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다음, 뉴스공급 파워게임 ‘판정승’
![]() |
[서울신문]조선·중앙·동아일보가 포털사이트 다음에 뉴스 공급을 중단한 지 한 주가 지난 14일, 다음 뉴스의 주간 트래픽엔 큰 변화가 없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인터넷 사이트 접속자 수가 일주일 단위로 집계되므로 조·중·동이 뉴스공급을 중단한 지난 7일부터 13일까지의 접속자 합계 수치는 ‘조·중·동-다음’ 파워게임의 승부를 점칠 수 있는 첫 번째 시험대였다. 산술적 결과로만 따지면 일단 다음의 ‘판정승’인 셈이다.
14일 웹데이터 전문 분석기관인 ‘코리안클릭’에 따르면, 조·중·동의 뉴스공급이 중단된 이후 다음의 한 주동안의 조회수는 그 전 주와 별다른 차이가 없었다.
6월30일부터 지난 6일까지 다음 뉴스섹션의 순방문자(측정 기간 중 1회 이상 해당 사이트를 찾은, 중복되지 않은 방문자) 수와 페이지뷰(사이트 방문자들이 조회한 총페이지) 수는 각각 1286만 1911과 107만 78. 반면 조·중·동이 뉴스공급을 끊은 7일 0시부터 13일까지의 순방문자와 페이지뷰 수는 각각 1285만 1246과 102만 1023이었다. 뉴스공급 중단이 영향을 미쳤다고 보기엔 지나치게 미미한 수치다.
이와 관련, 송경재 경희대 인류사회재건연구원 연구교수는 네트워크상에서 이뤄지는 뉴스 확산 메커니즘을 조·중·동이 오판한 결과라고 분석했다.
송 교수는 “네티즌들이 포털뉴스를 찾는 이유는 특정 신문을 보기 위해서가 아니라 가장 빨리 뉴스를 습득하고 싶은 욕구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다음 이용자들 자체가 조·중·동 뉴스를 보기 위해 다음 뉴스섹션을 찾은 게 아니란 사실을 조·중·동이 간과했다는 것이다. 따라서 조·중·동과 다음의 세 대결이 계속될 경우 신문사에 대한 인터넷 포털의 영향력 우위를 입증하는 결과를 낳게 될 것이란 지적도 제기되고 있다.
그러나 한 주간의 성적만으로 양측의 향후 이해득실 관계를 속단하기에는 무리가 있다는 게 중론이다.
RECENT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