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납토성 백제우물서 토기만 215점 출토

기사입력 2008-07-13 08:30 |최종수정2008-07-13 08:56

풍납토성 우물 토기만 215점 (서울=연합뉴스) 한신대박물관이 조사 중인 서울 송파구 풍납토성 경당지구 백제시대 우물이 마침내 바닥을 드러냈다. 백제시대 지표면을 기준으로 최하층 바닥까지 전체 깊이는 4m였으며, 위에서 내려다 본 평면은 위쪽은 타원형에 가까운 방형이며, 그 아래쪽은 각 변 길이 1.2m인 정방형으로 드러났다. 상층 2m 가량은 석축이며 그 아래 70㎝ 가량은 나무판재를 짜서 축조했다. 이곳에서는 완형 토기만 215점이 수습됐다. << 문화부 기사참조, 한신대박물관 제공 >>

바닥부위 1㎥ 가득 채워

풍납토성 우물 토기만 215점 (서울=연합뉴스) 한신대박물관이 조사 중인 서울 송파구 풍납토성 경당지구 백제시대 우물이 마침내 바닥을 드러냈다. 백제시대 지표면을 기준으로 최하층 바닥까지 전체 깊이는 4m였으며, 위에서 내려다 본 평면은 위쪽은 타원형에 가까운 방형이며, 그 아래쪽은 각 변 길이 1.2m인 정방형으로 드러났다. 상층 2m 가량은 석축이며 그 아래 70㎝ 가량은 나무판재를 짜서 축조했다. 이곳에서는 완형 토기만 215점이 수습됐다. << 문화부 기사참조, 한신대박물관 제공 >>

(서울=연합뉴스) 김태식 기자 = 서울 송파구 풍납토성 경당지구에서 드러난 한성백제시대 우물 한 곳에서만 모두 215점에 이르는 완형 토기가 출토됐다.

유적 정비 차원에서 서울시 의뢰로 이곳을 발굴 중인 한신대박물관은 우물에 대한 내부 조사를 완료한 결과 이런 기록적인 숫자의 백제시대 토기를 수습했다고 13일 밝혔다.

풍납토성 우물 토기만 215점 (서울=연합뉴스) 한신대박물관이 조사 중인 서울 송파구 풍납토성 경당지구 백제시대 우물이 마침내 바닥을 드러냈다. 백제시대 지표면을 기준으로 최하층 바닥까지 전체 깊이는 4m였으며, 위에서 내려다 본 평면은 위쪽은 타원형에 가까운 방형이며, 그 아래쪽은 각 변 길이 1.2m인 정방형으로 드러났다. 상층 2m 가량은 석축이며 그 아래 70㎝ 가량은 나무판재를 짜서 축조했다. 이곳에서는 완형 토기만 215점이 수습됐다. << 문화부 기사참조, 한신대박물관 제공 >>

조사 결과 이 우물은 백제시대 지표면을 기준으로 최하층 바닥까지 전체 깊이는 4m였으며, 위에서 내려다 본 평면은 위쪽은 타원형에 가까운 방형이며, 그 아래쪽은 각 변 길이 1.2m인 정방형으로 드러났다.

지표면에서 1m 가량 내려간 지점에서 시작해 아래쪽으로 2m 가량 이어지는 우물 벽면은 강돌이나 깬돌을 이용해 단단하게 쌓았으며, 다시 그 아래 높이 70㎝ 가량 되는 벽면은 나무판재를 짜서 축조한 것으로 드러났다.

풍납토성 백제우물 바닥 출현 (서울=연합뉴스) 김태식 기자 = 한신대박물관이 조사 중인 서울 송파구 풍납토성 경당지구 백제시대 우물이 마침내 바닥을 드러냈다. 백제시대 지표면을 기준으로 최하층 바닥까지 전체 깊이는 4m였으며, 위에서 내려다 본 평면은 위쪽은 타원형에 가까운 방형이며, 그 아래쪽은 각 변 길이 1.2m인 정방형으로 드러났다. 상층 2m 가량은 석축이며 그 아래 70㎝ 가량은 나무판재를 짜서 축조했다. 이곳에서는 완형 토기만 215점이 수습됐다. << 문화부 기사참조 >>

이 중 토기는 공교롭게도 나무곽이 위치하는 층위(부피 1.008㎥)에서만 차곡차곡, 그리고 빼곡히 모두 4겹으로 포개서 쌓은 것으로 밝혀졌다. 그 위 석곽(石槨) 부분에는 대형 판돌 등으로 메웠다.

책임조사원인 권오영 교수는 "모든 토기는 약속이나 한 듯이 주둥이 쪽을 일부러 깨뜨린 흔적이 발견되며, 종류로는 호(壺.항아리)와 병(甁)이 압도적"이라면서 "이들 토기가 제작된 중심 연대는 한성백제 말기인 5세기 초반으로 생각된다"고 말했다.

풍납토성 백제우물 바닥 출현 (서울=연합뉴스) 김태식 기자 = 한신대박물관이 조사 중인 서울 송파구 풍납토성 경당지구 백제시대 우물이 마침내 바닥을 드러냈다. 백제시대 지표면을 기준으로 최하층 바닥까지 전체 깊이는 4m였으며, 위에서 내려다 본 평면은 위쪽은 타원형에 가까운 방형이며, 그 아래쪽은 각 변 길이 1.2m인 정방형으로 드러났다. 상층 2m 가량은 석축이며 그 아래 70㎝ 가량은 나무판재를 짜서 축조했다. 이곳에서는 완형 토기만 215점이 수습됐다. << 문화부 기사참조 >>

이 우물 인접 지점에 위치한 196호 유구(遺構)는 바닥까지 조사한 결과 한 변 길이 10m 가량 되는 방형 창고 건물일 가능성이 큰 것으로 드러났다.

이를 뒷받침하 듯 이곳에서는 유약을 바른 이른바 대형 시유도기(施釉陶器)가 무려 20점 가량 출토됐으며, 그 외 다른 저장용으로 생각되는 토기가 무수하게 확인됐다.
by 100명 2008. 7. 14. 07: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