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영화관람료 줄줄이 인상
멀티플렉스 중심 1000원 ↑ … 충남 확산바람
'담합의혹' 제기 … 영화관 "요금 현실화"

타 광역시·도보다 저렴한 요금체계를 유지해 왔던 대전지역 영화관 요금이 지난 4월부터 이달 초까지 한 달 새 일제히 인상됐다.

6000원이던 영화요금이 7000원으로 상향 평준화됐다.

CGV대전이 6000원이던 영화요금을 지난달 초 7000원으로 인상한 이후 롯데시네마대전이 뒤따라 요금을 인상(4월 9일)했고 씨너스대전(4월 11일), 프리머스대전둔산(4월 12일), 스타식스타임월드(4월 25일), MCV아카데미(4월 26일), 씨네위·동백시네마(5월 1일)가 줄줄이 요금을 올렸다.

대전지역 CGV와 롯데시네마 등 대형 멀티플렉스가 요금을 인상하면서 중소형 멀티플렉스가 뒤따랐고, 요금 인상 바람이 충남 지역(천안 제외) 멀티플렉스로 확산돼 지난 1일을 기준으로 지역 영화요금이 인상됐거나 인상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민주노동당 천영세 의원은 요금인상의 요인을 문화관광부의 정책 혼선에서 찾았다.

천 의원은 "문화관광부가 극장협회 등과 합의도 하지 않은 상태에서 영화발전기금의 3%를 분담시켜 4000억 원에 달하는 영화발전기금을 조성하겠다는 방침을 밝혀 극장업주의 요금인상을 부추겼다"며 "결과적으로 전국적인 요금인상 분위기가 형성돼 대전지역 영화관람객의 부담이 커진 셈이다"라고 밝혔다.

요금인상 요인이 영화발전기금 분담에 있는 것이 아니라면 "올해 상반기 영화요금을 올릴 만한 특별한 계기나 물가상승 요인이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요금을 일방적으로 올린 대형 멀티플렉스는 '횡포'라는 비난을 면키 어려울 것이다"라고 강조했다.

천 의원은 이어 "경남 창원의 경우 일주일 새 3개 대형 멀티플렉스가 요금을 인상했고, 대전지역도 일주일 새 대형 멀티플렉스가 요금을 인상한 뒤 중소 멀티플렉스가 뒤따라 요금을 일제히 인상한 것은 담합의혹을 불러일으키기에 충분하다"며 "공정거래위원회의 철저한 감시감독이 뒤따라야 한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대전지역 한 멀티플렉스 관계자는 천 의원의 주장을 "확대해석"이라며 우려를 표시했다.

이 관계자는 "다른 영화관의 요금문제는 전혀 모른다. 영화발전기금 문제와도 상관없다"고 전제하고 "서울 등 다른 지역 영화관 요금은 7000원내지 8000원 이상으로 올랐는데 개점이후 수년째 요금인상을 하지 않았다. 대전지역 요금이 타 지역에 비해 저렴했다는 얘기다. 그만큼 경영부담이 쌓여 요금 현실화 차원에서 불가피하게 요금을 인상했다"고 밝혔다.

천 의원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이후 대전과 함께 서울·경기도·경상도 지역 26개 극장 196개 스크린의 영화요금이 인상됐다.

by 100명 2007. 5. 23. 08: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