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정부, 모든 인터넷 이메일 등 내용 감시계획

미국 정부는 앞으로 인터넷 사이트에 대한 감시활동을 벌일 계획을 세우고 있는 것으로 확인돼 또 다시 논란이 일 전망이다.

뉴욕커 신문은 14일 마이클 맥코넬 국가정보국장이 인터넷 사이버 스페이스에 대한 감시를 위해 필요한 계획을 세우고 있다고 밝혔다고 보도했다.

미 정보당국의 인터넷 감시활동은 인터넷에서 오가는 이메일이나 파일 등을 포함하는 모든 내용을 영장없이 감시하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한다고 알려져 다시한번 논란을 불러 일으킬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그러나 맥코넬 국장은 이같은 감시활동에 대한 비난 여론이 일 것을 염두에 둔 듯 이를 "비교를 하자면 마치 공원 속을 거니는 것과 같은 것"이라며 영장 없이도 활동이 정당한 것으로 언급했다고 전했다.

맥코넬 국장은 이를 위해 가칭 '사이버 안보 정책'이라는 계획서를 작성하고 있으며, 아직 완성은 되지 않았지만 앞으로 인터넷망의 감시활동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밝혔다.

맥코넬 국장은 지금까지 줄곳 인터넷망의 감시를 주창해오면서 지난해에는 부시 대통령에게 "만일 9.11 테러를 일으킨 범인들이 미국내 한 은행을 목표로 했었더라면 그것은 성공할 수 있었을 것이며 그 결과는 미국 경제에 9.11 보다 더 큰 결과를 초래했을 것"이라고 건의 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후 부시 대통령은 헨리 폴슨 재무장관에게 이 사실을 확인한 뒤 맥코넬 국장에게 네트워크 안보 전략 임무를 맡겼다고 알려져있다.

전문가들에 따르면 미국내 일반인들이 사용하는 이메일이나 파일 등 내용을 감시할 수 있는 기술은 이미 갖춰져 있으며, 지난해 11월 AT&T사 소속 기술자는 인터넷을 통한 모든 소통내용은 이른바 '비밀 방'으로 거치도록 할 수 있음을 주장했었다.

by 100명 2008. 1. 15. 1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