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방통위, 방송위 출신 직원 이탈 가속화
- 정통부와 합친뒤 10명 이상 이미 퇴직
- 5·6급 상당수 정보통신정책연구원에 지원
- "급여 하향조정, 공무원 조직 적응 못해"
[이데일리 박지환기자] 방송위원회 출신의 방송통신위원회 공무원들의 이탈이 늘면서 방통위가 고민에 빠졌다.
지난 2월 29일 방송위와 정보통신부가 통합, 방통위가 출범한 이후 이미 10명 이상의 방송위 출신 직원들의 자진 퇴직했다.
문제는 방송위 출신 방통위 공무원들의 이탈이 진행형이라는 점. 최근에는 방송위 연구센터 출신의 5·6급 박사급 공무원들 가운데 상당수가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에 지원했으며, 일반직원 1명도 사직서를 제출한 것으로 전해졌다.
방송위 출신의 한 직원은 "이들은 이직이 이뤄졌거나 이직이 확정된 사람들로, 이직을 준비하는 이들은 훨씬 더 많다"고 전했다.
방송위 출신들은 동료 방송위 출신 공무원들이 방통위를 떠나는 가장 큰 이유로 급여문제를 제시하고 있다.
방통위에 근무하면서 민간기구인 방송위에 근무할 때보다 급여가 최대 40% 이상 줄어들었는데, 그에 맞춰 갑작스럽게 비용을 줄이기 쉽지 않다는 것이 방송위 출신들의 공통된 반응이다.
이와 관련 방송위는 공무원 조직인 정보통신부와 합치면서 공무원 신분으로 전환됐고, 이에 따라 급여 수준도 공무원에 맞춰 조정됐다.
일부에서는 그동안 민간 특수법인이었던 방송위에서 근무하다 공무원 신분으로 바뀌면서 조직 적응이 쉽지않다는 점을 꼽기도 한다. 한 직원은 "조직분위기가 방송위보다 훨씬 경직돼 의사를 제대로 밝히기도 힘들고 이에 따라 스트레스도 훨씬 많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다른 직원은 "직장생활 초기부터 공무원을 지원했던 사람들이 아니라서 공무원 생활에 미련이 크지 않다"며 "따라서 언제든지 좋은 기회만 오면 떠나겠다는 직원들이 적지 않다"고 말했다.
그는 "연쇄 이탈이 일어날 경우 방통위의 방송업무 진행에 적지않은 차질을 빚을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RECENT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