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천영세 "미술협회의 미술대전 주최권 환수해야" 미술대전 비리 사태에 '미술대전조직위 구성' 촉구
민주노동당 천영세 의원은 미술대전 비리와 관련, “미협의 미술대전 주최권을 환수하고 미술대전조직위원회 등을 공개적으로 구성해 미술대전 운영을 맡겨야 한다.”고 주장했다.
천 의원은 17일 성명에서 이같이 밝히고, 관계부서인 문화관광부에 대해 “미술계의 오래된 카르텔은 문화관광부의 무성의한 정책에 기생해 온 것”이라며 강도 높게 비판했다.
1949년부터 ‘국전’이라는 이름으로 정부가 운영해온 국내 최대 미술공모전인 미술대전은 1982년부터는 한국문화예술진흥원이, 89년부터는 한국미술협회가 운영해왔다. 미술대전을 둘러싸고 돈이 오갔다는 이야기는 업계에선 이미 상식에 속할 정도로 비리는 광범위하게 퍼져 있었다. 결국 17일 경찰의 수사에 의해 미술협회 간부 등 50여명이 금품을 받은 혐의로 입건되는 사상 초유의 사태가 발생했다.
천 의원은 이에 대한 원인으로 문화예술진흥원을 지목, 성명서에서 미협에게 미술대전을 열수 있는 권한과 돈을 주고도 이를 감시, 비판하지 않은 문화예술진흥원의 잘못을 꼬집었다.
그는 “2003년 문화예술진흥원의 미술협회평가위원회가 내놓은 보고서에 따르면 미술대전에 대한 미술인의 여론조사결과 ‘잘못하고 있다’가 44%, ‘매우 잘못하고 있다’가 13%로 부정적인 의견이 절반이상임을 알수 있다.”며 문화예술진흥원이 심층평가위원회를 구성해 미술대전의 적실성을 평가해왔다는 주장은 잘못됐다고 주장했다.
이어 “이 보고서에는 기타 단체들의 참여를 보장하는 방식으로 구조조정을 하고 심사위원회 등의 위촉과정을 공개적이고 투명하게 바꾸어야 한다고 제안하고 있다.”며 “이는 위원회가 (미술대전 관련)매년 잡음이 끊이지 않고 있음을 자체 조사를 통해 확인해왔으면서도 이에 대한 실질적인 대안을 마련하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천영세 의원은 비리를 없앨 수 있는 대안에 대해 “지난 1989년 이양한 주최권을 재환수한 후, 미술대전조직위원회 등을 공개적으로 구성, 미술대전 운영을 맡기면 된다.”고 주장했다.
그는 “지금과 같은 미술대전 비리는 특정단체에게 독점적으로 행사의 주최권을 이양했기 때문에 발생하는 것”이라며 공개적인 평가의 필요성을 피력했다.
RECENT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