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줄줄이 인상되는 영화관람료…왜? | ||||||||||||
관객 주머니 털어 적자 메우려는 영화계 극장, 티켓수입 배분 따른 경영어려움 호소하며 관람료 인상 정부 차원의 영화발전기금도 요금 올려 조성 … 관객만 피해 | ||||||||||||
| ||||||||||||
◇부율 문제와 본래 낮게 책정된 요금 요금 인상에 앞서 영화관이 스스로 만들었던 자체 멤버십 할인 폐지는 요금인상의 연장선상에 있다고 볼 수 있다. 영화표에 찍히는 액수만 봐서는 인상이 아니지만 엄연히 관객의 부담이 따르는 것이기 때문이다. 영화 관람료 인상은 개별 극장의 의사에 따라 자율신고제로 적용되고 있다. 최근 영화관은 일제히 요금을 올렸고 문광부 영화진흥위원회 또한 인상 필요성은 인지하고 있다. 이들이 관람료 인상이유로 드는 것은 크게 두가지다. 한국영화의 부율 문제와 다른 국가에 비해 상대적으로 요금이 낮다는 점이다. 먼저 한국영화 부율(티켓수입을 제작사와 극장측이 어떻게 나누는가에 대한 것) 문제를 짚어보자. 현재 제작사와 극장이 5대 5로 수익을 나누고 있다. 계열 영화사가 아닌 곳에서 필름을 받을 경우 영화요금이 6000원이라고 했을 때 3000원은 제작사 손에 들어가고 3000원이 남게 된다. 최저 1000원에서 2000원 정도 되는 멤버십 카드 비용은 결국 영화관이 부담해야 하는 몫이 되고 이마저 빠지면 운영·관리하는 것만도 벅차다는 것이다. 두 번째 상대적으로 영화요금이 낮게 책정돼 있다는 것을 이유로 든다. 실제로 국내 극장요금은 미국이나 일본에 비해 싼 것은 물론이고 이른바 정상가로만 비교하면 국민소득이 훨씬 낮은 중국과 비슷한 수준이다. 여타 공연요금 등과 비교해 보더라도 타당성은 있고 인상이 아니라 정상화라는 말도 어느 정도 관객에게 최소한의 설득력은 줄 수 있다고 봐진다. 하지만 부율 문제는 영화계 자체적으로 해결고리를 찾아야 하는 문제임에도 결국 관객부담으로 떠넘기는 모양새가 되고 있다. ◇영화발전기금, 누구를 위한 정책인가 이번 영화관 요금 인상의 가장 근본적인 원인은 오는 7월부터 시행되는 영화발전기금을 들 수 있다 영화발전기금은 스크린쿼터 축소에 따른 후속조치의 일환으로 조성된 것이다. 7월부터 극장 입장료에서 3%를 떼 영화발전기금에 쓰기로 한 것. 2월 초 입법예고를 했고 조만간 국무회의를 통과할 전망이다. 문제는 이를 앞두고 슬쩍 영화요금이 올랐다는 것이다. 이는 천영세 의원이 문제점으로 지적한 것이기도 하다. 천 의원은 "영화발전기금은 정부 차원의 취약산업 지원정책의 일환임에도 극장 요금인상으로 인해 고스란히 관객 몫으로 돌아가는 판국"이라며 "엄밀하게 따져서 우리 영화관객 역시 불건전한 영화산업구조의 희생자이고 스크린쿼터 축소에 따른 잠재적 피해자인데 피해자의 돈을 걷어 기금을 조성한다는 것은 앞뒤가 맞지 않다"며 요금 인상의 문제점을 꼽은 바 있다. 한국영화산업의 성장은 영화제작 관계자들에게도 있지만 무엇보다 관객의 관심과 응원이 가장 크다. 돈 액수를 떠나 영화 질을 담보로 한 당당한 요구라면 인상의 이유가 된다. 하지만 한국영화 비수기에 그것도 체감적으로 2배에 가까운 요금 인상은 관객이 이해하기는 어려울 수밖에 없다. 통신사 카드 할인 폐지에 이어 멤버십 할인 폐지, 이번엔 요금인상이다. 부담요금이 늘 때마다 한국영화 부율 문제점 등 구조적인 문제점은 계속 지적됐었다. 관객은 온 데 간 데 없고 영화사와 극장이 필요할 때마다 관람료가 왔다 갔다 한다. 유통체질개선은 여전히 요원하다. 이런 상황 속에 계속적으로 요금인상만 추진한다면 관객의 신뢰만 잃을 뿐이다. |
RECENT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