만 활용해도 주민번호 등 개인정보가 유출될 수 있다"며 "전산원에 대한 전산보안 교육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주문했다. 약국가에선 이번 사건으로 자칫 가족과 같이 일하는 전산원과의 불신이 생길 수도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왔다. |
RECENT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