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잠재 의식을 통해 영어를 입력시키는 방법)
이번에는 ‘잠재의식을 통해 영어를 입력시키는 방법’을 알아 보기로 한다.
옛날에 내가 공부하던 얘기를 들으면서 시작하기로 하자.
삼십여년전 내가 한참 영어공부에 푹 빠져 있을 때 얘기이다.
그 때는 정말 “영어를 하기 위한 역사적 사명을 띠고 태어난”것처럼 하루 종일 열심히 공부했다.
책상에 앉아서는 물론이고, 버스를 타고 가면서도, 길을 걸어가면서도, 심지어는 화장실에도 사전을 한 권 매달아 놓고는, 아무 곳이나 펼쳐 들고 거기 나오는 단어들을 읽어보다가, 모르던 단어나 용법이 있으면 몽땅 외운 다음에야 나오곤 했다.
말이 나왔으니 말이지만, 화장실에서 읽는 사전처럼 재미나는 것도 없다.
누구의 방해도 받지 않는 나 혼자만의 공간에서 단어 하나 하나마다 주저리주저리 열려있는 사연들을 읽는 즐거움이란 상상만 해도 상쾌하지 않은가?
여하튼 이렇게 하루종일 열심히 공부를 했는데, 문제는 잠자는 시간이었다.
깨어있을 때는 가능한 모든 시간들을 이용해서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공부했지만 잠자는 동안만큼은 어쩌는 수가 없었다.
그래서 “잠자는 동안에도 저절로 공부가 되는, 뭐 그런 뾰족한 수가 없을까?” 하고 궁리하던 중 기막힌 아이디어가 하나 떠올랐다. 바로 잠자면서도 테이프를 듣는 것이었다.
그래서 매일 밤 잠자리에 들면서, 머리맡에 AFKN 뉴스라든가 미국영화를 녹음한 것 또는 내가 만든 단어장 녹음한 것 등을 틀어 놓고 잠을 잤는데, 기대 이상의 효과가 있었다.
어떤 효과인가 하면, 평소에 그렇게 외우려고 애를 써도 잘 되지 않던 문장이나 단어들이 마치 옛날부터 알고 있던 것처럼 저절로 외워져 있다든지, 또 미국영화 테이프를 들으면서 잠이 든 날은 밤새도록 ‘리차드 버튼’, ‘엘리자베스 테일러’등 외국 배우들과 유창하게 영어로 대화를 나누면서, 칵테일 파티도 하고 데이트도 하는 그런 꿈을 ‘영어로’ 꾸기 시작한 것이다.
나중에 ‘언어교수법’을 공부하다가 알게 된 것인데, 러시아의 한 ‘초월심리학 연구소’에서 개발한 ‘수면학습’이론에 의하면 사람이 잠을 잘 때는 각성시보다 몇 배 또는 몇 십 배에 달하는 엄청난 양의 학습을 할 수 있다고 한다.
그런데, 잠자는 동안 계속해서 학습이 되는 것은 아니고, 잠이 들락 말락 정신이 가물가물해질 때부터 잠이 든 직후 얼마동안과, 또 잠이 깨기 전 깰락 말락 할 때부터 잠이 깨고 난 직후 얼마간까지 피암시성이 굉장히 높아지는데, 그 때에 들은 정보는 잠재의식에 깊이 새겨져서 마치 예전부터 알고 있었던 것처럼 느껴질 정도로 선명하게 기억된다는 것이다.
러시아에서는 이 방법으로 우주인 교육을 한다든가 또는 서방에 파견되는 스파이들에게 여러 가지 복잡한 암호나 비밀정보 등을 암기시키는데 주로 사용했으며, 특히 초단기간에 외국어 학습을 시키는데 큰 효과를 얻어 어떤 경우에는 불과 4주만에 외국어 한 가지를 마스터 시켰다고 한다.
또한, 이 원리는 잠잘 때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고, 잠이 들지 않은 상태에서도, 온몸의 긴장이 완전히 풀린 릴랙스 상태에서 공부를 하면, 놀라울 정도의 ‘잠재의식 학습’이 일어난다고 한다. 이 원리를 이용한 외국어 학습법으로는 불가리아의 로자노프(Lozanov)박사가 창시한 ‘암시교수법(Suggestopaedia)’이 유명하다.
은은한 조명의 아늑한 홀에서, 편안한 안락의자에 몸을 맡긴 채, 온몸의 긴장을 풀고 충분히 릴랙스한 다음, 장중한 바로크 음악이 배경으로 흐르는 가운데, 선생이 천천히 불러주는 단어나 문장들을 듣고 있으면, 자신이 의식하지 못하는 사이에 잠재의식에 그대로 입력되는 방식이다.
1960년대 중반에 불가리아의 수도 소피아에서 있었던 실험에서는 이 교수법을 사용하여, 15명의 참석자 전원이 하루에 1000단어의 프랑스어를 배웠는데, 나중에 테스트 결과 97%의 정답률을 보였다고 한다.
물론 공산국가 특유의 과장이 섞여 있어 그대로 믿을 수는 없지만, 내가 직접 해본 바에 의하면 전해지는 것처럼 기적적인 효과까지는 몰라도, 상당한 효과가 있는 것 만은 사실이다.
그 원리를 간단히 설명 드리자면, 온몸의 긴장이 풀린 릴랙스 상태가 되면, 평소에 머릿속에서 우리의 학습을 방해하던 여러 가지 부정적인 요소들이 줄어들게 되어 학습효과가 높아진다.
예를 들어서 ‘영어는 어렵다는 생각’, ‘틀릴지도 모른다는 공포심’, ‘잊어버리면 어떻하나 하는 걱정’, ‘나는 늙어서 안 돼’등의 부정적인 ‘정서적 여과장치(affective filter)’가 약해지면서 흡수력이 높아지는데, ‘수면학습법’에서 말하는 ‘잠들기 직전의 상태’라는 것도 이와 비슷한 릴랙스 상태를 말하는 것이다.
또한, ‘심리적 교수법(Psychological Method)’으로 유명한 프랑스의 Gouin교수의 이론에 의하면, 우리가 무엇인가를 학습하고 나면 그것이 실제로 실행되기까지 일정한 시간이 필요하다고 한다.
그 기간을 ‘잠복기(incubation period)’라고 부르는데, 이 기간동안에 우리의 머릿속에서는 알게 모르게 ‘되삭임질’ 같은 것이 반복되면서 새로 배운 것을 머릿속에 정착시킨다.
실제로 어렸을 때 자전거 타기를 배운다든지, ‘롤러 블레이드’같은 것을 연습했을 때, 그 당시에는 잘 안되던 것이 다음날 아침에는 신기할 정도로 잘 되던 기억들이 있을 것이다. 그것이 바로 잠을 자는 동안에 잠재의식이 되삭임질을 하여 그 기술을 숙달시킨 결과이다.
잠자리에서 영어 테이프를 듣다가 잠이 들어도, 그와 비슷한 일이 머릿속에서 일어난다. 밤새도록, ‘영어로’ 연설하고, 데이트도 하고, 싸우기도 하는 꿈을 꾸는 것이 그 예인데, 우리가 잠을 자는 동안에도 잠재의식에서는, 잠들기 직전에 귀를 통해서 머릿속에 흡수한 영어를 되삭임질 하는 활동을 하고 있는 것이다.
다음 회를 통해 잠을 자면서 머릿속에 영어를 입력하는 요령을 구체적으로 알아보기로 하자.
RECENT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