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궁지에 몰린 도내 중소영화관(하) 대안은? | |||||||||
'예술영화 전용관'으로...부산 국도극장, 예술관 자리매김 | |||||||||
| |||||||||
하루에 손님이 들 때가 손꼽을 정도인 도내 중소영화관. 필름 수주도 어려워지면서 경영은 더 악화돼가고 있다. 수익으로만 생각한다면 폐쇄해야 하지만 지역 문화공간으로 일어날 수 있다고 생각한다면 손을 털 수만은 없는 상황. 그러나 대안이 없는 것만도 아니다. 지역 중소영화관 대표들은 변화의 시도 끝에 예술전용관으로 자리매김한 국도극장의 예를 희망으로 삼고 있다.
대형 멀티플렉스의 침공으로 하나 둘 맥없이 무너진 부산지역 향토 극장들. 부산 중구 PIFF 거리의 국도극장도 그 중 하나다. 국도극장은 휴관과 폐관을 반복하고 제한상영관 등으로의 변신을 거듭하며 생존을 위해 필사적으로 몸부림쳤다. 2005년 '국도극장 예술관'으로 이름을 바꾼 국도극장은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영화진흥위원회로부터 올해의 예술영화관으로 선정됐다. 변신의 첫 작품으로 부산 극장가에 걸리지 않았던 재중동포 장률 감독의 <망종>이 상영돼 눈길을 끌었다. 영화진흥위원회가 지원하고 있지만 여전히 재정적으로 어렵기는 마찬가지. 하지만 부산 관객들의 성원은 힘을 북돋운다. 현재 국도극장 예술관의 인터넷 카페(cafe.naver.com/gukdo)에는 600여 명의 회원이 가입돼 있으며 연회비를 내는 회원도 100여 명에 이른다. 또 독립영화협회 등 관련 단체와 연계해 매주 수요일을 독립영화 상영일로 정해 수준 높은 국내외 독립영화, 해외 애니메이션을 상영하는 등 대형멀티플렉스 극장과는 차별화되는 전략으로 관객을 이끌고 있다. 도내 중소영화관 관계자들은 국도극장의 변화를 보고 희망을 안고 있다. 예술영화 전용관 등 대형 멀티플렉스와 경쟁할 수 있는 틈새 영화관만이 가능하다는 판단 때문이다. 진해 중앙극장 대표는 "하드웨어면에서는 멀티플렉스 극장을 따라갈 수가 없어 콘텐츠로 경쟁력을 갖추는 수밖에 다른 방법이 없다"고 분석했다. 여기에 영화진흥위원회의 예산지원도 받을 수 있어 어느 정도 영화관으로 버틸 힘도 생긴다. 예술영화전용관으로 선정되면 200석 기준으로 관객의 8%까지, 즉 연간 5000여만원이 지원된다. 하지만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영화진흥위원회 지원 예술영화전용관 선정사업에 도내 극장은 한 곳도 지원하지 않았다. 심사를 담당하고 있는 김보연 팀장은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서울, 부산 등 광역도시 중소극장들이 주로 지원하고 있다"며 "극장주의 의지와 예술영화 관객 동원 가능성 등을 어느 정도 고려한 후 선정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인근 부산만 해도 다양한 영화를 볼 수 있는 기회가 많은 편이다. 하지만 도내는 한 곳도 없어 서울, 부산 등에서 상영하는 괜찮은 영화를 제목만 보고 군침만 흘리는 경우가 많다. "보고 싶어도 볼 수가 없다"는 관객들이 계속적으로 늘고 있는데다 경남은 전문직 종사자 등 관객층도 부산만큼 튼튼해 국도극장과 같은 부활도 가능할 수 있다. 하지만 조건은 있다. 무엇보다 지역 중소영화관 관계자들의 의지가 중요하다. 55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는 서울 중앙시네마의 경우 2006년 개봉작 재상영회, 애니 충격전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선보여 인디영화 상영관 가능성을 계속적으로 타진하고 있다. 영화진흥위 또한 장기적인 관점으로 추진할 극장주의 의지를 첫 번째 선정기준으로 본다. 예술전용관은 지역관객들이 다양한 영화를 접할 수 있는 기회이자, 중소영화관도 영화관으로 살아남을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다. 하지만 극장주가 의지를 가지고 다양한 프로그램을 알릴 때 지역관객들의 관심도 모아질 것이다. |
RECENT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