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두 눈 대신 지팡이 하나로 세상 누볐다 시각장애 넘어 19세기 세계일주
18년 동안 200개 문화권 탐험한
제임스 홀먼의 삶이자 역사서
| ||||||
제이슨 로버츠 지음·황의방 옮김/까치·1만3500원
‘장님, 코끼리 만지기’란 통념을 비웃듯 코끼리를 아예 사냥해버린 시각 장애인이 있었다. 〈세계를 더듬다〉의 주인공인 제임스 홀먼(사진·1786~1857)은 지팡이 하나로 18년 동안 세계 200개 문화권 40만㎞를 돌아다녔다. 지구를 10바퀴 돌거나 달나라에 가는 거리와 맞먹는다고 한다. 그의 발길이 닿지 못한 곳은 한국이나 베트남처럼 몇개 안 되는 ‘은둔국’뿐이었다. 19세기 당시 베스트셀러 작가로 이름을 떨쳤지만 이내 잊혀져버린 그를 이 책의 지은이가 자료 추적을 통해 21세기에 되살려냈다.
영국 해군에 입대하면서 어릴 적 세계일주의 꿈을 키워가던 홀먼은 불행히도 20대 초반의 나이에 압박붕대로 눈을 감싼 채 빛과 영원히 이별하고 만다. 충격이 가실 무렵 침묵과 정적 속에서 세상을 보는 새로운 방식을 체득한 홀먼은 지팡이에서 반향되는 소리로 거리를 읽어내고 어두울 때 필기할 수 있는 기계인 ‘녹토그래프’를 이용해 글을 썼다.
| ||||||
홀먼의 여행에서 일관되게 나타나는 풍경 중 사뭇 부러운 것은 육감적 여인들과의 교제다. “세상의 아름다운 것들은 볼 수 없네. 하지만 마음속에 피어나는 꽃봉오리는 볼 수 있다네.” 방랑시인이기도 한 그가 인용하길 좋아했다는 〈여행가〉 한 대목은 은둔자들을 점잖게 동정하고 있다. “영혼을 불사르고 그 불꽃 속에서 바르르 떨게 하는 그 힘을 모르는 사람들. 그들의 무덤덤한 삶은 꺼져가는 모닥불 같은 것.” 이 책은 특수한 개인의 여행기에 그치지 않고 19세기 초반 사회·문화적 조류와 만날 수 있는 역사서이기도 하다. 뒤집어 말하면 당시 시대상에 대한 호기심이 따라붙지 않으면 쉴새없이 쏟아져 나오는 인명과 지명에 막혀 길을 헤맬 수도 있다. 세계를 더듬지 못하고 코끼리만 만지다 나오면 낭패가 아닐 수 없다.
RECENT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