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리로 나선 네티즌 ‘광고주 압박’ 확산

ㆍ네티즌, 28일 수사 규탄 ‘촛불’… 온·오프 연계

검찰과 보수언론에 맞선 네티즌들의 광고주 압박운동이 갈수록 확산되고 있다. 네티즌들은 24일 ‘전면전’을 선포하고 이번주 촛불집회와 보수언론 절독 가두 캠페인에 돌입키로 했다. 네티즌들의 광고주 압박이 온·오프라인에서 함께 이어지며 더욱 격렬해지는 양상이다.

네티즌들은 오는 28일 광화문사거리에서 검찰 수사 등을 규탄하는 첫번째 촛불집회를 열 계획이다. 광고주 압박 논란 이후 이 문제로 네티즌들이 집회를 갖기는 처음이다. 집회에서는 정부의 미 쇠고기 수입 협상과 검·경의 네티즌 수사, 정부의 보수언론 엄호 행태를 모두 겨눌 예정이다. 지금까지 광고주 압박운동은 기업에 대한 항의전화나 인터넷 불매운동이 중심을 이뤘다.

24일 다음 아고라는 “28일 오후 2시 광화문사거리로 모이자”는 네티즌들의 글이 꼬리를 물었다. 네티즌들은 “검찰과 경찰이 무법적으로 국민을 탄압하고 보수단체를 감싸고 있다” “조·중·동도 합법적인 소비자 불매운동의 권리를 인정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조·중·동 폐간’을 외치던 네티즌들의 목소리는 보수언론 절독 가두 캠페인으로 이어지고 있다. 아고라 네티즌들을 중심으로 한 인터넷 모임 ‘진실을 알리는 시민’ 회원들은 이날 아침 대구 버스정류장 등지에서 출근길 시민들을 대상으로 조·중·동 절독 운동을 펼쳤다.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한국YMCA전국연맹, 한국생활협동조합연대 등 소비자단체들은 공동 성명을 내고 “소비자의 정당한 권리인 불매운동에 대해 검찰이 구속수사를 거론하는 것은 부적절하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기업이 인터넷에서 수집한 수백만의 개인정보를 판매하는 범죄행위에는 불구속수사를 원칙으로 하면서 소비자의 정당한 권리인 불매운동은 구속수사하겠다는 사법당국의 방침은 상식적으로 이해하기 어렵다”고 주장했다.

이어 “‘조중동 광고기업 불매운동’의 본질은 무시된 채 일부 표현상의 무리한 점만 부각되고 있다”며 “과도한 표현이 문제라면 피해자가 소송을 하면 될 일이지 법무부와 검찰이 나서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며 법집행에 신중을 기할 것을 촉구했다.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도 ‘네티즌의 불매운동과 광고 중단요구, 과연 불법인가’를 주제로 토론회를 열었다. 고려대 김기창 교수(법학)는 “언론사도 기사를 상품으로 파는 기업이기 때문에 윤리·사회적 책임이 요구된다”며 “이 같은 관점에서 네티즌들의 압박운동은 소비자들의 합법적인 영향력 행사”라고 분석했다.

인터넷 사이트 ‘82cook닷컴’ 회원인 이주연씨는 “보수적인 주부들이 불매 운동을 시작하게 된 것은 쇠고기 문제에 대해 조·중·동이 작년과 올해 상반된 주장을 펼치고 있다는 객관적인 사실을 확인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by 100명 2008. 6. 24.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