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포털 규제돼야`..케이블TV협회, 방송위에 건의문(1보)
[이데일리 2006-08-03 09:02]

[이데일리 백종훈기자] 케이블TV협회가 하나로텔레콤(033630)의 TV포털서비스 `하나TV`가 방송서비스에 해당한다고 제동을 걸고 나섰다.

케이블TV협회는 3일 TV포털서비스도 엄연한 방송서비스에 해당하므로 방송위원회의 규제를 받아야 한다는 골자의 `정책건의문`을 방송위에 제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케이블TV협회 관계자는 "여기서 방송위 규제란 방송사업자 승인부터 정식으로 받으라는 것"이라며 "하나로텔레콤은 방송사업자로서의 여러 요건들을 갖추지 않은 상태에서 TV포털서비스를 시작했다"고 주장했다.

`TV포털`이란 TV에 초고속인터넷망과 셋톱박스를 연결해 영화·드라마·교육 프로그램 등 다양한 콘텐츠를 볼 수 있는 주문형비디오(VOD) 방식의 서비스를 말한다.

by 100명 2006. 8. 3. 12:31

방송위, "TV포털도 방송서비스, 예의주시중"
[아이뉴스24 2006-08-02 16:31]

TV포털 서비스가 상용서비스에 들어간 가운데, 방송위원회(위원장 이상희)가 조만간 입장을 밝힐 것으로 보여 주목된다.

방송위원회 관계자는 2일 "최근 상용화에 들어간 하나로텔레콤의 TV포털 서비스 '하나TV'가 방송법상 문제가 있다고 보고 내부 논의중"이라며 "위원회 입장을 조만간 밝힐 계획"이라고 밝혔다.

TV포털은 TV에 셋톱박스와 인터넷 회선을 연결해 다양한 동영상 콘텐츠를 주문형 비디오(VOD) 방식으로 제공하는 서비스로 인터넷프로토콜 텔레비전(IP TV)과 비슷하지만 실시간 방송 기능을 뺐기 때문에 IP TV의 전단계로 볼 수 있다. VOD 외에 게임, 노래방, 생활정보 제공 등 다양한 부가서비스도 제공한다.

방송위원회 관계자는 "실시간 방송 기능은 없지만 TV포털 서비스를 방송서비스로 봐야 한다는 것이 분명한 위원회의 입장"이라며 "상용서비스로 접어들면서 방송법 적용 여부를 고민한 것이 사실"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제재 여부를 따로 준비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면서도 "가입자 모집이 정식으로 시작된 만큼 방송위의 입장을 정리할 필요가 있을 것 같다"고 덧붙였다.

하나로텔레콤이 이미 적극적인 영업활동을 시작했고 가입자 모집에도 속도가 붙은 상황이기 때문에, 그동안 TV포털을 '시범서비스'라면서 신경쓰지 않았던 기존 판단을 재고해봐야 한다는 설명이다.

그는 VOD서비스만으로도 방송으로 보는 것이 가능하냐는 질문에 "현재도 VOD 서비스를 하기 위해 방송위에 PP 등록을 한 방송사업자가 있다"며 "VOD중에도 NVOD(Near VOD)나 RVOD(Real VOD) 등 다양한 형태의 주문형 비디오 서비스가 있기 때문에 VOD도 방송이라는 입장은 확고하다"고 전했다.

◆ 'IP TV 논의 주도권 뺏길까' 우려

방송위의 실제 걱정이 하나로텔레콤 서비스 자체는 아니다. TV포털이 방송통신 융합의 결정체인 IP TV의 전단계라는 점에서 IP TV의 정체성이 확정되기 전에 먼저 상용서비스가 시작된 것에 대해 우려하고 있는 것.

방송위 관계자는 "TV포털이 VOD 서비스를 통해 전국적인 가입자 기반을 확보해놓고 사실상 IP TV로 바로 가려는 준비나 마찬가지인데, 여전히 IP TV에 대한 총체적 논의를 진행중인 상황에서 통신사업자의 TV포털 상용서비스는 IP TV 논의 자체를 무력화시킬 수 있다"고 걱정했다.

이 관계자는 "지난 달 말 출범한 방송통신융합 추진위원회 활동에 기대를 걸고 있다"며 "가장 바람직한 것은 추진위에서 관련 법제를 조속히 정비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럼에도 그는 "이미 상용서비스가 시작된 마당에 추진위 내부에서 위원간 의견 조율 때문에 결론 도출이 늦어진다면 곤란해진다"며 "그럴 경우에는 정책적인 차원이 아닌 실무적인 차원에서라도 입장 정리를 하고 행동에 들어가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케이블TV방송협회 역시 TV포털 서비스에 대해 우려하는 입장이다. 협회 관계자는 "TV포털 서비스가 방송역무에 속하므로 자격을 갖춘 다음에 서비스해야 한다는 입장을 방송위에 분명히 알릴 계획"이라며 "서비스가 이미 시작된 이상 방송위에서도 조치를 취할 것으로 보고 있다"고 전했다.

by 100명 2006. 8. 2. 18:50

美IPTV시장 연110%↑…2010년 1068만가구 시청
[파이낸셜뉴스 2006-08-02 17:30]

미국의 인터넷TV(IP-TV) 시장이 연평균 110% 증가해 오는 2010년에는 1068만가구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됐다.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은 2일 ‘미국의 IP-TV서비스 시장 현황과 전망’ 자료에 따르면 미국의 IP-TV 서비스가 지난해 2005년 26만3000가구로 시작해 올해 3배가 늘어난 62만3000가구로 늘어났다.

보고서는 오는 2008년에는 올해보다 6배가 성장한 375만가구로 늘어나고 오는 2010년에는 미국 TV시청 가구 중 8.6%에 해당되는 1068만가구에 육박할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의 IP-TV서비스는 케이블TV사업자의 트리플서비스플레이(TPS)에 대응하기 위해 지난해 거대 통신사업자에 의해 제공되기 시작했다.

이같은 빠른 확산의 주요 배경에는 IP-TV서비스를 제공할 인프라의 보급, 규제 완화 등의 구조적인 서비스 확산 장애요인이 빠르게 제거되고 있기 때문이다. 또 앞으로 소비자에게 경쟁 상품 대비 콘텐츠 및 가격매력도가 부각될 것이라는 전망도 뒷받침되고 있다.

정보통신산업연구실 오정숙 연구원은 “미국 IP-TV 서비스의 1000만가구 돌파는 위성방송이 가입자를 확보한 기간보다 휠씬 빠르다”고 말했다.

미국의 IP-TV 서비스의 규제 현황은 지난 96년 통신법이 개정돼 통신과 케이블TV를 동시에 서비스할 수 있게 됨으로써 통신사업자에 대한 방송사업 신규 허가가 이루어지고 있다.

한편 국내는 정부의 규제 속에서 KT를 비롯한 국내 통신업체들이 시범서비스를 마치고 상용화를 기다리고 있으며 최근 IP-TV서비스가 1년 지연될 경우 1조원이 손실될 것이라는 보고서가 발표된 바 있다.

/mindom@fnnews.com 박민철기자

by 100명 2006. 8. 2. 17:40
초고속인터넷이 위성방송을 만났을 때...
2006/07/30 23:31

(AT&T의 홈존 서비스에 가입하면, 'AT&T 야후'가 인터넷으로 제공하는 각종 서비스를 TV와 DVR 내장의 셋톱박스로 즐길 수 있다. 사진은 'AT&T 야후'의 원격 서비스를 통해 보고 싶은 TV프로그램을 예약 주문하는 장면이다.)

오늘은 초고속인터넷과 위성방송의 융합서비스에 대해 쓰고자 합니다.


미국의 최대 통신사업자인 AT&T가 위성방송과 초고속인터넷(DSL: digital-subscriber-line)을 결합한 ‘홈존’(Homezone)서비스를 샌 안토니오와 오하이오에서 지난 7월24일부터 시작했다고 외신들이 일제히 보도했습니다. AT&T는 지난 수개월간 주로 자사 직원들인 230가구를 상대로 홈존의 시험서비스를 진행했고, 올해 안에 13개 주로 이 서비스를 확대할 것이라고 합니다.


홈존은 AT&T의 광케이블 기반 IPTV인 'U버스TV'(U-verse TV) 서비스가 제공되지 않는 지역의 가입자들을 타깃으로 한 서비스입니다. 말하자면, IPTV로 진화하기 이전에 그 갭(gap)을 메우기 위한 ‘갭 필링’(gap filling) 또는 ‘스탑 갭’(stop-gap) 서비스라고 합니다. 즉, 광케이블(fiber) 기반의 6메가(6Mbps) 이상의 VDSL네트워크를 포설하지 않은 지역에서는, 광케이블 대신에 기존의 구리로 된 전화선과 위성방송의 접시안테나를 사용해 ‘AT&T 야후’의 초고속인터넷과 ‘에코스타 커뮤니케이션스’의 위성방송을 합쳐 양방향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입니다. 초고속인터넷과 위성방송의 두 가지 서비스는 ‘2와이어’가 제작해 AT&T에 공급한 홈존 전용 통합셋톱박스 안에서 합쳐집니다.



홈존이 흥미로운 점은, 그것이 ‘미디어 컨버전스’의 모습을 잘 그려내고 있다는 사실입니다. AT&T라는 거대 통신사업자와 야후라는 인터넷 포털, 그리고 에코스타라는 위성방송사업자가 손을 잡았습니다. 통신, 인터넷, 방송미디어가 상호 연대를 통해 서로의 부족한 점을 메우면서 가입자들을 붙잡아두려는 시도가 바로 홈존이 아닌 가 싶습니다.

홈존은 초고속인터넷과 위성방송 요금 이외에 별도로 월 10달러를 내야 합니다. 이렇게 가입하면, AT&T 야후가 제공하는 사진과 음악 콘텐츠를 즐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종 쇼프로그램 정보와 영화 리뷰 등 웹 기반 콘텐츠를 누릴 수 있고, 인터넷과 셋톱박스의 디지털 녹화기를 통해 각종 프로그램을 주문해 보는 VOD서비스도 받을 수 있습니다.


홈존같은 서비스는 국내에서도 일찍이 시도한 적이 있지만, 사업자간 이해관계로 인해 실제로 실현된 적은 없습니다.

국내 유일의 위성방송사업자인 스카이라이프(한국디지털위성방송)는 일찍이 2004년 10월 하나로텔레콤과 방송통신 융합서비스를 위한 포괄적 제휴를 맺은 바 있습니다. 제휴의 목적은 물론 하나로의 초고속인터넷과 스카이라이프의 위성방송을 합친 결합상품과 이를 바탕으로 한 ‘홈존’같은 서비스였습니다.

당시 제휴가 현재도 유효한지는 두 회사에 확인해 봐야 할 일입니다만, 얼마 전 하나로텔레콤이 ‘하나로TV’로 사실상 IPTV를 개시한 상황에서, KT가 최다 주주인 스카이라이프가 하나로텔레콤과 손을 잡고 ‘홈존’같은 융합서비스를 창출하는 사업에 상호 협력할 수 있을 지는 미지수입니다.


스카이라이프와 KT가 힘을 합치면, 홈존 같은 서비스는 그리 어려울 것 같지는 않습니다. KT가 자체 망으로 할 수 있는 지역에서는 통신망 기반의 IPTV서비스를 제공하고, 그렇지 않은 지역에서는 위성방송과의 결합에 의한 홈존 같은 서비스를 하는 것입니다. AT&T가 ‘U-버스’와 ‘홈존’의 두 가지 서비스를 병행하고 있듯이 말입니다. 하지만, 세상만사 그렇지만, 기술적으로는 어렵지 않아도 여러 회사가 서로의 욕심을 버리고 손을 맞잡기란 기술보다 쉽지 않은 것 같습니다.<

by 100명 2006. 8. 1. 19:03
불법 방송송출 어떻게 잡아낼까
[디지털타임스 2006-08-01 11:05]

콘텐츠 소유자ㆍ구매자 정보 포함… 불법복제 사용자 추적

‘핑거프린팅’활용 손바닥 보듯…

최근 유료방송 업계가 후진적인 불법 방송 송출 사건으로 몸살을 앓고 있습니다.

불법방송 송출이란 허가받지 않은 사업자가 흔히 위성안테나 등 자가수신설비를 세우고 국내외의 방송채널(PP)을 무단 수신한 후 이를 공시청망 등을 활용해 비 가입가구에 불법 송출하는 것을 말합니다.

지난달 6일 전남 목포의 지역 케이블TV방송사(SO)인 서남방송이 이같은 불법 방송 송출을 혐의로 모 통신사 지역지사 및 하도급업체를 경찰에 형사 고소한 사건이 발생했습니다. 또한 위성방송 스카이라이프는 지난 4월에 같은 이유로 충남 공주ㆍ부여 지역의 충남연합방송을 형사 고소, 현재 검찰 수사가 진행 중입니다. 충남연합방송은 원래 이 지역 SO였지만 올 초 방송위원회의 재승인 심사에서 탈락했고 지난 3월17일로 승인유효기간이 만료돼 이 날짜 이후 방송사업자가 아닙니다. 그런데도 회사는 갖고 있는 송출설비로 스카이라이프의 채널들을 불법으로 송출해 온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디지털방송이 되면서 불법 송출을 잡기가 더 쉬워졌습니다. 스카이라이프는 충남연합방송의 불법 송출을 `핑거프린팅'이란 기술을 활용해 잡아냈습니다. 충남연합방송 사건을 통해 이 `핑거프린팅' 기술이 무엇인지 알아보겠습니다.

스카이라이프 서부지사가 충남연합방송의 불법 송출을 포착한 것은 3월 중순. 스카이라이프는 4월에 형사 고소하고도 문제가 해결되지 않자 5월 중순께 서부지사와 본사 기술개발실이 협력해 핑거프린팅 기술을 적용했습니다.

핑거프린팅은 방송센터에서 특정 셋톱박스를 대상으로 특정 신호를 보내면 해당 셋톱박스와 맞물린 TV 화면 상단에 숫자가 표기되게 하는 것입니다. 즉 충남연합방송이 스카이라이프 셋톱박스를 통해 받은 신호를 자신의 가입자들에게 재송출할 경우 그 방송을 시청하는 가구에서의 TV 화면에는 동일한 숫자가 표시됨으로써 불법 이용임을 확인하는 것입니다.

핑거프린팅은 원래 콘텐츠의 불법 복제나 불법 이용으로부터 저작권을 보호하기 위해 콘텐츠 자체에 다른 신호를 삽입해 콘텐츠 소유권을 증명하는 기법입니다. 특히 소유자 정보 뿐만 아니라 구매자 정보도 포함시켜 불법 복제를 한 사용자를 추적할 수 있는 보다 적극적인 저작권 보호 기술입니다. 이를 위해 콘텐츠 복제 시 사용자마다 다른 식별정보를 삽입하게 됩니다.

스카이라이프같은 방송의 경우 동일한 콘텐츠를 다수가 동시에 이용하는 형태이므로 하나의 콘텐츠에 모든 가입자 식별 정보를 넣는 것이 현실적으로 불필요하고 어렵습니다. 때문에 스카이라이프는 방송신호 송출단에서 특정 명령을 통해 가입자의 셋톱박스 안에 장착된 스마트카드의 고유번호가 가입자 TV 화면에 표시되도록 하는 변형된 방식을 사용합니다. 이를 통해 불법적인 공동 시청을 하고 있는 지, 가입하지 않은 채널을 보고 있지 않은지, 서류 상의 주소와 일치하지 않은 지역에 설치해두고 보고 있지는 않는 지 등을 확인할 수 있답니다.

핑거프린팅에는 ECM(Entitlement Control Message), EMM(Entitlement Management Message) 등이 필요합니다. ECM은 콘텐츠 안에 상품정보, 시청연령, 복제가능 여부, 특정 지역 시청자들만 시청하도록 하는 `Spot' 기능, 반대로 특정 지역 시청자들만 시청을 차단하는 `Blackout' 기능 등 시청 권한과 관련된 정보에 해당합니다. EMM은 개별 가입자 또는 특정 그룹의 가입자에게 전송되는 제어정보로 보통 수신장비에 특정한 명령을 전달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스카이라이프의 핑거프린팅은 크게 채널 기반, 지역 기반으로 구분됩니다. 채널 기반 핑거프린팅은 특정 채널을 시청하는 가입자의 TV 화면에 스마트카드 번호가 표시되는 것으로 특정 채널이 불법 송출되고 있는 지를 확인하는데 효율적입니다. 여기에는 ECM이 사용됩니다. 지역기반 핑거프린팅은 전체 가입자, 특정 지역 가입자 또는 개별 가입자 단위로 적용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서울에 사는 가입자를 식별하기 위한 명령을 전달하면 해당 가입자의 모든 채널 화면에 스마트카드 번호가 표시됩니다. 여기에는 EMM이 이용됩니다. 채널 기반과 지역기반을 혼용해서 쓰기도 하는데 예를 들어 서울에 사는 `메이저리그채널' 시청가구를 식별해낼 수 있습니다.

이 밖에 스마트카드 번호가 TV 화면에 직접 노출되는 `Overt' 방식과 숨겨져 있는 `Covert' 방식이 있습니다. 충남연합방송건에 사용된 `Overt' 방식의 경우 시청자의 시청 방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스마트카드 번호가 표시되는 TV 화면 위치, 글자 색, 표시기간을 조정할 수도 있답니다. 보통 좌측 상단에 흰색 글씨로 10초 정도 깜박이는 형태가 사용된답니다.

스카이라이프는 5월 중순에서 6월초까지 지속적으로 확인한 결과 불법 송출 채널 수가 44개에서 점차 줄어 한자리수만 송출되고 있음을 확인했습니다.

과거 방송위는 불법 방송에 대해 대대적인 단속을 벌이곤 했는데 완전히 뿌리뽑기 어려운 게 현실입니다. 일정한 시일이 지나면 관리가 허술한 틈을 타 불법 사업자가 또 다시 나타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방송위의 단속 활동 얘기가 들리지 않고 있으니, 최근 잇따른 사건들의 책임 논란에서 방송위도 피해갈 수는 없을 것 같습니다.

by 100명 2006. 8. 1. 18:42

방송ㆍ통신 융합의 개념과 유형
[연합뉴스 2006-08-01 05:31]

(서울=연합뉴스) 류현성 기자 = IT기술과 방송기술의 발전으로 방송과 통신의 경계가 모호해지면서 방송과 통신의 융합(Convergence)이라는 단어가 아주 빈번하게 인구에 회자되고 있다.

통신망이 더 이상 음성이나 데이터의 전송통로로만 사용되지 않고 방송프로그램을 전송할 수 있게 됐고 방송망 역시 통신서비스인 인터넷과 전화 서비스까지 제공할 수 있게 된 방통 융합이라는 개념이 자연스럽게 생활의 일부로 자리잡게된 것.

방송ㆍ통신의 융합은 크게 망융합, 서비스 융합, 사업자 융합, 기기간 융합의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우선 망융합(Network Convergence)의 경우 KT, 하나로텔레콤이 준비하고 있는 IPTV(인터넷TV)가 대표적인 예이다. IPTV의 영상 자체는 방송의 형태이고 방송사 또는 방송콘텐츠 제작업체로부터 제공받지만 통신사업자의 백본망 및 가입자단 초고속인터넷망을 통해 최종 사용자에게 전송된다.

이와는 반대로 케이블TV사업자(SO)들은 기존에 방송을 위해 이용됐던 광동축혼합망(HFC)을 인터넷과 인터넷전화 등 통신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망으로 이용하고 있다.

서비스 융합(Service Convergence)의 경우 대표적 예가 인터넷방송이다. 사용자들은 주문형비디오(VOD), 영화 등의 멀티미디어 자료를 인터넷 통신망을 통해 실시간으로 다운로드 받거나 재생한다. 이 경우 콘텐츠가 DMB(이동멀티미디어방송)같은 방송콘텐츠일 수 있는 반면 VOD와 같은 데이터 콘텐츠일 수 있다.

가령 인터넷을 통해 지상파방송을 전송할 때 프로그램 내용에 대해서는 방송위가 심의하고 이 이외의 데이터 정보의 전송에 대해서는 정보통신윤리위원회가 심의를 담당하는 상황이 빚어진 것도 서비스 융합의 한 단면이다.

사업자들이 통신과 방송의 경계를 넘나드는 사업자간 융합도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가령 KT는 위성방송 스카이라이프의 1대주주로 방송서비스 사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SK텔레콤은 자회사인 TU미디어를 통해 위성DMB 방송 서비스 분야에 진출하는 등 통신사업자들의 방송서비스 제공은 이미 현실화됐다.

또한 케이블TV사업자들은 정통부로부터 기간통신사업자 허가를 정식으로 부여받고 인터넷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상황이다.

단말간의 융합(Device Convergence)도 활발하다. 가령 DMB폰은 통신수단으로만 사용하던 휴대전화 단말기에 DMB방송 수신칩이 내장되고 통신기능으로 사용하던 디스플레이 장치를 공유하는 기기간 융합이 이뤄진 복합체이다. 또한 방송 전용으로 사용하던 TV수상기가 IPTV서비스를 통해 인터넷까지 할 수 있게 되는 것도 기기융합의 한 예이다.

이처럼 방송ㆍ통신 융합은 잘 인식하지 못하는 사이에 생활의 깊은 곳에까지 자리잡고 있다.

by 100명 2006. 8. 1. 07:50

IPTV 전면적 규제완화 추진 실시간 방송은 방송법 준용
[디지털타임스 2006-07-31 11:05]

정통부ㆍ당정협의…'방통융추' 중심 쟁점 논의

방송통신융합추진위원회가 공식 발족한 가운데, 정보통신부는 IPTV 등 융합서비스에 대한 전면적인 규제완화를 추진하되 실시간 방송프로그램에 대해서는 방송법 규정을 준용하자는 입장을 다시 강조했다.

정보통신부와 열린우리당은 28일 당정협의를 갖고, 규제기구ㆍ융합서비스 도입 등 주요 쟁점별 입장과 향후 대응방향을 논의하고, 방송통신융합추진위위원회를 중심으로 연내 방통융합문제에 대한 합의을 이끌어 낼 수 있는 방안을 적극 강구키로 했다.

정통부는 통방융합 규제기구의 형태에 대해서는 정부조직의 재설계를 추진하되 콘텐츠분야는 공익성 확보를 위해 현행 규제체계를 유지해야한다는 입장을 유지했다. IT분야의 성장을 위한 정책기능은 정부부처로 일원화하고, 인ㆍ허가 등 규제기능은 공무원으로 구성된 행정위원회에서 담당하고, 콘텐츠 내용규제는 공익성ㆍ중립성 확보를 위해 민간위원회에서 담당토록 해야한다고 밝혔다.

또한 정통부는 제3의 광대역융합서비스사업법 제정을 통해 융합서비스를 통신과 방송의 특징을 모두 보유한 새로운 형태의 서비스로 규정, 전면적인 규제완화를 추진하는 대신 실시간 방송프로그램에 대해서는 방송법의 편성ㆍ광고ㆍ내용심의 규정을 준용해야한다고 주장했다.

정통부는 이와관련 소유규제는 현행대로 유지하되, 진입규제는 현행 방송법상의 허가제를 등록제로 완화하고, 겸영규제는 20% 사업구역제한을 폐지하되 향후 전체 유료방송시장에서의 가입자수에 따라 규제수준을 결정해야한다고 덧붙였다.

정통부는 이에 따라 향후 방송통신융합추진위원회 참여를 통해 IPTV 조기도입ㆍ디지털방송 전환 등 현안타결과 기구개편 및 새로운 규범체계 확립을 위해 적극적인 노력을 펼치기로 했다.

또한 정통부는 방송위원회와의 고위정책협의회를 정례화하고, 인사교류를 통해 상호이해와 협력을 증진하는 한편, IPTV시범사업을 양기관 공동으로 조기에 실시하고, 융합서비스 도입을 위한 법제도 정비에도 주력키로 했다.

by 100명 2006. 7. 31. 11:41
SO 초고속인터넷 한계점 왔나
[디지털타임스 2006-07-28 11:05]

순증가입자 두달연속 하락

시장포화ㆍ대형 통신업체 반격에 상승세 주춤

100Mbps급 속도경쟁도 불리… 월 2000명선 그쳐

초고속인터넷시장에서 케이블TV방송사(SO)들의 고공성장 행진은 끝났나.

그동안 저가의 초고속인터넷ㆍ케이블TV 번들상품을 앞세워 초고속인터넷시장에서 KTㆍ하나로텔레콤 등 대형 통신업체들을 위협하며 성장가도를 달려왔던 SO들이 최근 들어 주춤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두달 연속 사장점유율 하락 = SO들의 초고속인터넷 시장점유율은 지난 2월말 사상 처음으로 10%를 돌파하는 등 가파른 상승세를 이어왔다. 하지만 지난 4월말 최고치인 10.6%를 기록한 이후 시장점유율은 두달 연속 하락세를 보였다.

또한 올초만해도 5만~6만명선에 달했던 SO들의 월 순증가입자규모도 최근들어 2000명선까지 떨어져 시장주도권을 파워콤을 비롯한 대형 통신업체에 내어준 모습을 보이고 있다. 현재와 같은 추세가 지속될 경우 순감을 기록할 수도 있다.

관련업계는 이같은 하락세속에 SO들이 이달 21일부터 인터넷접속역무 기간통신사업자로 전환되면서 앞으로 예전처럼 가입자수ㆍ시장점유율 등에서 시장을 주도해 나가긴 힘들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고 있다. 일각에서는 SO들의 초고속인터넷사업이 이미 한계에 도달했다고 지적한다.

◆파워콤과 하나로텔레콤의 반격 만만치 않아 = SO들이 올해초 이후 갑작스럽게 하향세를 보이는 가장 큰 원인으로는 우선 국내 초고속인터넷시장의 포화를 꼽을 수 있다. 6월말 현재 국내 초고속인터넷가입자수는 1277만명에 달해 사실상 신규 시장의 여지가 거의 없는 실정이다.

여기에 국내 최대의 광동축케이블(HFC)망을 보유한 파워콤이라는 새로운 경쟁자의 등장과 그동안 부진을 면치 못했던 하나로텔레콤의 가입자 방어전략 본격화 등으로 인해 시장에 상호가입자 빼앗기 중심의 고비용 마케팅 경쟁구도가 형성되면서 상대적으로 SO의 입지가 대폭 축소됐다는 분석이다.

SO업계의 한 관계자는 "올해초까지만해도 하나로텔레콤 등 기존 통신사의 이탈가입자를 흡수하는 등 순증세를 이어갈 수 있었지만, 최근들어 대형 통신사들을 중심으로 1인당 20~30만원씩을 투입하는 가입자 쟁탈전이 전개되면서 가입자 증가세가 위축됐다"고 설명했다.

◆속도 경쟁은 SO에 불리 = 또한 엔토피아ㆍ하나포스광랜ㆍ엑스피드광랜 등 100Mbps급 아파트랜이 시장의 주력상품으로 부상, 인터넷 속도경쟁이 다시 불붙었던 점도 상대적으로 저속의 초고속인터넷을 제공하는 SO의 위축을 불렀다는 분석이다.

SO업계는 대형통신업체 중심의 마케팅 구도와 투자ㆍ기술적인 측면에서 속도경쟁을 펼치기가 힘들다는 점에서 발을 구르고 있다. SO업계의 한 관계자는 "SO들도 시장포화 등을 고려, 최근 들어선 사업의 확장보다는 수익성에 더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며 "초고속인터넷의 경우 기간통신사업자로 전환한 만큼 SO들이 앞으로 가입자수 확대보다는 가입자당평균매출(ARPU)를 높이는데 주력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송정렬기자@디지털타임스

by 100명 2006. 7. 28. 13:21
방송통신융합추진위 출범
[디지털타임스 2006-07-28 11:05]

방송통신융합추진위원회(이하 융합추진위)가 28일 오전 세종로 정부종합청사에서 정식 출범한다.

이에 따라 지난 1년여간 규제기관과 산업계의 갈등과 논란을 부른 인터넷프로토콜TV(IPTV)를 비롯한 방통 융합 서비스의 도입, 방송과 통신의 규제기구 통합 등이 본격적으로 논의에 오른다.

대통령훈령에 따라 총리실 산하 자문위원회로 설치되는 융합추진위원회는 내년 말까지 활동하게 된다.

한명숙 총리는 27일 오전 11시에 융합추진위원장에 안문석 고려대 부총장을, 정책ㆍ산업 분과와 기구ㆍ법제 분과 등 2개 분과위원장에 김태유 서울대 기술정책대학원 교수(정책ㆍ산업)와 조재구 중화TV 사장(기구법제)을 각각 임명하는 등의 민간위원 14인의 융합추진위 위원 명단을 발표했다.

한지숙기자@디지털타임스

정부위원(6인)을 포함해 20인으로 구성되는 민간위원에는 △정책ㆍ산업 분과에 김태유 서울대 기술정책대학원 교수, 김국진 미디어미래연구소장, 홍은희 명지대 디지털미디어학부 부교수, 지은희 덕성여대 총장, 김명중 호남대 신방과 교수, 조상호 나남출판 대표이사 △기구ㆍ법제 분과에 조상희 법무법인 창조 변호사, 김동욱 서울대 행정대학원 부교수, 김평호 단국대 언론영상학부 교수, 허운나 정보통신대학 학장, 김정기 한양대 언론정보대학 학장, 박선숙 전 환경부 차관 등이 임명됐다.

추진위는 앞으로 △융합비전 및 대응전략의 수립 △융합에 관한 현황조사 및 분석 △융합관련 합리적인 정책방안 수립 △방송통신 정책 및 규제체계 정비 △방송통신 산업 활성화 △방송통신 기구 및 법제도 정비 △이밖에 융합과 관련해 국무총리나 위원장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사항 등에 대해 심의하는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또한 각 분과위원회의 역할은 정책산업분과위는 사업체계, 사업 인ㆍ허가 및 소유ㆍ겸영 제도, 영업활동ㆍ기술규제, 보편적 서비스, 장비ㆍ단말기ㆍ콘텐츠 산업, R&D 제도 개선, 인력양성체계, 투자활성화 방안 등을 담당하며, 기구ㆍ법제분과위는 현행 방송ㆍ통신관련 법제 및 기구 분석, 외국의 법제ㆍ기구 개편 유형, 기구ㆍ법제 정비 방안을 마련하게 된다.

이 밖에 방송위, 문화부, 정통부, 산자부, 공정위, 법제처, 행자부, 재경부, 청와대, 국무조정실 등 관계부처 2~3급과 민간전문가로 전문위원회가 구성된다.

전문위는 전체회의와 분과별 회의를 진행한다. 민간 전문위원으로는 정책ㆍ산업분과 정태명 성균관대 정보통신처 처장, 박영률 박영률출판사 대표, 성동규 중앙대 신방과 부교수, 이상규 중앙대 경제학과 조교수, 최성진 서울산업대 매체공학부 교수, 염용섭 KISDI 연구위원, 강민구 한신대 정보통신학과 부교수, 기구ㆍ법제분과 담당으로는 이명호 연세대 정보통신대학원 교수, 김진홍 전 방송개혁위원회 실행위원, 한상혁 법무법인 정세 변호사, 김영주 한국언론재단 연구위원, 송종길 경기대 다중매체영상학부 조교수, 오양호 정보통신윤리위 전문위원(법무법인 태평양 변호사), 홍대식 법무법인 율촌 변호사, 박성엽 법무법인 김&장 변호사 등 8명이 예정돼 있다.

또한 융합추진위원회, 분과위, 전문위의 원활한 업무 수행을 지원하기 위해 설치되는 `방통융합추진지원단'은 지원단장 1인, 부단장 1인을 포함해 20~30인으로 구성된다. 지원단은 3개팀으로 운영된다.

by 100명 2006. 7. 28. 13:19
지상파DMB 수익모델 부재… 벌써 휴업채널이
[디지털타임스 2006-07-27 11:05]
U1라디오, 7개월만에 중단… KOBACO, 할인율 안지켜

지상파DMB사업자인 U1미디어(대표 조순용)가 KBS DMB에 임대채널 형식으로 운영하던 `U1라디오'방송을 개국 7개월만에 중단키로 했다. 관련 업계는 그간 뉴미디어 산업의 장밋빛 전망에 대한 경종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26일 방송위원회(위원장 이상희)에 따르면 U1미디어는 `U1라디오'를 8월 중순부터 내년 3월까지 휴업한다고 25일 신고했다. U1라디오는 생활경제전문 라디오채널로 지난 1월 본방송 개시 이후 증권ㆍ재테크 분야에서 다양한 자체 제작 프로그램들을 방송해 왔다.

조순용 U1미디어 사장은 "임대채널의 경우 한국방송광고공사(KOBACO)의 광고 대행 대상이 아니어서 사업자가 직접 영업을 해야하는데 광고 영업 실적이 극히 미미했다"고 말했다.

조 사장은 또 "매월 1억원이 드는 라디오 채널 제작비를 포함해 지난 상반기에 방송 제작비로만 30억~40억원을 지출했는데, 매출은 고작 월 2000만~3000만 수준"이라며 어려움을 토로했다. U1미디어는 또 이번 라디오 채널 휴업을 계기로 수익성 위주로 조직을 재편키로 했다.

다른 임대채널 사업자도 사정이 비슷하다. 전체 13개 임대채널 가운데 KBS 임대채널인 CJ미디어의 OZIC, SBS 임대채널인 경기방송, 한국DMB 임대채널인 CBS와 뮤직시티미디어 등 4개는 서비스를 시작조차 못하고 있다. 수익모델을 만들지 못하기 때문이다.

지상파DMB특별위원회(위원장 조순용)에 따르면 지상파DMB 단말기 보급대수는 지난 1월 5만8000대에서 현재 135만대로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지만 지상파DMB 광고수입은 이를 따라잡지 못하고 있다.

KOBACO의 지상파DMB 광고 실적은 첫 달인 3월 1억1400만원에서 4월 1억7200만원, 5월 2억원, 6월 2억2500만원 수준으로 크게 늘지 않고 있다. 7월은 광고 비수기 요인으로 오히려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KOBACO의 단말기 보급대수에 따른 할인 정책도 지켜지지 않고 있다. KOBACO는 △50만대 이하 할인율 90% △50만~100만 80% △100만~200만 70% 할인율 적용을 밝힌 바 있지만 실제로는 100만대를 넘은 7월 1일부로 80% 할인가로 판매 중이다.

이 밖에 지상파TV방송사들이 DMB 자체 광고 시간을 적게 할애함으로써 고정형 TV 광고주가 별도로 돈을 들이지 않아도 DMB까지 광고하게 되는 점, DMB 자체 광고시간이 시청률이 낮은 시간대인 점 등 지상파DMB 광고가 저조한 데는 사업자간의 이해득실이 복잡하게 얽혀 있다.

이에 대해 조순용 지상파DMB특위 위원장은 "특위 차원에서 KOBACO 신임 사장을 만나 DMB 광고를 적극적으로 유치할 것을 요구할 계획이며, 3기 방송위원회가 정상 가동되면 방송위와 국회에 DMB방송의 광고총량제, 중간광고 및 토막광고 허용 등 정책적 지원을 요청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by 100명 2006. 7. 27. 12:58

통·방융합의 본질은 규제완화
[전자신문 2006-07-27 08:11]

말도 많고 탈도 많았던 통신·방송융합추진위원회가 마침내 출범했다. 당초 예정보다 두 달여 지연됐지만 더 늦어지지 않은 것만도 다행이다. 통신·방송융합추진위원회는 분권형 실세 총리로 불렸던 이해찬 전 국무총리가 통신과 방송계의 숙원을 해결하기 위해 구성을 추진해온 산하 기구였다. 정보통신 강국이면서도 정보통신부와 방송위원회라는 거대 규제 기관의 힘겨루기 때문에 통신·방송 융합이라는 세계적인 추세에 뒤처지고 있다는 위기감의 발로였다. 하지만 이후 양대 기관과 통신과 방송계의 여전한 견해 차이, 이해찬 전 국무총리의 급작스러운 낙마, 3기 방송위원 선임문제 등이 겹치면서 유야무야 되지 않을까 하는 걱정마저 불러일으켰다.

 늦은 감이 없지 않으나 이제라도 통·방융합추진위원회가 출범한 것은 정말 다행이다. 어렵사리 꾸려진 위원회와 국무총리에게 당부하고 싶은 것은 통신·방송융합의 본질을 망각해서는 안 된다는 점이다. 통·방융합추진위원회의 역할은 기술과 시장에서 급속히 이루어지고 있는 통신과 방송의 융합을 효과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제도와 환경을 하루 빨리 만들어내는 일이다. 그러나 위원회가 이 역할에만 매달릴 경우 실패할 가능성은 그만큼 높아진다. 통·방융합추진위원회의 본연의 역할은 융합서비스를 시장친화적인 환경으로 만드는 것이다. 즉 사업자들이 효율적인 융합서비스를 할 수 있게 하고, 수용자 역시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제도와 환경을 가꾸는 것이 위원회의 사명이다.

 따지고 보면 통·방융합추진위원회가 만들어진 것도 바로 이 때문이다. 우리는 지난 수년간 통신·방송 융합이 거스를 수 없는 대세라는 점을 인정하면서도 합의점을 찾아내는 데 실패했다. 정통부, 방송위원회라는 거대 규제 기관은 각각 통신과 방송의 규제권을 한치도 놓지 않으려 했다. 방송과 통신업계 역시 사활이 걸린 문제라며 목소리를 높여 서로 유리한 주장만 되풀이해 왔다.

 추진위원회의 가장 큰 당면과제는 이처럼 복잡한 이해관계로 얽혀 있는 문제들에 대해 위원회 내부는 물론이고 관련 기관과 업계를 아우를 수 있는 합의점을 도출해 내는 것이다. 여기서 원칙이 중요하다. 위원회가 원칙없이 흔들릴 경우 자칫 이해집단들에 휘둘려 규제만 양산해낼 공산이 크다. 이미 방송업계는 통신업계가 아무런 제재 없이 IPTV를 제공한다며 규제 강화를 주장하고 있고, 통신업계는 방송위원회의 간섭이 심하다며 불만이다. 초성운 KISDI 통방정책연구실장은 “자칫하면 지상파방송, 통신사업자, 삼성전자와 LG전자 등 제조업체까지 대상으로 하는 규제기구만 비대해지는 개악을 초래할 수 있다”며 원칙없는 통신·방송융합의 위험성을 경고한 바 있다.

 사실 추진위원회의 주요 의결 사항으로 꼽히고 있는 통신위원회와 방송위원회 간, 방송법과 통신법의 통폐합 여부는 어쩌면 부차적일 수 있다. 우리보다 앞서 통신·방송융합 관련 규제 기관과 관련 법을 정비한 미국·일본·영국 등의 제도는 나라마다 조금씩 다르다. 미국은 규제기구를 연방통신위원회(FCC)로 일원화해 혼선을 줄인 점이 특징이다. FCC는 전통적인 통신·방송 부문 및 IPTV 등 신규 서비스까지 총괄하고 있다. 일본은 통신 분야는 전기통신사업법으로, 방송 분야는 방송법에 따라 각각 규제하는 이원적인 법체계를 적용하고 있지만 규제기구는 총무성으로 일원화했다. 중요한 것은 제도와 환경이 조금씩 다른 이들 나라도 통신·방송융합서비스를 활성화하기 위해 가능한 규제를 완화하고 시장친화적 환경을 제공하는 데에는 한결같다는 점이다.

 통·방융합추진위원회에 거는 기대가 큰 만큼 위원들과 한 총리는 통신·방송융합서비스의 제도화라는 본역의 역할에서 한발 더 나아가 시장친화적 규제 완화로 이를 활성화하는 데 만전을 기해주길 당부한다.

by 100명 2006. 7. 27. 09:38
하나로텔`TV포털`상용화..최소요금월7000원

[이데일리2006-07-2409:38]


-초고속인터넷망-셋톱박스연결해VOD서비스
-4년약정시셋톱박스임대료없이월7000원

[이데일리백종훈기자]하나로텔레콤(033630)이TV포털`하나TV`를시작한다.

하나로텔레콤은24일서울웨스틴조선호텔에서기자간담회를열고국내유선통신업체최초로TV포털서비스를개시한다고밝혔다.

`TV포털`이란TV에초고속인터넷망과셋톱박스를연결해영화·드라마·교육프로그램등다양한콘텐츠를볼수있는주문형비디오(VOD)방식의서비스를말한다.하나로텔레콤은이로써TV포털서비스와초고속인터넷,전화를묶은트리플플레이서비스(TPS)를제공할수있게됐다.

하나로텔레콤TV포털은방송편성표에따라시청해야하는기존TV와달리내가원하는프로그램을내가원하는시간에언제든지볼수있다는점이장점이다.또디지털영상의고화질서비스와5.1채널사운드의고음질서비스도제공된다.

하나로텔레콤은TV포털상용화에맞춰다양한콘텐트를확보했다고설명했다.

하나로텔레콤은소니픽쳐스엔터테인먼트의영화및TV드라마배급을맡고있는소니픽쳐스텔레비전인터내셔날과스파이더맨2,쿵푸허슬,뻔뻔한딕&제인등주요콘텐트에대한공급계약을체결했다.

하나로텔레콤은또세계적인미디어그룹인월트디즈니텔레비전을비롯,CJ엔터테인먼트,SBS,BBCWorldwide,EBS,다음,내셔널지오그래픽등국내외50여개콘텐트회사와계약체결,국내최고수준인2만2000여편콘텐츠를확보했다.하나로텔레콤은20세기폭스TV,워너브라더스등헐리우드메이저영화사와MBC·KBS와도논의를진행하고있다.

서비스신청은하나로텔레콤각지역고객센터및지정대리점과전화(1600-8000)또는홈페이지(hanatv.co.kr)를이용하면된다.이용료는하나로텔레콤의초고속인터넷과전화를사용하는고객의경우4년약정시셋톱박스임대료없이월7000원이다.

박병무하나로텔레콤사장은"TV포털상용서비스개시로기존초고속인터넷과전화를결합한번들(묶음)서비스를본격화하게됐다"며"향후TPS경쟁력을주도할수있을것"이라고말했다.






by 100명 2006. 7. 24. 09:57
[통방융합, 새로운 10년을 준비한다]제6부:세계는 이미 빠르게 변하고 있다(2)
[전자신문 2006-07-18 10:44]
(2)일본(하)

일본 통·방 융합 시장을 이끄는 주체는 NTT·KDDI·소프트뱅크 등 통신사업자진영과 제이콤 등 케이블TV사업자, NHK·아사히TV·닛폰TV 등 지상파방송사들이다. 이들은 각각 자신의 기반 역량을 바탕으로 신규 서비스 시장에서 주도권 확보를 노리고 있다.

NTT는 일본내 최대 네트워크 보유자라는 강점을 살려, 오는 2010년 FTTH 가입자 3000만 세대 계획을 발표한 상황이다. NHK는 일본 휴대이동방송인 원세그를 주도하며 지상파의 맡형으로 통신사업자와 힘의 균형을 맞추는 중심추다. J콤은 상대적으로 약세로 꼽히는 케이블TV 진영이 발빠른 시장 장악 전략으로 살아남을 수 있는 길을 모색 중이다.

◆NTT

 오카무라 이치로씨는 NTT 중기경영전략추진실 서비스전략담당부장이다. ‘NTT의 IPTV 전략’을 책임져야할 자리다. 오카무라 부장은 일단 NTT가 ‘네트워크 사업자’이기 때문에 미디어 그룹 지향으로 갈 수 없다는 대목에서 명확하게 선을 긋는다. 즉, 방송콘텐츠를 직접 제작하거나 이를 받아서 방송하는 사업자 영역으로의 진출은 없는 셈이다. 그는 “한국의 KT와는 상황이 조금 다르다”며 “KT의 미디어 도전 전략도 값어치가 있지만 우린 네트워크 사업자로도 IPTV사업이 중요하다고 본다”고 말했다.

오카무라 부장은 NTT의 방송 전략을 둘로 나눈다. 이미 위성방송사업자인 스카이퍼펙의 100% 자회사인 옵티캐스트와 진행중인 ‘방송규격전송(RF전송)’과 최근 일부 시장 진입한 ‘IP규격 전송’이다. 두 모델 모두 NTT는 망을 제공하며 방송사업자는 파트너에게 맡긴다.

RF전송은 말그대로 방송규격 신호인 RF를 NTT가 보유한 FTTH망을 통해 제공하는 형태다. 역무이용방송사업자인 옵티캐스트와 진행중인 서비스는 기존 방송사인 지상파방송사, 방송위성(BS, 아날로그·디지털방송 포함), 상업위성(스카이퍼펙 등이 제공중인 상업위성방송) 등으로부터 방송신호를 지상의 방송센터에서 받아 이를 고스란히 공동주택 등에 제공하는 방식이다. 지상파방송과 BS와는 재송신 동의를 받았으며 CS에선 총180채널 중 30∼60채널을 계약해 확보했다.

RF가 의미하듯이 기존 방송신호를 그대로 보낸다. NTT의 역할은 옵티캐스트가 방송채널을 방송센터에서 모두 받으면 이를 NTT의 망전송 설비와 FTTH를 통해 가정에 공급하는 네트워크사업자다. 말하자면 지상파방송사 등은 콘텐츠 제공자, 옵티캐스트는 순수한 플랫폼 전용 사업자, NTT는 네트워크 제공사업자인 셈이다. NTT측은 이를 ‘동영상통신망서비스’로 지칭했다.

지난 2004년 2월 시작해서 현재 5만세대에 그치며 시장을 변화시킬 힘으론 성장하지 못하는 형편이다. RF방송신호인 만큼 변조방식이 중요한데 이는 케이블TV의 디지털변조방식인 64QAM를 채택했다. QAM은 국내 디지털 케이블TV 규격이기도 하다.

‘IP규격전송’은 국내 KT가 준비 중인 IPTV와 거의 똑같다. 방송신호가 아닌 IP패킷을 사용한다. NTT는 자회사인 프라라(역무이용방송사업자)와 계약해 자회사가 확보한 방송채널을 IP패킷 신호로 일반 가정에 유료방송으로 제공한다. 서비스명은 ‘온라인TV’다. 같은 망을 통해 VOD서비스도 제공 중이다. 소비자 입장에선 NTT의 망을 통해 유료방송과 각종 부가서비스를 제공받는 셈이다. NTT측도 IP규격전송에 보다 많은 관심을 쏟고 있다. 문제는 지상파방송사의 재송신 부분이다. NHK 등지상파방송국들은 아직 여러 이유를 들어 재송신을 허용치 않는 상황이다.

오카무라 부장은 “재송신 문제는 검토 중으로, 2008년께 HD로 가능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앞서 일본 규제기관인 총무성은 지난해 ‘디지털시대의 지상파방송 난시청 문제를 해소키 위해 IPTV 도입해야한다’는 정책 방향을 밝혔다. 올해 중 압축전송기술인 MPEG4 AVC(일명 H.264)를 실험할 예정이다.

일본에서 IPTV는 지상파 재송신 문제 등이 걸림돌이 돼 아직 시장에서 고전 중이다. NTT의 ‘온라인TV’를 비롯해 소프트뱅크의 BBTV, KDDI의 히카리TV 등은 모두 10만 가입자 이하로서 전체를 합쳐도 20만이 안될 것이란게 일본 업계의 추정치다.

◆NHK

NHK는 불투명한 통·방 융합 시대에 여전한 강자로 남기 위해 신규 융합서비스 도입에 적극적이다. 대표적인 사례가 지난 2003년 데이터방송 시작과 2004년 5월엔 인터넷과 지상파 데이터방송간 연결시켜 리턴패스를 확립시킨 것. 우리나라의 경우 올해 6월에야 본방송을 시작했을 따름이다. 그나마도 리턴패스 확보가 정립되지 못한데다, 현재로선 별도 데이터방송용 셋톱박스가 필요하다. NHK가 주도한 일본의 지상파 데이터방송은 초기부터 일본내 가전제조업체와 보조를 맞춰 표준을 함께 만들었다.

NHK의 방송·통신 융합 서비스를 총괄 담당하는 와다 이쿠오 종합기획실 담당국장은 “현재 일본에서 시판되는 모든 TV는 데이터방송의 리턴패스용으로 사용할 포트가 있어 소비자들이 원하면 인터넷선과 바로 연결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우리식대로 말하면 ‘지상파 데이터방송 내장형 TV’ 시대를 이미 2년전에 일군 셈이다. 우리 지상파방송사가 2004년부터 ‘곧 상용화’란 딱지를 붙였다 뗏기를 예닐곱번하는 사이에 그들은 진도를 나갔다.

한국은 이제부터 리턴패스를 고민하는 시점인데 NHK의 고민은 본질적인데 있다.

와다 국장은 “시청자들에게 보고싶다는 매력적인 데이터방송 콘텐츠를 제공해야하는데 이게 어렵다”며 “현재 DTV를 구매한 일반인이 인터넷선을 연결한 경우는 10% 미만일 것”이라고 토로했다. 지상파방송사가 콘텐츠 제공업체로서 통·방 융합 시대의 콘텐츠를 고민하는 것.

NHK의 이런 시도는 올해 상용화한 일본판 지상파DMB인 ‘원세그’에서도 잘 드러난다. 일본 지상파들은 디지털방송규격으로 독자표준인 ISDB-T를 채택했다. ISDB-T는 채널당 13개 부분(세그먼트)로 나뉘며, 이중 1개 세그에서 휴대이동방송(이른바 모바일TV)용 전파를 내보내는 구조다. 자연스럽게 기존 지상파의 디지털방송을 100% 재송신하는 셈이다. 기술적으론 디지털지상파와 휴대이동방송을 하나의 채널과 송신소에서 처리하는 최고 효율성을 자랑한다.

원세그는 지난해 12월 시험방송을 시작해 올 4월 상용화를 시작했다. 와다 국장은 “벌써 원세그 수신 겸용 휴대폰이 60만대 이상 팔렸다”고 말했다. 또 원세그의 세대 기준 커버리지도 기술적으로 지상파 디지털방송 영역과 같아 올 12월 기준 85% 세대를 커버할 전망이다. 그는 “아직 원세그는 데이터방송 제공에 머무르고 있어 이제 VOD, 네트워크 게임 등으로 진화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NHK를 제외한 다른 지상파방송사들은 원세그를 기반한 전자상거래 준비에 분주한 상황이다. 일본 지상파들은 원세그가 정착하면 인터넷의 부상으로 떨어지는 시청율을 보완해줄 것으로 기대한다.

또 다른 현안인 IPTV에서의 지상파 재송신에 대해서도 ‘반대를 위한 반대’는 없다. 일본에서도 지역방송사의 권역문제, 동시재송신할때 IPTV에서 생기는 시간 지체, H.264의 안정성 문제 등 우리와 유사한 문제가 있다. 그러나 총무성, NTT, NHK 등 주요 당사자들은 모두 ‘서로 협조를 꾸준히 하면 2008년께 재송신 가능할 것’이라고 밝혔다. 기본적인 상호 로드맵 공유의 자세가 갖춰진 셈이다.

◆J콤

일본 최대 케이블TV사업자인 J콤은 ‘트리플플레이서비스(TPS·초고속인터넷+방송+전화)’에서 거대 통신사업자보다 발빠르게 시장 진입에 성공했다.

J콤은 케이블TV 가입자가 190만가구, 초고속인터넷 가입자 100만가구, 전화(교환기방식) 110만가구를 확보한 상태다. 가토 토루 상품전략본부장(이사)은 “45만가구 정도인 22∼23%가 3개를 모두 제공받는 TPS 가입자”라고 설명했다. J콤은 3개 비즈니스 모두가 동시에 증가 추세여서 통신진영을 긴장시킨다.

일본 시장은 그러나 케이블TV사업자가 통신사업자에 비해 약세로 꼽힌다. 일례로 J콤이 사업권을 가진 지역의 가구 중 망이 연결된 홈패스가구는 800만가구다. 결국 J콤은 이중 190만가구만을 자사의 케이블TV가입자로 확보한 셈이다. 가토 이사는 “일본 전체로 보면 3000만가구의 홈패스율중 케이블TV 가입자는 600만가구 정도로 20%선”이라고 설명했다. 우리나라의 케이블TV가 전체 가구의 60∼70%를 가입자와 확보한 대목과 대조된다.

J콤에게 있어 현재 일본의 KDDI, 소프트뱅크 등이 제공중인 IPTV는 큰 위협요인이 아니다. 가토 이사는 “현재의 IPTV는 지상파방송이 재송신이 안 되는데다, 영상 품질이 떨어지고 채널변경시 지체시간도 길다”고 이유를 설명했다. 진정한 격전은 오는 2008년 NTT가 H.264의 기술적 안정성 확보, 저작권 문제 해결, 재송신 권한 확보 등을 이루고 IPTV에 진입하는 순간 부터란 설명이다.

그는 “NTT는 오는 2010년까지 3000만세대의 FTTH가입 가구 확보 전략을 내세웠지만 대략 1500만∼2000만세대가 가능할 것”이라며 “2008년 IPTV 진입후 채널상품이 좋다면 4∼5년새 FTTH 가입자의 15∼20%를 IPTV 가입자로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NTT 외엔 전력계 회사과 제휴를 맺은 통신사업자인 KDDI를 경쟁자로 꼽았다. 가토 이사는 “통신사업자의 IPTV 진입이 어떤 측면에서 유료방송시장을 성장시킬 수 있는 ‘득’도 있다”고 덧붙였다.

통신사업자와 일전에 대해 “일본 케이블TV업계 전체 매출을 합쳐도 5000억∼6000억엔 정도인데 NTT그룹은 10조엔, KDDI그룹은 3조엔 규모”라며 “그렇지만 가정까지의 가입자망은 케이블TV업계를 다 합치면 NTT에 이은 2위”라고 설명했다. NTT를 넘어서는 전쟁은 못하지만 ‘작은 강자’로서 해볼만 하다는 설명인 셈. 일본 케이블TV업계내 합종연횡은 더욱 활발해질 전망이다.

케이블TV가 가장 두려워하는 NTT의 힘은 바로 마케팅력이다. NTT는 최근 ‘히카리(光)’을 전면에 내세워, ‘히카리=FTTH=나은 기술과 서비스=NTT’ 공식을 소비자에 전파했다. 디지털케이블TV와 IPTV간 경쟁에서 콘텐츠 확보 능력면에선 밀리지 않을 자신이 있지만, 소비자들이 ‘디지털케이블TV=낮은기술’로 치부할 경우 힘들다는 것.

가토 이사는 “기술면에선 안 밀리지만 브랜드·마케팅에선 힘들 수 있어 대비책을 짜야한다”며 “우리도 히카리케이블나 히카리TV같이 새로운 이미지 전략을 내세우기 위해 준비 중”이라고 말했다.

by 100명 2006. 7. 19. 08:53
3G취소-요금담합-기분존 제재...LGT '사면초가'
[아이뉴스24 2006-07-18 17:44]
<아이뉴스24>

LG텔레콤이 말 그대로 사면초가에 빠졌다.

동기식 IMT-2000 사업권 취소로 대표이사 퇴진 등 사상초유 사태까지 우려되고 있는 상황에서 공정거래위원회의 요금담합 제재에 KT가 통신위원회에 신고한 '기분존' 처리가 임박한 때문이다.

이들 각각의 결과에 따라 상당한 타격이 불가피할 정도의 주요 사안들이라는 점에서 제재를 앞둔 LG텔레콤은 과거 IMT-2000 사업탈락 이후 창사이래 최대위기를 맞고 있는 셈이다.

◆3G 허가취소 및 제재, 19일 가닥

먼저 대표이사 퇴진 사태가 우려되고 있는 LG텔레콤의 3G 사업권에 대한 정보통신부의 결정이 19일이면 윤곽을 드러낼 예정이다.

LG텔레콤의 3G 사업권은 앞서 열린 정보통신정책심의위원회에서 '허가취소'를 권고한 상태라서 사업허가 취소가 불가피할 전망이다.

정통부는 이 같은 정보통신정책심의회 권고사항을 토대로 19일께 사업허가 취소 여부를 발표할 예정이다. LG텔레콤 남용사장의 거취문제, 출연금 부과 등에대한 대체적인 윤곽도 드러날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이처럼 3G사업 허가취소가 불가피한 상황인 만큼 이제 최대 관심사는 대표이사 퇴직문제다. 정보통신정책심의회가 남용사장의 거취 문제와 관련 통신업계의 기여도를 감안, 정책결정에 반영할 것을 권고한 상태지만 수용될 지 여부는 불투명한 상태다.

현행법(전기통신사업법 6조2항)상 사업권 취소시 대표이사의 당연 퇴직을 규정하고 있는 때문. 정통부가 말 그대로 '법대로' 처리할 경우 남용사장이 현직을 유지할 가능성이 크지 않은 상황이다.

실제 남용사장이 정보통신정책심의회를 하루 앞둔 지난 11일 노준형장관을 면담, IMT-2000 사업권 취소와 관련 회사 입장을 적극 전달하기도 했으나 노 장관은 "법대로 처리하라"고 주문했다는 후문이다.

주파수 할당대가 문제도 녹록치 않다. 정통부는 2002년 5월 20일을 기준으로 4년간 내야 할 할당대가에 대해 하루단위 일할기준으로 계산, 올 6월말까지 961억원 내야한다는 입장을 견지할 가능성도 크기 때문이다. LG텔레콤이 할당대가를 추가로 납부할 경우 올해 순익규모가 1천억원 이하로 추락하는 등 실적에도 타격을 입을 조짐이다.

◆공정위 담합-기분존 처리도 임박

공정거래위원회의 요금담합문제와 통신위원회의 기분존 제재여부도 이르면 이달 중 결정될 전망이다.

현재 공정위는 KTF를 비롯해 LG텔레콤에 대한 2000년 요금담합 문제를 검토하고 있다. 이르면 이달 26일께, 늦어도 다음달 초에는 전원회의에 상정, 제재를 결정하게 된다.

이 역시 현재로서는 희망적이지 않은 상태다. 공정위는 전원회의에 앞서 최근 사전심사를 통해 KTF와 LG텔레콤의 요금인하 과정에서 담합이 있었다고 판단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른 과징금 규모는 해당기간 매출의 2%인 총 570억원 수준. LG텔레콤에 부과될 과징금 규모만 170억원에 달하게 돼 이대로 결정될 경우 LG텔레콤이 부담할 비용은 또 늘어나게 된다.

KT가 지난 5월 통신위원회에 신고한 '기분존' 문제도 오는 24일 통신위 전체회의에 상정, 가닥이 잡힐 조짐이다. KT는 지난 5월 LG텔레콤의 '기분존'서비스가 이용자 이익을 심각하게 저해하고 사실을 왜곡하고 있다며 통신위원회에 신고한 바 있다.

통신위는 24일 전체회의에서 이 문제를 논의할 계획이다. 통신위는 일단 이번 사안과 관련 KT와 LG텔레콤의 주장이 첨예하게 엇갈리고 있는 만큼 이번 전체회의에서는 업계 의견을 수렴하는데 집중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토대로 내달 회의에서 기분존 처리에 대한 최종결론을 내린다는 방침. LG텔레콤은 정통부가 요금신고를 받아준 상태에서 큰 문제가 없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으나 통신위는 이에 대한 판단에 신중을 기하고 있어 이역시 결과를 장담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실제 통신위는 "지금으로서는 제재여부에 대해 뭐라 얘기할 단계가 아니나 '부당한 요금 산정' 등과 관련한 회계 및 법령검토를 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속단할 수 없음을 시사했다.

최악의 경우 기분존 서비스가 문제가 있다는 결론이 나오면 이 역시 LG텔레콤으로서는 적잖은 타격이 될 조짐이다. 그동안 기분존은 출시 후 3개월만에 가입자 10만명을 유치하는 등 LG텔레콤의 '주력상품'으로 떠오른 때문이다.

의욕적으로 선보인 기분존이 문제가 될 경우 후속으로 준비중인 'PTT'서비스 역시 '역무침해' 논란이 있는 것을 감안하면 출시자체가 불투명해 질 수 있어 올해 신규상품 계획 자체가 차질을 빚게 된다.

LG텔레콤으로서는 창사 10년이 되는 올해 대표이사 사퇴에 주파수 할당대가 및 과징금 부과에 따른 이익훼손, 신규 주력상품 중지논란 등 악재가 겹치면서 최대위기를 맞고 있는 셈이다.

by 100명 2006. 7. 19. 07:23
방송통신 융합시대 ①방통 융합의 개념과 의미
[연합뉴스 2006-07-10 06:04]
※편집자주 = 방송과 통신의 구분이 모호해지는 시대가 도래했다. 방송이 디지털화하면서 휴대전화 등 통신수단으로 지상파 방송을 수신하고, 방송인 케이블TV가 통신의 영역인 초고속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또 불과 1∼2년 뒤에는 방통융합의 상징적 매체라고 할 수 있는 인터넷프로토콜 텔레비전(IPTV)이 서비스를 시작할 전망이다.

정부는 방통융합을 원활히 완성시키고 발전의 토대를 마련하기 위해 법제를 정비할 예정이며 12개 정부기관이 참여하는 `방송통신융합추진위 지원단'도 곧 설치할 계획이다.

연합뉴스는 이 같은 방통융합 시대의 도래를 ①방통 융합의 개념과 의미 ②IPTV 출범과 미디어 전쟁 ③법제와 시장개방 ④명칭과 규제 ⑤해외 서비스 실태 등으로 5차례에 걸쳐 짚어본다.

일방향에서 양방향으로, 방송망 통해 통신 가능

미디어 시장의 혁명적 변화, 법.제도 정비 필요

(서울=연합뉴스) 김대영 편집위원 = 원래 통신이란 개인간 또는 개인 대 다수, 다수 대 다수, 다수 중 특정그룹 사이의 메시지 또는 데이터의 교환이다. 그에 비해 전통적 의미의 방송이란 방송국이 콘텐츠를 일정한 편성계획에 따라 불특정 다수에게 일방적으로 보내는 작업을 의미한다.

그렇다면 방송과 통신의 융합이란 무엇인가. 그것은 ▲방송이 일방향에서 양방향 작업으로 진화하고 ▲통신망을 통해 방송 콘텐츠가 소비자들에게 전달되고 ▲소비자들이 방송망을 통해 인터넷이나 전화 등의 통신도 하는 것을 의미한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예컨대, 이제 소비자들은 통신망인 인터넷이나 휴대전화 등으로 방송 콘텐츠를 보는 일이 어렵지 않다. 소비자들은 또 방송망의 일부인 케이블TV 회선을 통해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를 받을 수 있고 조만간 인터넷 화상전화도 할 수 있게 될 전망이다.

통신망을 이용한 방송 서비스로는 IPTV, 인터넷 방송, 휴대전화 방송 등을 들 수 있고, 방송망을 이용한 통신 서비스는 케이블TV의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와 인터넷 전화(VoIP) 등이 대표적이다. 이 같은 융합추세는 광대역통합망(BcN)의 등장과 3세대 모바일 기반 미디어 서비스의 활성화 등으로 가속화하고 있다.

미국의 통신업체들은 IPTV 서비스를 판매하면서 인터넷과 전화 서비스를 합해 케이블TV의 비슷한 서비스보다 더 싼 가격을 제안하고 있다. 영상, 음성, 인터넷을 동시에 제공하는 이른바 TPS(Triple Play Service)다. 여기에다 휴대전화까지 가세한 QPS(Quadraple Play Service)도 나올 태세다. 케이블TV 업체들도 새로운 경쟁상대의 출현에 가격 인하로 대응하고 있다.

이 같은 방통융합은 어느 시점에서 갑자기 나타난 현상이 아니다. 콘텐츠 전달 기술과 매체의 발달에 따라 방송망과 통신망의 구분이 점차 모호해지면서 나타나는 현상이라고 볼 수 있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전통적인 방송사는 ▲카메라와 마이크 등을 이용해 콘텐츠를 만들고 ▲프로그램을 편성한 뒤 ▲안테나를 통해 지상파로 각 가정에 동영상을 송출했다.

그러나 이후 통신 수단인 케이블과 위성을 이용한 텔레비전 서비스가 나타나면서 이 같은 방송의 개념이 바뀌기 시작했고, 이제는 인터넷 프로토콜을 이용한 텔레비전이 전통적 의미의 방송과 양방향 데이터 서비스, 인터넷 전화, 인터넷 등을 한꺼번에 제공하는 시대가 온 것이다.

IPTV는 전세계 인터넷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한 웹TV와 달리 ADSL 이상의 빠른 인터넷 회선이 깔린 지역에서만 시청 가능하고, 폐쇄적이고 독점적인 일련의 콘텐츠를 신분 확인이 가능한 가입자들에게만 돈을 받고 보내준다는 의미에서 폐쇄적이고 통제가능한 `담으로 둘러싸인 정원(Walled Gardens)'으로 불리기도 한다.

이것은 누구에게나 열려있는 인터넷이라는 정보의 바다 속의 한 섬과도 같다.

현대원(서강대.커뮤니케이션학) 교수는 최근 한 워크숍에서 주제발표를 통해 미디어가 아날로그 TV에서 쌍방향성 면에서는 케이블TV를 거쳐 IPTV로 진화하고 있으며, 이동성 면에서는 이동멀티미디어(DMB)와 휴대인터넷인 와이브로 등으로 발전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또 `디지털 융합 미디어 서비스'에 대해 "방송용 유무선 주파수 외에 전기통신 설비를 통해 이용자에 의해 직접 이용되는 것을 목적으로 송.수신되는 데이터, 통신 그리고 방송 등의 서비스가 융합된 형태로 제공되는 서비스"라고 정의했다.

그는 대표적 융합매체인 IPTV와 관련해 "매체 진화과정이 소비자의 요구와 자연스럽게 맞물리면서 나타나는 자연스러운 현상으로 봐야 한다"면서 "서비스 관점에서 대용량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유ㆍ무선 통합환경에서 원하는 시점에 원하는 플랫폼을 통해 보고자 하는 소비자의 요구는 거스를 수 없는 대세"라고 주장했다.

이같이 방송과 통신이 융합되는 서비스로는 조만간 태동할 IPTV나 데이터 방송, 현재 서비스 중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 웹캐스팅(Web Casting) 등이 있다. 이동중에도 초고속 인터넷이 가능한 휴대 인터넷인 와이브로(WiBro(Wireless Broadband))를 통해서도 방송이 가능하다.

최준균 한국정보통신대학 교수 겸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 표준화그룹장은 "IPTV는 새 서비스의 시작점이며 기술적으로는 방송과 통신의 융합이 완성된 시점"이라면서 "이때부터 본격적으로 (융합미디어의) 사업이 시작된다"고 말했다.

그는 "IPTV는 홈네트워크 비즈니스, 그 다음에는 유비쿼터스 비즈니스로 진화할 것"이라면서 이 같은 서비스가 원활히 발전하려면 인터넷 속도를 빨리하는 광섬유 등의 케이블 건설에 거액의 투자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IPTV가 되려면 KT만 하더라도 광케이블 등에 시설투자를 20배 정도를 더 해야 하며 그런 투자액은 특정 업체 혼자 감당하기는 어렵고 이 사업에서 이익을 보는 여러 업체들이 분담해야 한다"고 말했다.

세계에서 가장 활발하게 IPTV 서비스를 하고 있는 지역은 유럽이다.

유럽방송연맹(EBU)은 IPTV의 특징으로 ▲채널 수에 제한이 없다는 것과 ▲TV가 광범위한 서비스중 일부이기 때문에 방송사의 중요성이 감소한다는 것 등을 꼽고 있다. IPTV는 콘텐츠 제공업자들에게 큰 기회를 주고 있으며 지상파 방송사들은 이제 콘텐츠 전달수단에 얽매이지 않고 점차 자신을 `콘텐츠 제공업자'로 인식하게 됐다고 EBU는 분석했다.

미디어 시장에 가히 혁명적인 변화가 도래한 것이다.

EBU는 IPTV 시대의 도래와 관련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린다. 즉 ▲광대역 TV(IPTV)는 일부 유럽국가들에서 중요한 (콘텐츠) 전달 시스템이 될 것이며 ▲(전통적 의미의) 방송사들은 광대역 TV를 수용해야 하지만 전달 정보를 선별하는 이른바 게이트키퍼(gatekeeper)들 즉, 광대역 TV 운영자들에게 많은 권한을 주는 데는 주의해야 하고 ▲방송의 미래에 대한 논의는 케이블, 위성, 인터넷같은 전달 시스템의 영향 보다는 콘텐츠 창조에 더 집중돼야 한다는 것이다.

그런데 이 같은 미디어의 혁명적인 변화 즉, 방통융합 현상은 필연적으로 법제와 규제 정비의 필요성을 유발한다. 미디어가 진화하면서 법제와 규제도 함께 진화해야 하는 것이다.

그 이유는 방송이나 통신의 정의가 바뀌고 방통융합이라는 새로운 현상이 나타나는 상황에서 IPTV 같은 새로운 매체들을 기존의 법이나 규제의 틀로 수용하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국내 일각에서는 정부가 IPTV 등 방통 융합 매체가 태동할 발판 즉, 법제와 규제 기구 등을 신속히 마련하지 못해 관련 업계의 경쟁력이나 기술이 국제적으로 뒤지고 있다는 비판도 나오고 있다.

한편 방통 융합은 여러 면에서 현대 커뮤니케이션을 상당히 변화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김재영(충남대 언론정보학과) 교수는 `방송통신 융합 시대의 정책원리, 그리고 규제와 지원체제'라는 보고서에서 방송 통신의 융합이 ▲송수신자간의 양방향적 교류로 커뮤니케이션의 개방화, 민주화를 유발하며 ▲수용자가 원하는 시간과 장소를 선택해 정보에 접근하는 `유비쿼터스(ubiquitous)적 커뮤니케이션으로의 전환 ▲다채널화 및 전문화로 인한 커뮤니케이션의 탈대중화 현상 등을 유발한다고 주장했다.

kdy@yna.co.kr

by 100명 2006. 7. 13. 07:08
방송 통신 융합시대 ②IPTV출범과 미디어 전쟁
[연합뉴스 2006-07-11 06:45]
미디어시장 지각변동..콘텐츠 서비스 성패 좌우

지상파.케이블.위성방송과 시청자 확보 경쟁

(서울=연합뉴스) 김대영 편집위원 = 방통 융합시대의 대표 매체로는 인터넷 프로토콜 텔레비전(IPTV)이 꼽힌다. IP 기반의 초고속 인터넷망을 통해 고선명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TV 단말기로 제공할 IPTV는 출범과 동시에 미디어 시장에 지각변동을 일으킬 가능성이 높다.

IPTV는 단순히 인터넷으로 TV를 본다는 개념이 아니라 시청자와 프로그램 제공자의 상호 작용을 가능하게 하는 매체라는 점에서 획기적이다. 즉, 시청자들은 수동적으로 방송을 보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주문형 비디오(VOD), 전자상거래, 은행업무, 오락과 정보, 메신저, 영상전화 등의 서비스를 능동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더 자세히 살펴보면 문자메시지서비스 (SMS:Short Message Service), 화상전화와 화상회의, 공연티켓 구매, 온라인 게임, TV를 통한 투표와 설문조사, TV 노래방, TV를 통해 질문도 할 수 있는 쌍방향 교육, 인터넷 쇼핑, 주식거래 등이 모두 가능하다.

소비자들이 IPTV를 접하는 도구도 처음에는 TV로 시작하겠지만 나중에는 와이브로 등 휴대 인터넷으로 무장한 단말기 등으로 다양화할 것으로 보인다. 휴대전화로 화상전화나 화상회의를 하고 공연티켓을 구매하고 주식거래 등을 하는 시대가 도래하는 것이다.

이처럼 다양한 양방향 서비스를 제공하는 IPTV는 소비자들의 마음을 끌어 단시간에 거대 시장을 형성하면서 기존 매체들의 생존을 위협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대체적인 전망이다.

그러나 IPTV의 급속한 성장은 몇 가지 요건을 전제로 한다. 우선 IPTV가 기존의 케이블 TV나 위성TV 등 유료방송 시청자들과 지상파 시청자들을 끌어들일 만큼 좋은 프로그램과 서비스를 얼마나 많이 제공할 수 있느냐가 가장 중요한 관건이라고 할 수 있다. 결국은 콘텐츠와 서비스의 질이 성패를 좌우한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얘기다.

또 오랫동안 방송사의 편성 프로그램들에 수동적인 시청태도를 보여온 시청자들이 과연 양방향 서비스에 대한 `능동적인 이용자'로 쉽게 변화할 것인가의 문제도 존재한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조심스러운 진단이다.

IPTV는 아직 관련 법제가 정비되지 않아 본격적인 출범 시기는 빨라야 내년께가 될 것으로 보인다. IPTV를 준비 중인 통신업체들은 이미 IPTV 시연회와 임직원 대상 시범방송 등을 하면서 법제만 정비되면 불과 몇 개월 내에 IPTV 서비스에 들어갈 수 있도록 준비를 하고 있다. KT의 경우 네트워크 건설이나 콘텐츠, 미들웨어, 셋톱박스 개발에 올해만 3천억원을 투입할 계획이다. KT 관계자는 "정부의 방침이 결정되고 법제가 정비되면 언제라도 IPTV 서비스에 들어갈 수 있도록 준비하고 있다"면서 "연말까지는 수도권을 모두 초당 1.5-2메가 이상의 VDSL망으로 커버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기존 매체들은 강력한 새 매체와의 본격 경쟁에 대비하고 있다.

IPTV가 출범하면 1천400만 가입 가구를 확보한 케이블TV와 가입가구 190만의 위성방송 스카이라이프, 지상파 TV 등이 가입자 또는 시청자 확보를 위한 치열한 경쟁에 돌입할 전망이다. 지상파 TV나, 케이블TV, 위성TV 등은 이미 서비스 향상과 고화질(HD) 디지털화, 다채널화를 통해 경쟁력을 강화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특히 케이블TV 업계는 IPTV의 출현에 바짝 긴장하고 있다. IPTV가 어차피 기존의 유료 가입자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케이블 TV 가입자들을 대상으로 대대적인 판촉을 벌일 수 밖에 없을 것으로 보기 때문이다. 케이블 업계는 가정에서 IPTV의 셋톱박스가 케이블 TV 셋톱박스를 점차 대체할 가능성에 대해 우려하고 있다.

케이블 TV의 현 상황은 매우 좋다. 한때 강력한 경쟁상대가 될 것으로 우려했던 위성TV는 케이블의 벽을 넘지 못하고 있다. 케이블 TV는 본격적으로 초고속 인터넷 시장점유율도 늘려 현재는 10%를 돌파했고, 인터넷 전화(VoIP) 서비스가 제공되는 내년부터는 더욱 급격한 성장이 예상된다.

한국케이블TV방송협회(회장 오지철)에 따르면 현재 케이블 TV는 전체 TV시청 가구인 1천700만 가구의 약 82%인 1천400만 가구를 가입자로 확보했다. 케이블TV는 지상파 TV의 영향력을 이미 상당 부분 잠식했고 통신시장의 점유율도 함께 늘려가고 있는 중이다.

방송위원회에 따르면 지난해 111개 SO들의 매출액은 모두 1조5천957억원으로 전년도에 비해 21.3% 증가했고 PP는 홈쇼핑 5개사를 제외한 164개사의 방송부문 매출액이 7천268억원으로 전년대비 33.7% 늘었다. 이것은 지상파 TV 라디오 방송사 42개사의 매출액이 지난해 모두 3조5천425억원으로 전년대비 0.07% 증가한 것과 대비된다.

그러나 IPTV의 출현은 이 같은 케이블 TV의 성장 환경을 어느 정도 변화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IPTV는 한꺼번에 전국을 커버하는 데 비해 케이블 업계는 전국을 77개 권역으로 나누고 그 지역에서만 방송을 하고 있다. 종합유선방송사업자(SO) 간의 인수합병을 통한 몸집 불리기도 최근 공정거래위원회에서 소비자 보호를 이유로 불허할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몸집이 작은 지역 케이블 TV 사업자들이 인수 합병 없이 KT 같은 거대 IPTV 사업자와 경쟁하는 것은 무리라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또 IPTV와의 경쟁을 위해서는 SO의 외국인 지분 제한이나 외국 채널 규제 등 여러가지 규제도 완화돼야 한다고 케이블TV 관계자들은 주장한다.

케이블 TV 업계는 IPTV 출범 이후 가입자의 정체 또는 감소 현상이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자구책을 강구중이다. 대표적인 조치는 케이블TV 화질의 고선명(HD)화이다.

SO들의 모임인 케이블TV방송국협의회(SO협의회)는 지난달 21일 기자회견을 열고 2010년까지 아날로그방송을 끝내고 이후 디지털방송만 내보내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SO들은 또 디지털케이블TV를 현재 표준화질(SD)로 방송하고 있지만 앞으로는 모든 프로그램을 고선명화질(HD)로 방송하기로 했으며 2010년까지 HD채널을 유료채널(PPV:Pay Per View)을 포함해 150개로 늘리겠다고 밝혔다.

오광성 SO협의회장은 "케이블TV방송협회 차원에서 프로그램 제공업체인 방송채널사용사업자(PP)들에 HD 시설 투자 등을 지원할 펀드를 조성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지상파 방송사들은 최근 TV 1개 채널 대역(6㎒)에서 HD 채널 외에 SD 채널과 데이터, 오디오 등 여러 채널을 방송하는 MMS(멀티모드서비스) 시험방송을 실시했다. 지상파 방송사들은 MMS 서비스가 케이블이나 IPTV에 대한 지상파방송의 경쟁력을 강화시켜줄 것으로 보고 있다.

지상파방송사는 또 아파트 등 공동주택에서 케이블TV에 의존하지 않고 직접 디지털 지상파TV를 수신할 수 있도록 수신환경 개선에도 주력하고 있다. 지상파방송사로 구성된 한국방송협회는 아파트 등 공동주택의 공시청안테나망(MATV) 확보에 나섰다. 그러나 지상파의 MMS 서비스 실시는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

케이블TV측은 IPTV 출범에 위협을 느끼고 있지만 지상파 방송들의 MMS 서비스에 대해서도 강력한 반대입장을 표명한 바 있다. 한국케이블TV방송협회와 PP협의회, SO협의회 등 케이블사업자들은 지상파 다채널방송 도입이 "유료방송시장의 붕괴를 필연적으로 동반하게 된다"고 주장하고 있다.

지상파 TV들이 디지털로 HD 채널과 데이터, 오디오 등을 무료로 보내게 되면 시청자들이 돈을 내고 케이블TV나 위성TV를 보겠느냐는 것이다.

위성TV는 케이블TV만큼 IPTV를 경계하고 있지는 않지만 내부적으로 대비하지 않을 수는 없는 상황이다. 스카이라이프의 공희정 커뮤니케이션 팀장은 "IPTV가 실시간 방송까지 하게 된다면 (위성TV와) 경쟁과 협력의 관계로 가게 될 것"이라면서 "우리는 PVR(Personal Video Recording) 서비스와 독보적인 채널 등으로 콘텐츠와 서비스를 강화하는 식으로 대비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처럼 이미 치열해진 미디어 시장에 뛰어드는 IPTV는 매체 간 `경쟁'을 더욱 격화시켜 거의 생존을 위한 `전쟁'수준으로 만들 전망이다.

IPTV 서비스를 준비중인 하나로텔레콤의 박종훈 경영전략본부장은 최근 한 세미나에서 "IPTV는 기존 방송과의 차별화된 새로운 영역의 서비스를 추구하지만 기존 유료방송과의 일부 경쟁은 불가피하다"고 내다봤다.

그러나 그는 케이블이나 위성 등 기존의 유료 방송들과 경쟁 속에서도 IPTV가 성공적으로 확산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특히 ▲ 디지털 텔레비전 수상기가 올해말까지 840만 대 보급될 것이라는 추산과 ▲ 주5일 근무 등 여가시간의 증가에 따른 TV시청시간의 증가 ▲ 단순시청에서 적극적 참여(on-demand) 형태로 변화하는 시청자들의 태도 등을 IPTV 성공 전망의 근거로 들었다.

한편 노성대 방송위원장은 매체 간 경쟁에 대해 "시청자 입장에서 IPTV는 기존의 케이블TV나 위성방송과 다를 바 없는 다채널 방송서비스"라면서 "따라서 시장에서 서비스 상호 간에는 경쟁관계를 형성할 수 밖에 없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이러한 경쟁관계 속에서 각 매체의 차별성을 부각시키면서 특화된 다양한 서비스를 개발해 나가는 것이 각 매체가 상생하는 길"이라고 덧붙였다.

by 100명 2006. 7. 13. 07:07
방통 융합시대 ③법제와 시장개방

IPTV, 케이블TV 규제 형평성 논란
융합미디어 시장개방 문제 정통부.방송위 이견

(서울=연합뉴스) 김대영 편집위원 = 정부 입장에서 볼 때 방송과 통신의 융합이란 방통융합 현상의 규율을 정하고 방통 융합 매체를 규제할 법을 만들고 그에 따라 규제 기관을 만드는 작업이다. 현재의 방송법이나 통신법 등 현 제도로는 방송과 통신이 결합된 IPTV 같은 매체를 규제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방통 융합 현상은 이미 나타나기 시작했지만 방통과 통신을, 또는 콘텐츠와 전달매체를 함께 아우르는 종합적인 법은 아직도 만들어지지 않았다.

◇ 기술 발달과 법제 변화 = 기술의 급속한 발달에 따라 법과 제도가 기술을 미처 따라가지 못하는 상황이 최근 십여년 간 계속되고 있다. 지상파 방송만 있던 시절에는 방송법만으로 충분했지만, 케이블TV가 나타나는 상황이 되자 1991년 종합유선방송법이 만들어졌다. 또 그 법에 따라 1992년 종합유선방송위원회가 출범했다.

그러던 것이 1990년대 중반 위성방송 출범 움직임이 나타나면서 문제가 복잡해지기 시작했다. 당시 공보처가 위성방송법 또는 통합방송법을 만들 움직임을 보이자 정보통신부는 이것이 기술적으로 위성을 사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지상파 방송과 다르다면서 위성통신법을 제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결국 1998년 방송개혁위원회에서 방송위, 종합유선방송위, 정통부, 문화관광부 등이 서로 치열하게 논쟁을 벌이고 협의한 끝에 기존의 방송법과 종합유선방송법 등을 합치고 위성TV관련 법조항을 넣어서 2000년 이른바 `통합방송법'을 출범시켰다. 이에 따라 종합유선방송위원회는 방송위원회와 통합됐다.

그런데 이제 IPTV 출범을 앞두고 다시 그때와 비슷한 논란과 부처 간 갈등이 일고 있는 것이다.

기존의 통합 방송법이 IPTV를 규제할 수가 없기 때문이다. 방송개혁위원회는 인터넷방송(웹캐스팅)의 규제와 관련해 "전기통신 회선을 이용해 방송, TV, 라디오라는 명칭을 사용하면서 일정한 편성계획에 따라 유통시키는 프로그램은 방송위의 내용규제를 받는다"고 합의했으며, 이것은 통합 방송법 및 시행령에 부분적으로 반영됐다. 더 자세히 살펴보면 지상파 방송 등 방송사업자의 인터넷 방송은 방송위의 규제를 받지만 포털 사이트 등이 운영하는 그 밖의 방송은 정통부와 정보통신윤리위원회의 규제를 받는다.

그러나 개방망을 통한 인터넷방송과 달리 폐쇄망을 통한 IPTV의 출현은 새로운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즉, IPTV를 방송법상 종합유선방송사업으로 볼 것인가, 또 종합유선방송사업과 동일한 규제를 적용할 것인가 등에 대한 논란이었다.

이와 관련해 방송위의 한 관계자는 "KT 등이 하려는 IPTV는 법에 정의된 종합유선방송사업에 부합하고, 서비스 역시 디지털 케이블TV와 동일하지만, 종합유선방송사업에 적용되는 구역제한 등의 규제를 IPTV에도 동일하게 적용하는 것이 적절한 조치인지가 논란의 핵심"이라고 말했다.

콘텐츠는 대부분 분류가 돼 있는 상태다. 데이터서비스, 홈쇼핑, 홈뱅킹 등은 이미 방송의 정의에 데이터방송에 포함돼 있고, 주문형비디오(VOD)나 데이터 방송을 하는 사업자는 방송채널사용사업자(PP)로 등록 또는 승인을 얻어 사업을 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예외도 있다. 방송법에도 데이터 방송중 인터넷 등 통신망을 통해 제공되는 데이터방송은 규제 대상에서 제외한다고 명시돼 있다. 즉, KBS 등 지상파 방송과 케이블 및 위성방송의 PP 등이 하는 데이터 방송은 방송법의 규제를 받지만 나머지는 방송법상 규제 대상이 아니라는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방송위와 정통부는 IPTV 같은 매체에 대한 규제가 전혀 이뤄지지 않거나 또는 이중으로 규제가 되는 상황을 우려하면서, 이런 매체를 적절히 관할하고 규제하려면 방통 융합시대에 맞는 기구와 법이 필요하다는 데는 의견을 같이한다.

그러나 ▲ 정책과 규제를 모두 한 기관에서 할 것인지, 아니면 분리할 것인지 ▲ IPTV를 하나의 방송으로 보고 일부 부가 서비스를 포함하는 것으로 볼 것인지, 아니면 방송(지상파 프로그램과 PP 콘텐츠)을 동등한 비중의 여러 콘텐츠 중 하나로 볼 것인지 등에서 이견이 존재한다.

이런 문제를 비롯해 다수의 이견들은 3기 방송위원회와 방통융합추진위원회가 출범하면 활발히 논의될 전망이다. 의원입법의 방통융합법안들이 국회에 계류 중이며 정통부도 법안을 준비 중이다.

◇ 법안 = 과학정보위 유승희(열린우리당) 의원등 19인이 지난해 10월13일 발의한 정보미디어사업법안이 정무위에 계류 중이다. 이 법안은 ▲총리실 산하에 정보미디어감독위원회(국조실상을 위원장으로 통신 방송 각 4인씩)를 신설하고 ▲ 법 시행후 3년 이내에 통신 방송 통합행정기관을 설치하며 ▲ 방송도 통신도 아닌 제3의 영역으로 IPTV를 규정하고 ▲ 프로그램 내용 심의는 방송위가 관장하되 ▲ 정보미디어윤리위원회를 신설하자는 것을 골자로 하고 있다.

이 법안은 정보미디어 역무를 인터넷프로토콜망을 통한 정보미디어 역무(BCS등), 유무선 전화망을 통한 정보미디어역무, 이동멀티미디어 방송망을 통한 정보미디어역무 등으로 세분화해 규정하고 있다. 또 사업을 정보미디어전송사업(허가)와 정보미디어프로그램사업(등록)으로 구분했다.

문광위 김재홍(열린우리당) 의원이 지난해 11월30일 발의한 방송법 개정안도 현재 문광위에 계류 중이다. 이 법안은 IPTV를 ▲ IP기반의 인터넷 방송으로 규정하고 규제하며 ▲ 방송위원회의 허가사항을 명시하고 ▲ 지역사업권 제도를 도입하며 ▲ 종합유선방송사업자(SO)와 같은 지분제한을 하며 ▲ 방송발전기금을 징수하자는 것을 골자로 한다.

이 법안은 프로그램편성 외에 방송 채널 편성개념을 포함하고, 인터넷방송 사업을 정의하는 한편, 방송위 사업허가, 지역사업권제도 도입, 소유제한, 외국자본제한 등 종합유선방송사업과 동일한 규제를 적용하자는 것이다.

정통부는 통신법이나 방송법만으로 IPTV를 규정하기가 곤란하므로 제3의 입법이 필요하다고 주장하면서 이른바 `광대역융합서비스사업(BCS)'법안을 준비 중이다.

이 법안은 ▲ 전기통신사업법과 방송법중 융합서비스에 필요한 관련 규정을 최대한 준용하고 ▲ 실시간 방송프로그램에 대해서는 심의, 편성, 광고 등 방송의 공공성과 공익성을 보장하기 위한 방송법의 규정을 준용해 방송계의 요구사항을 수용한다는 것이다.

또 방통 융합에 대응한 유럽연합(EU),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수평적 규제체계 사례를 참고해 전송사업과 콘텐츠사업을 분리 규제하는 수평적 규제체제를 도입한다는 내용이다.

즉, 전송사업은 진입 및 소유규제 등 경제적 목표를 위한 규제완화, 실시간 방송등 콘텐츠사업은 편성과 내용 규제 등 사회문화적 목표를 위한 규제강화를 원칙으로 하자는 것이다. 또 융합서비스사업의 성격을 고려해 양기관이 공동으로 입법을 추진하고 규제권도 양기관이 협의 및 공동으로 관할하자고 정통부는 설명했다.

그러나 방송위는 이에 대해 "OECD의 2004년 보고서에서도 진입 및 소유규제 등은 콘텐츠 규제 이슈에 해당한다"면서 "콘텐츠 규제 이슈는 다원성과 다양성 보장 및 신장이라는 원칙하에 `미디어 목소리의 다원성과 교차 미디어 소유, 교차 영역 소유, 개발 방송사업자의 크기에 대한 제한 등 관련 정책'을 포함한다"고 말했다.

방송위는 일단 방송법에 대한 특별법을 제정하자는 입장이다. 방송위 방송통신구조개편기획단의 오용수 부장은 대표적으로 방송법상 신문방송 겸영금지 조항 등을 거론하며 "IPTV가 출범하기 전에, 예컨대 신문이 방송 콘텐츠를 제공하는 것을 허용할 것이냐, 신문사의 보도채널 진입을 허용할 것이냐 등의 민감한 문제들이 먼저 해결돼야 한다"고 말했다.

방송위의 또다른 관계자는 "방송위는 통신망 이용 방송서비스에 따른 제반 규제 이슈를 선결적으로 논의하고 기존 방송서비스와 규제의 형평성을 상실해서는 안된다는 입장"이라면서 "방통융합추진위를 통한 규제체계 정비가 선행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방송위측은 국회에 계류 중인 법안들에 부정적인 입장이다. 방송위의 한 관계자는 유승희 의원의 법안에 대해 "이것은 새 조직(정보미디어감독위원회)을 만들고 서비스를 따로 분류하자는 것인데 부적절하다"고 지적했다. 이 관계자는 또 김재홍 의원의 방송법 개정안에 대해서도 "이것은 IPTV와 인터넷방송(웹캐스팅)을 구분하지 않고 포괄하는 것이어서 적절치 않다"면서 "국회 문광위에 (이 법안에 대한) 반대의견을 냈다"고 말했다.

◇ 시장개방 문제 = 시장 개방 문제는 방송위원회가 IPTV를 방송으로 규정하지 않으면 외국 업체들에게 IPTV 시장을 개방하게 될 가능성이 높다고 주장하면서 논란이 되고 있다.

방송위는 "현재 WTO(세계무역기구)와 한-칠레 FTA(자유무역협정), 한-싱가포르 자유무역협정(FTA) 협상에서 방송서비스와는 달리 기간통신역무를 제외한 통신서비스에 대해서는 외국인 투자를 양허했다"며 "따라서 한미 FTA협상에서 IPTV 등 신규서비스를 부가통신역무로 분류하거나 방송도 통신도 아닌 제3의 역무로 분류할 경우 통상협상에 불리하게 작용할 여지가 있다"고 말했다.

이는 정보통신부가 추진하는 '광대역융합서비스' 법안에서 IPTV 등을 제3의 서비스로 규정하는 것이 통상협상에서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고 지적한 것이다.

또 유엔 산출물분류표(CPC: Central Product Classification)에 미디어융합서비스의 개념 정의가 없기 때문에 유엔이 CPC에 이를 명시하거나 명확한 정의를 내리려면 따로 국제회의를 열어야 하는데 현재 유엔은 그런 움직임을 보이지 않고 있다고 방송위측은 말했다. 다른나라에서도 IPTV를 제3의 서비스로 유보한 사례가 없기 때문에 제3의 서비스 법안이 통상협상에서 불리한 이유로 분석됐다고 방송위는 주장했다.

그러나 정통부측은 이에 대해 "CPC에 없다고 해서 (통상협상에서) 유보할 수 없는 것이 아니고, 미래 유보는 현행 법령상 없는 내용을 유보하는 것"이라면서 "방송위도 마찬가지로 현행 방송법에 없는 내용을 새로이 유보하는 내용이 있다"고 말했다.

CPC는 영화 및 방송관련 상품을 ▲ 영화 및 비디오 테이프 생산 및 유통 서비스 (Motion Picture and Video Tap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Services) ▲ 영화 상영 서비스 (Motion Picture Projection Services) ▲ 라디오 텔레비전 서비스 (Radio and Television Services) ▲ 프로그램 송출 서비스 (Programme Transmission Services) 등으로만 분류하고 있다.

한미 FTA와 관련 방송위는 "미국측은 관련업계의 요구를 반영해 방송쿼터와 외국방송 재송신, 방송사업소유와 지상파방송광고판매 등에 대한 규제 완화 또는 철폐 등의 요구사항을 제기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다.

이에 대응해 방송위는 미국 측이 제기할 것으로 전망되는 쟁점에 대해 모두 현행제도를 유지하고 방송의 특수성을 고려해 IPTV를 미래유보 대상에 포함시킬 계획이라고 밝혔다. 방송위는 문화다양성 보호, 정책의 탄력성 확보를 위해 새로운 방송통신 융합 환경에서는 IPTV와 같은 신규 서비스는 기술방식이 무엇이든 간에 방송서비스로 분류해 미래 유보해야 한다는 입장이라고 밝혔다.

방송위측은 "정통부는 기존의 방송(지상파 및 PP 콘텐츠)과 통신법상 부가통신(기간 통신인 전화 등을 제외한 인터넷 포탈이나 e-commerce 등) 서비스를 묶어 융합서비스로 분류하고 있다"면서 "이미 부가 통신은 개방이 양허된 상태인데 부가통신과 방송을 한 데 묶어 제3의 서비스라면서 둘 다 개방하지 않겠다고 한다면 상대방이 수긍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현행 방송법 시행령에는 PP들이 전체 방송시간 중 국내 프로그램을 전체 방송시간의 20-50% 이상 (매년 하한선이 변동됨) 방영하게 돼 있고 외국 방송의 재송신은 케이블TV 전체 채널의 20%를 넘지 못하게 돼 있다.

그러나 정통부는 이 같은 주장에 대해 방송시장이 우선 개방되지 않고서는 IPTV로 인한 추가 개방은 없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정통부의 박노익 방통융합 전략팀장은 "광대역융합서비스사업안에도 실시간 일방향 방송콘텐츠에 대해서는 방송법상의 편성규제를 적용하기 때문에 방송시장의 우선 개방 없이는 IPTV로 인한 추가 개방이 없다"고 주장했다. 그는 또 "미래에는 IPTV 외에 다양한 형태의 비즈니스 모델이 등장하고 이에 따른 융합서비스의 양상을 예측하기 곤란하므로 TV라는 개념에서 벗어나 현행 법령에 반영되지 않은 사항에 대하여 포괄적인 미래유보가 불가피하다"고 덧붙였다.

박 팀장은 "미국의 방송콘텐츠들이 국내시장에 들어오는 것을 최대한 막을 수 있도록 방송법령상의 외국인지분제한, 외국채널편성 규제 및 외국제작물 편성비율 규제 등을 관철시켜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또 "IPTV 도입을 지연시키기보다는 하루빨리 활성화하여 경쟁력을 갖추는 것이 중요하다"면서 "중ㆍ장기적으로 등장하게 될 다양한 융합서비스에 대해서는 포괄적 유보조항을 반영할 수 있도록 범정부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by 100명 2006. 7. 13. 07:02
방통 융합시대 ④명칭과 규제
[연합뉴스 2006-07-13 06:01]
방송위는 IPTV, 정통부는 BCS

방송위 케이블.IPTV 동일규제..정통부 규제완화 주장

(서울=연합뉴스) 김대영 편집위원 = IPTV에 대해 방송위원회와 정보통신부는 명칭이나 정의에서부터 이견을 보이고 있다. 규제 문제도 방송위는 `동일 서비스 동일 규제' 원칙과 규제 개선을 주장하면서 IPTV가 케이블TV와 동일한 서비스이므로 규제 형평성을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반면 정통부는 실시간 방송 콘텐츠는 방송법에 따른 규제를 받도록 하되 나머지 프로그램은 규제를 최소화하자는 입장이다.

◇ 명칭과 정의 = 같은 서비스에 대해 방송위는 `IPTV(TV over Internet Protocol)'라는 명칭을, 정통부는 `광대역융합서비스(Broadband Convergence Service)'라는 명칭을 각각 사용한다.

방송위는 IPTV를 "디지털 IP 방식을 기반으로 하는 텔레비전 방송 서비스"로 정의하면서 "방송프로그램, 기획.편성,공중(개별계약에 의한 수신사 포함), 전기통신설비, 송신 등 방송의 요건을 포함하고 있어 방송에 해당한다"고 주장한다. 그리고 실시간TV 외에 라디오방송, 데이터방송, VOD 등 주된 서비스와 EPG(전자프로그램안내:Electronic Program Guide) 등 TV부가적인 서비스로 구성된다고 설명한다.

이에 대해 정통부는 "IPTV라는 말은 TV라는 단말 유형 또는 TV 방송이라는 콘텐츠 유형에 초점을 맞춘 용어"라고 지적하면서 TV, PC 등 여러 종류의 단말을 통해 제공되는 다양한 형태의 맞춤형 개인 양방향 통신과 방송의 융합서비스 등을 포괄하는 `광대역융합서비스'라는 명칭이 적합하다고 주장한다.

정통부는 BCS를 또다시 실시간 방송과 주문형 인터넷 콘텐츠(ICOD: Internet Contents On Demand)로 나누고 있다.

정통부가 말하는 BCS란 "통신사업자가 초고속인터넷망을 이용해 이용자의 요청에 따라 실시간 방송프로그램, 영상콘텐츠(VOD), 인터넷 접속, 전자상거래, 온라인 게임 등 다양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여기서는 방송도 주요 서비스의 개념이 아니고 여러 가지 동등한 비중의 서비스들 중 하나일 뿐이다.

외국의 경우 미국은 IPTV라는 명칭을 사용하고 있지만, 영국은 `텔코(Telco) TV', 프랑스는 `DSL을 통한 TV(TV par DSL)', 일본과 홍콩은 `광대역TV(Broadband TV)'라고 각각 부른다.

유럽방송연맹(European Broadcasting Union)은 `광대역(Broadband)TV'라는 용어를 사용하면서 `인터넷 비디오 스트리밍(Internet Video Streaming)', 즉 웹TV와의 차이점을 강조한다.

EBU는 지난해 5월 제네바에서 열린 워크숍에서 광대역TV는 "일정한 지역에서 일정한 고객들을 대상으로 셋톱박스가 달린 TV 수상기를 통해 고품질의 프로그램을 안정적으로 보내고 고객들과 양방향 커뮤니케이션도 하는 커뮤니케이션 미디어"라고 정의했다. 반면 인터넷 비디오 스트리밍은 잠재적으로 전세계 고객들을 대상으로 개방된 인터넷을 통해 PC로 동영상을 송신하는 서비스이며 보안이나 품질, 안정성을 보장할 수 없다는 것이다.

◇ 규제 강도 = 정보통신부는 실시간 방송 콘텐츠(지상파, PP)만을 방송법의 규제 아래에 놓고 나머지 콘텐츠는 규제를 최소화하자는 주장인 데 반해 방송위원회는 IPTV 전체를 하나의 방송으로 보되, 주문형비디오(VOD), 데이터방송 등 양방향 서비스는 서비스 특성에 따라 규제를 차별화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정통부는 방송사에서 편성한 일방향 실시간 콘텐츠는 방송법에 따라 강하게 규제해야 하지만 양방향의 문자, 게임, 오락 등의 콘텐츠에 대해서는 사후심의만 하거나 규제를 최소화해야 한다고 말한다.

특히 정통부가 주장하는 `수평적 규제체제'란 전송과 콘텐츠를 이원화해서 네트워크 전송에 해당하는 부분은 진입을 자유롭게 해 경쟁촉진 원칙을 적용하고 콘텐츠는 성격 유형에 따라 규제 강도를 달리하자는 것이 기본 개념이다.

정통부의 한 관계자는 "다매체 다채널 뉴미디어 시대에 적합하게 지상파, 위성, 케이블등 전송수단에 대해서는 경쟁촉진과 공정경쟁을, 방송프로그램에 대해서는 소유·겸영·내용심의 등에 있어서 강한 규제를, 그 밖의 인터넷 콘텐츠에 대해서는 약한 규제를 적용하는 것이 선진국의 추세"라고 말했다.

그러나 방송위원회는 동일서비스 동일규제 원칙하에서 IPTV는 케이블TV사업자(SO)와 동일 규제 적용을 전제로 포괄적인 규제 개선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유사한 서비스에 대해 네트워크에 따라 각기 다른 규제체계가 적용돼서는 곤란하다는 것이다. 방송위는 IPTV를 다양한 디지털 멀티플랫폼 중 하나로 보고 있으며, 향후 방송 역시 IP방식으로 진화 발전할 것으로 보고 있다.

SO들은 자신들이 소규모 영세사업자들인데 비해 IPTV를 추진하는 KT는 매출액 11조-12조원의 대형 전국 사업자이기 때문에 경쟁이 되지 않는다고 주장한다. 더욱이 IPTV가 방송법의 규제도 받지 않는다면 대세는 이미 SO쪽에 불리하다는 것이다.

정통부는 이에 대해 방송위가 SO들에 대한 규제를 완화해 덩치를 키워줘야 한다는 입장이다. 또 SO들을 77개 권역으로 나눠 지역적으로 사업을 제한하기보다는 시장점유율을 제한하는 방향으로 가야 한다는 것이 정통부의 주장이다. 케이블TV도 지역적으로 독점이기 때문에 그런 독점을 풀어 케이블끼리 경쟁을 시켜야 하고 IPTV가 도입되면 IPTV와도 역시 경쟁으로 가야 한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방송위의 한 관계자는 "시청자들의 선택권을 확대하고 가입자망을 고도화하기 위한 멀티플랫폼간 경쟁은 인정하지만 과당경쟁을 유발하는 진입제한 폐지는 사업성이 높은 지역에서만 과도한 경쟁을 유발하고, 그렇지 않은 지역에서는 서비스가 제공되지 않는 등 많은 부작용을 낳을 우려가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는 네트워크 정책과도 연관된다는 점에서 정통부가 좀더 구체적인 대안을 제시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 규제 기관 = 정통부는 정책기관과 규제기관의 분리를 주장하는 데 비해 방송위는 정책과 규제 권한을 함께 갖춘 미국의 연방통신위원회(FCC)같은 모델을 선호한다. 방송위의 한 관계자는 "방송통신 규제기구의 설치는 독립적 합의제기관의 형태로 방송과 통신에 관한 행정 및 준입법권, 준사법권 등을 행사하는 미국의 FCC 모델을 참고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말했다.

방송위는 방송의 언론기능과 사회문화적 가치를 감안해 통합규제기관인 가칭 `방송통신위원회'가 직무상 독립된 법적 위상을 유지해야 하며, 행정 및 준입법권, 준사법권을 총괄적으로 수행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정통부는 일반 부처가 정책을 담당하면서 진흥과 육성 등의 기능을 하는 한편 규제는 재경부의 금융감독위원회처럼 별도의 위원회가 담당하도록 하자고 주장한다. 권한과 책임을 일치시키는 한편 공정성과 효율성을 제고해야 한다는 것이다. 또 "진정한 의미의 방송의 독립성과 중립성을 보장하기 위해서" 프로그램 내용 심의기구는 따로 민간 기구로 만들자는 것이 정통부의 제안이다.

이에대해 방송위는 "정책-규제 분리론은 우리나라와 달리 의원내각제 국가에서 일반적으로 행정부처에 정책권을 부여하고 규제기구를 부처 산하기구로 종속시키는 방안을 주장하는 것으로, 우리의 경우에 방송의 독립성을 훼손할 우려가 크고 이미 독립기관으로서 방송위를 출범시킨 사회적 합의에도 위배되므로, 타당치 못한 방안"이라고 말한다.

정통부는 이에대해 시장이 원하는 다양한 통신방송 융합서비스가 원활히 도입될 수 있도록 관련 규제의 완화와 제도의 정비가 필요하고 통신방송 융합에 맞춰 정보통신(IT) 가치사슬(단말, 네트워크, 서비스, 콘텐츠)의 선순환 구조를 효율적으로 연계 발전시킬 수 있는 정책 및 규제체계를 갖추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한다.

정통부의 한 관계자는 "통신계와 방송계가 기본방향에 대한 합의를 전제로 하고 실현가능한 사안부터 단계적으로 풀어갈 필요가 있다"면서 "정통부는 방송위와의 인사교류를 통한 상호이해, 협력 증진을 주장하며 통신방송 융합서비스 조기도입 등을 위해 정통부와 방송위의 IPTV사업 시범사업 공동실시를 제안했다"고 말했다.

그는 "법 제도를 정비하고 앞으로 출범할 방통융합추진위를 통해 기구개편등 융합의제에 대한 국가적 합의도출을 우선적으로 추진하자"면서 "IPTV가 기술적으로 가능하고 외국에서도 이미 상용서비스를 시작했으니까 먼저 시범사업이라도 터주고 그 뒤 제도를 논의하자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방송위는 먼저 IPTV 방송을 시범적으로 실시한 뒤 문제점을 논의하자는 정통부의 제안에 대해 신문법, 방송법상 ▲ 신문 방송의 겸영 금지 조항 ▲ 보도채널의 1인 지분이 30% 넘지 못하게 돼 있는 조항 ▲ 해외채널의 재송신은 케이블, 위성에서 전체 채널의 20%를 넘지 못하게 돼 있는 조항 등 기존 방송법령과의 충돌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방송위 관계자는 "선 서비스 후 규제는 상용화한 후 규제하는 모순이 발생하며, 결과적으로 업계의 불필요한 비용 발생과 시청자 혼란을 야기할 우려가 있다"고 말했다.

그는 "우리는 IPTV 도입을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기존 법제도중 충돌하는 것을 먼저 합리적으로 해결하자는 것"이라면서 "IPTV를 유무선망을 갖고 있는 사업자들에게 다 허용할 것이냐, 그래서 과당경쟁을 시킬 것이냐의 논란도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 "콘텐츠가 취약하고 서비스가 동일한 가운데 사업자들의 과당경쟁은 필연적으로 덤핑으로 갈 수 밖에 없다"면서 이밖에도 "ADSL 인터넷을 사용하는 가정과 그보다 속도가 훨씬 빠른 VDSL 인터넷 가정의 정보격차는 어떻게 할 것이냐"고 물었다.

그는 "방송위의 시범사업은 정통부의 BcN시범사업과 다른 사업목적으로 예산을 확보했다"면서 "방송위는 컨소시엄을 공개모집해 기존 법체계 안에서 시범사업을 운용할 것이며 정통부와도 공동 추진 방안을 협의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by 100명 2006. 7. 13. 06:58
작년 PP 시장 `양극화` 심화
134개사중 64곳 적자… 지상파ㆍMPP 총순익 61% 차지
지난해 방송채널사용사업자(PP) 시장에서 지상파 계열 등 소수 사업자의 쏠림이 극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한국케이블TV방송협회(회장 오지철)가 방송위원회의 `2005년도 방송사업자 재산상황 공표집'을 자체 분석한 결과, 홈쇼핑채널과 데이터방송채널을 제외한 PP 134개사 가운데 절반 가량인 64개사가 적자를 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흑자 경영을 한 70개사의 전체 순이익(1496억원) 가운데 지상파 계열 7개 법인과 온미디어와 CJ미디어 등 2대 MPP 계열 10개 법인의 비중이 61.0%를 차지해 `부익부 빈익빈'이 심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KBS스카이, MBC 드라마넷 등 지상파계열 7개 법인은 지난해 순이익 498억원을 달성, 전년(405억원)대비 20% 가까운 증가율을 보였다. 이는 전체 PP 순이익의 전년대비 증가율(10.3%)에 비해 더 가파르게 성장한 것이다.

온미디어, CJ미디어의 10개 법인의 순이익은 415억원에 달했다.

이들 지상파 계열과 2대 MPP 계열 17개사의 사업자 당 평균 순이익은 53억7000만원으로, 케이블TV방송사(SO)의 사업자 당 평균 순이익 8억7000만원의 5배 규모로 집계됐다.

지상파 계열과 2대 MPP를 제외한 나머지 118개 PP만 살펴보면 393억원의 손실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적자 경영한 64개 PP의 적자 규모가 976억원으로, 흑자 PP 53개사의 흑자 규모 583억원을 앞질렀기 때문이다.

시장 상위 50개사 가운데 지상파계열이나 2대 MPP가 아니면서 흑자를 기록한 PP는 15개법인 16개 채널로, JEI재능방송, 한국경제TV, MBN, CNTV, e-채널, 불교TV, MIN, CTS, CBS, 코미디TV, CMC가족오락TV, 시네마TV, MCN드라마, FTV, 휴먼TV 등이었다.

이밖에 지상파 계열 7개 법인의 수신료 매출은 309억원으로 시장 전체(1579억원)의 19.6%를 차지했으며, 광고매출로는 1455억원을 벌어들여 시장 전체(5201억원)의 28.0%를 차지했다.

이에 대해 케이블TV방송협회 관계자는 "PP를 약자로 보는 시각 속에 MPP들과 지상파계열 PP들이 성장해 왔다"며 "SO가 네트워크와 디지털전환 장비 구축에 투자하는 만큼 이들 시장 상위업체들도 국내 영상산업 발전을 위해 디지털제작과 자체 콘텐츠 제작에 투자해야한다"고 지적했다.
by 100명 2006. 7. 11. 07:11
SKT 가입자, 지상파DMB 데이터방송 이용 못할 판...제조사에 기능삭제 요구
강호성기자 chaosing@inews24.com
2006년 07월 09일
오는 10월부터 지상파DMB를 이용한 데이터 방송 서비스가 시작될 예정인 가운데 SK텔레콤 가입자는 당분간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 못하는 반쪽짜리 서비스를 제공받을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SK텔레콤이 삼성전자와 LG전자, 팬택계열 등 주요 휴대폰 제조사에 현재 개발중인 지상파DMB폰에 데이터방송 솔루션 탑재를 삭제할 것을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기 때문.

KTF와 LG텔레콤 등 PCS 가입자들은 오는 10월께부터 지상파DMB 사업자가 제공하는 데이터 방송으로 각종 생활정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되지만 SK텔레콤 가입자들은 반쪽짜리 지상파DMB 서비스를 제공받을 가능성이 높아진 것이다.

◆SKT, "지상파DMB 데이터 방송 안돼"

단말기 제조사 관계자는 7일 "최근 SK텔레콤 담당자로부터 향후 개발할 지상파DMB폰에서 데이터 방송용 솔루션을 빼달라는 요청을 받았다"며 "일단 실무 직원 메일을 통해 이같은 요구를 받았지만, 조만간 공식 요청이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그 관계자는 "SK텔레콤 측은 데이터방송 솔루션 삭제로 인해 발생할 문제들은 모두 책임을 지겠다고 말했다"며 “라디오 방송과 연동되는 문자정보나 사진 슬라이드쇼 기능 등 데이터방송과 관련된 모든 기능 삭제를 요청했다”고 덧붙였다.

지상파DMB 사업자들은 이르면 오는 10월부터 날씨나 교통정보, 현위치 주변의 생활정보 등 각종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단말기 제조사들은 데이터방송용 솔루션을 탑재한 지상파DMB폰 개발을 추진중이다.

삼성전자와 LG전자는 1~3종 가량의 SK텔레콤용 지상파DMB폰 출시를 기대하고 있지만 SK텔레콤의 휴대폰 기능 일부 삭제 요청이 공식화될 경우 단말기 기능을 수정해야 할 판이다.

데이터 방송이 본격화되면 시청자들은 방송 시청 도중 미리보기, 다시보기, 출연자 인터뷰 등을 시청할 수 있고 원하는 콘텐츠는 다운받을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지상파DMB 사업자들은 KTF와 양방향 데이터 통합포털 설립 및 운영 계약을 맺었다.

◆방송서비스를 통신사가 좌우?

SK텔레콤이 단말기 제조사에 이 같은 요구에 나선 것은 자회사인 TU미디어의 위성DMB 사업보호 차원으로 풀이된다.

TU미디어는 오는 10월께부터 위성DMB의 데이터 방송 서비스에 들어간다. 실시간 교통정보 서비스 및 오디오 채널의 가사 연동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TU미디어 관계자는 "10월부터 교통정보 서비스를 먼저 시작하고 12월경에는 오디오 채널 가사 연동서비스에 돌입할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SK텔레콤의 데이터방송 기능 삭제를 계기로 업계에선 '방송서비스를 위한 필수 기능을 이동통신사가 좌지우지할 수 있는가'를 두고 논란이 벌어지고 있다.

지상파DMB 방송사 관계자는 "DMB 활성화를 위한 데이터 서비스는 디지털 뉴미디어의 기본 서비스의 하나인데, 단말기 유통을 주도한다는 이유로 방송사가 제공하는 데이터 서비스를 시청자가 이용하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지적했다.

단말기 제조사 관계자는 "똑 같은 제품이 SK텔레콤 뿐만 아니라 KTF, LG텔레콤용으로 출시되는데 SK텔레콤용 휴대폰에서만 데이터 서비스가 안될 경우 소비자들의 불만이 제조사로 돌아오게 된다"며 고개를 흔들었다.

방송계 관계자는 "방송통신 융합시대를 맞아 하나의 단말기에서 통신 및 방송서비스가 가능해지며 사실상 주도권 싸움이 벌어지는 셈"이라며 "정책 당국이 원활한 조정자 역할에 나서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SK텔레콤 관계자는 "단말기 출시일정과 사양을 고려할 때 서둘러 표준화되지 않은 기능을 탑재하는 것은 무리가 있으며 기존 기능도 일부 삭제를 요청할 수 있다"며 "TU미디어 지원을 위해 지상파DMB 기능을 빼는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by 100명 2006. 7. 10. 12:59
<케이블TV 콘텐츠시장 양극화>
[연합뉴스 2006-07-10 05:45]
5대 MPP 상반기 시청점유율 72%

5대 MPP 작년 수신료ㆍ광고 점유율 62%

(서울=연합뉴스) 김준억 기자 = 지상파방송사 계열과 대기업 계열의 복수방송채널사용사업자(MPP)가 케이블TV 콘텐츠시장을 장악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온미디어와 CJ미디어, MBC플러스, SBS미디어넷, KBS SKY 등 5대 MPP의 상반기 케이블TV 시청점유율은 72%에 이르고 지난해 유료방송의 광고와 수신료 시장의 62%를 차지했다.

이러한 PP시장의 양극화에 따라 방송위원회가 추진중인 PP시장 균형발전을 위한 PP제도 개선방안이 주목되고 있다.

10일 시청률조사회사인 TNS미디어코리아와 한국케이블TV방송협회 등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5대 MPP(27개 채널)의 시청점유율은 71.8%에 달했으며 시청률 상위 20위 가운데 무려 17개를 차지했다.

MPP별로는 온미디어 계열(채널 9개)의 시청점유율이 27.3%로 가장 높았다. 이어 CJ미디어(채널 8개) 14.6%, MBC플러스(채널 4개) 13.5%, SBS미디어넷(채널 3개) 8.7%, KBS SKY(채널 3개) 8.0% 등으로 나타났다.

채널별 시청점유율은 투니버스가 8.8%로 1위를 차지했고 그 다음은 MBC드라마넷(8.3%), SBS드라마넷(7.3%), KBS SKY드라마(7.0%), OCN(5.8%), YTN(4.0%), 채널CGV(4.0%), JEI재능방송(3.9%), 수퍼액션(3.3%), 퀴니(3.1%) 등의 순이었다.

다만 온미디어의 애니메이션채널인 투니버스는 지난해까지 3년여 동안 줄곧 케이블TV 시청률 1위를 지켜왔으나 올해 상반기 중 절반(3, 4, 6월)은 MBC드라마넷에 1위를 내줬다.

상위 20위권에 들지 못하는 채널들의 시청점유율은 0~2%대로 '틈새' 시장에 불과한 실정이다.

아울러 방송위가 공표한 지난해 방송사업자 재산상황을 분석해 재구성한 결과 5대 MPP의 지난해 광고매출액은 3천352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전체 138개 PP(데이터방송, 홈쇼핑은 제외)의 광고매출액인 5천202억원의 64.4%에 이르는 것이다.

또 5대 MPP의 수신료 매출은 855억원으로 전체 PP의 수신료 매출 1천577억원의 54.2%에 달한다. 즉 5대 MPP가 유료방송시장(광고+수신료) 62%를 가져간 셈이다.

MPP별 광고매출액은 온미디어가 1천253억원으로 가장 많았고 CJ미디어(643억원), SBS미디어넷(602억원), MBC플러스(589억원), KBS SKY(263억원) 등이 뒤를 이었다.

이처럼 지상파와 대기업 계열 MPP가 시장을 장악하고 있지만 지상파 계열 PP의 주요 프로그램은 지상파방송에서 이미 방영한 프로그램을 재방송하는 것이고 대기업 계열 PP는 재원과 노력이 많이 드는 자체제작 대신 프로그램 수입에 주력하고 있어 국내 방송콘텐츠산업 발전에 크게 기여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 방송위는 지상파 계열 PP의 플랫폼 송출을 제한하고 MPP와 MSO(복수종합유선방송사업자)의 결합형태인 MSP 채널의 송출 기준을 조정하는 방안을 추진중이지만 MSP의 반발 등에 따라 방송법령 개정이 쉽지 않을 전망이다.

케이블업계 관계자는 "플랫폼 사업자의 콘텐츠 사업 겸영인 MSP는 세계적 추세로 방송위의 PP제도 개선방안은 문제가 많다"며 "국내 PP시장을 장악하고 있는 온미디어가 주력 사업이 아닌 SO를 매각할 경우 MSP 규제는 현실성이 없다"고 말했다.

by 100명 2006. 7. 10. 08:20
방송통신 융합시대 ①방통 융합의 개념과 의미
[연합뉴스 2006-07-10 06:04]
※편집자주 = 방송과 통신의 구분이 모호해지는 시대가 도래했다. 방송이 디지털화하면서 휴대전화 등 통신수단으로 지상파 방송을 수신하고, 방송인 케이블TV가 통신의 영역인 초고속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또 불과 1∼2년 뒤에는 방통융합의 상징적 매체라고 할 수 있는 인터넷프로토콜 텔레비전(IPTV)이 서비스를 시작할 전망이다.

정부는 방통융합을 원활히 완성시키고 발전의 토대를 마련하기 위해 법제를 정비할 예정이며 12개 정부기관이 참여하는 `방송통신융합추진위 지원단'도 곧 설치할 계획이다.

연합뉴스는 이 같은 방통융합 시대의 도래를 ①방통 융합의 개념과 의미 ②IPTV 출범과 미디어 전쟁 ③법제와 시장개방 ④명칭과 규제 ⑤해외 서비스 실태 등으로 5차례에 걸쳐 짚어본다.

일방향에서 양방향으로, 방송망 통해 통신 가능

미디어 시장의 혁명적 변화, 법.제도 정비 필요

(서울=연합뉴스) 김대영 편집위원 = 원래 통신이란 개인간 또는 개인 대 다수, 다수 대 다수, 다수 중 특정그룹 사이의 메시지 또는 데이터의 교환이다. 그에 비해 전통적 의미의 방송이란 방송국이 콘텐츠를 일정한 편성계획에 따라 불특정 다수에게 일방적으로 보내는 작업을 의미한다.

그렇다면 방송과 통신의 융합이란 무엇인가. 그것은 ▲방송이 일방향에서 양방향 작업으로 진화하고 ▲통신망을 통해 방송 콘텐츠가 소비자들에게 전달되고 ▲소비자들이 방송망을 통해 인터넷이나 전화 등의 통신도 하는 것을 의미한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예컨대, 이제 소비자들은 통신망인 인터넷이나 휴대전화 등으로 방송 콘텐츠를 보는 일이 어렵지 않다. 소비자들은 또 방송망의 일부인 케이블TV 회선을 통해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를 받을 수 있고 조만간 인터넷 화상전화도 할 수 있게 될 전망이다.

통신망을 이용한 방송 서비스로는 IPTV, 인터넷 방송, 휴대전화 방송 등을 들 수 있고, 방송망을 이용한 통신 서비스는 케이블TV의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와 인터넷 전화(VoIP) 등이 대표적이다. 이 같은 융합추세는 광대역통합망(BcN)의 등장과 3세대 모바일 기반 미디어 서비스의 활성화 등으로 가속화하고 있다.

미국의 통신업체들은 IPTV 서비스를 판매하면서 인터넷과 전화 서비스를 합해 케이블TV의 비슷한 서비스보다 더 싼 가격을 제안하고 있다. 영상, 음성, 인터넷을 동시에 제공하는 이른바 TPS(Triple Play Service)다. 여기에다 휴대전화까지 가세한 QPS(Quadraple Play Service)도 나올 태세다. 케이블TV 업체들도 새로운 경쟁상대의 출현에 가격 인하로 대응하고 있다.

이 같은 방통융합은 어느 시점에서 갑자기 나타난 현상이 아니다. 콘텐츠 전달 기술과 매체의 발달에 따라 방송망과 통신망의 구분이 점차 모호해지면서 나타나는 현상이라고 볼 수 있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전통적인 방송사는 ▲카메라와 마이크 등을 이용해 콘텐츠를 만들고 ▲프로그램을 편성한 뒤 ▲안테나를 통해 지상파로 각 가정에 동영상을 송출했다.

그러나 이후 통신 수단인 케이블과 위성을 이용한 텔레비전 서비스가 나타나면서 이 같은 방송의 개념이 바뀌기 시작했고, 이제는 인터넷 프로토콜을 이용한 텔레비전이 전통적 의미의 방송과 양방향 데이터 서비스, 인터넷 전화, 인터넷 등을 한꺼번에 제공하는 시대가 온 것이다.

IPTV는 전세계 인터넷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한 웹TV와 달리 ADSL 이상의 빠른 인터넷 회선이 깔린 지역에서만 시청 가능하고, 폐쇄적이고 독점적인 일련의 콘텐츠를 신분 확인이 가능한 가입자들에게만 돈을 받고 보내준다는 의미에서 폐쇄적이고 통제가능한 `담으로 둘러싸인 정원(Walled Gardens)'으로 불리기도 한다.

이것은 누구에게나 열려있는 인터넷이라는 정보의 바다 속의 한 섬과도 같다.

현대원(서강대.커뮤니케이션학) 교수는 최근 한 워크숍에서 주제발표를 통해 미디어가 아날로그 TV에서 쌍방향성 면에서는 케이블TV를 거쳐 IPTV로 진화하고 있으며, 이동성 면에서는 이동멀티미디어(DMB)와 휴대인터넷인 와이브로 등으로 발전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또 `디지털 융합 미디어 서비스'에 대해 "방송용 유무선 주파수 외에 전기통신 설비를 통해 이용자에 의해 직접 이용되는 것을 목적으로 송.수신되는 데이터, 통신 그리고 방송 등의 서비스가 융합된 형태로 제공되는 서비스"라고 정의했다.

그는 대표적 융합매체인 IPTV와 관련해 "매체 진화과정이 소비자의 요구와 자연스럽게 맞물리면서 나타나는 자연스러운 현상으로 봐야 한다"면서 "서비스 관점에서 대용량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유ㆍ무선 통합환경에서 원하는 시점에 원하는 플랫폼을 통해 보고자 하는 소비자의 요구는 거스를 수 없는 대세"라고 주장했다.

이같이 방송과 통신이 융합되는 서비스로는 조만간 태동할 IPTV나 데이터 방송, 현재 서비스 중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 웹캐스팅(Web Casting) 등이 있다. 이동중에도 초고속 인터넷이 가능한 휴대 인터넷인 와이브로(WiBro(Wireless Broadband))를 통해서도 방송이 가능하다.

최준균 한국정보통신대학 교수 겸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 표준화그룹장은 "IPTV는 새 서비스의 시작점이며 기술적으로는 방송과 통신의 융합이 완성된 시점"이라면서 "이때부터 본격적으로 (융합미디어의) 사업이 시작된다"고 말했다.

그는 "IPTV는 홈네트워크 비즈니스, 그 다음에는 유비쿼터스 비즈니스로 진화할 것"이라면서 이 같은 서비스가 원활히 발전하려면 인터넷 속도를 빨리하는 광섬유 등의 케이블 건설에 거액의 투자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IPTV가 되려면 KT만 하더라도 광케이블 등에 시설투자를 20배 정도를 더 해야 하며 그런 투자액은 특정 업체 혼자 감당하기는 어렵고 이 사업에서 이익을 보는 여러 업체들이 분담해야 한다"고 말했다.

세계에서 가장 활발하게 IPTV 서비스를 하고 있는 지역은 유럽이다.

유럽방송연맹(EBU)은 IPTV의 특징으로 ▲채널 수에 제한이 없다는 것과 ▲TV가 광범위한 서비스중 일부이기 때문에 방송사의 중요성이 감소한다는 것 등을 꼽고 있다. IPTV는 콘텐츠 제공업자들에게 큰 기회를 주고 있으며 지상파 방송사들은 이제 콘텐츠 전달수단에 얽매이지 않고 점차 자신을 `콘텐츠 제공업자'로 인식하게 됐다고 EBU는 분석했다.

미디어 시장에 가히 혁명적인 변화가 도래한 것이다.

EBU는 IPTV 시대의 도래와 관련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린다. 즉 ▲광대역 TV(IPTV)는 일부 유럽국가들에서 중요한 (콘텐츠) 전달 시스템이 될 것이며 ▲(전통적 의미의) 방송사들은 광대역 TV를 수용해야 하지만 전달 정보를 선별하는 이른바 게이트키퍼(gatekeeper)들 즉, 광대역 TV 운영자들에게 많은 권한을 주는 데는 주의해야 하고 ▲방송의 미래에 대한 논의는 케이블, 위성, 인터넷같은 전달 시스템의 영향 보다는 콘텐츠 창조에 더 집중돼야 한다는 것이다.

그런데 이 같은 미디어의 혁명적인 변화 즉, 방통융합 현상은 필연적으로 법제와 규제 정비의 필요성을 유발한다. 미디어가 진화하면서 법제와 규제도 함께 진화해야 하는 것이다.

그 이유는 방송이나 통신의 정의가 바뀌고 방통융합이라는 새로운 현상이 나타나는 상황에서 IPTV 같은 새로운 매체들을 기존의 법이나 규제의 틀로 수용하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국내 일각에서는 정부가 IPTV 등 방통 융합 매체가 태동할 발판 즉, 법제와 규제 기구 등을 신속히 마련하지 못해 관련 업계의 경쟁력이나 기술이 국제적으로 뒤지고 있다는 비판도 나오고 있다.

한편 방통 융합은 여러 면에서 현대 커뮤니케이션을 상당히 변화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김재영(충남대 언론정보학과) 교수는 `방송통신 융합 시대의 정책원리, 그리고 규제와 지원체제'라는 보고서에서 방송 통신의 융합이 ▲송수신자간의 양방향적 교류로 커뮤니케이션의 개방화, 민주화를 유발하며 ▲수용자가 원하는 시간과 장소를 선택해 정보에 접근하는 `유비쿼터스(ubiquitous)적 커뮤니케이션으로의 전환 ▲다채널화 및 전문화로 인한 커뮤니케이션의 탈대중화 현상 등을 유발한다고 주장했다.

by 100명 2006. 7. 10. 08:19
초고속인터넷 시장 '이상기류'

손재권 전자신문 기자 | 2006-07-03

초고속인터넷 시장이 이상하다. 통상적인 비수기인 지난달에 이어 6월에도 각 사업자가 최소 7000명에서 최대 7만명 이상의 가입자 순증을 기록했기 때문이다. 이같은 순증이 계속될 경우 국내 초고속인터넷 서비스 시장은 당초 시장 예측이 모두 빗나간 7∼8%의 성장이 가능할 전망이다. 그러나 최근의 가입자 순증은 일부 사업자들의 사내 또는 계열사 유치지원(할당판매) 활동 때문인 것으로 파악돼 주목된다.

◇시장 포화 맞아?=지난 5월 KT·하나로텔레콤·파워콤·케이블TV(SO·종합유선방송사업자) 등 초고속인터넷 서비스 사업자들의 순증 가입자는 11만7000명으로 5월 집계로는 지난 2000∼2002년 이후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6월에도 이같은 순증세는 꺾이지 않았다. 현재의 추세라면 올해 전체 초고속인터넷 가입자는 1300만명을 훌쩍 넘어 전문기관이 예측한 4%대의 성장률을 크게 상회한다.

이 같은 증가는 특히 5, 6월이 비수기라는 점에서 더욱 어리둥절하게 한다. 초고속인터넷 서비스의 특성상 가입자 순증은 신학기이자 이사철과 결혼시즌이 겹치는 3, 4월과 9, 10월에 가장 많다. 실제 지난해 5월은 불과 3만3982명, 6월엔 5만7625명의 순증만 기록했다. 따라서 올해 가입자 이상 증가는 분명 ‘시장 왜곡’이 숨어져 있다는 것이 업계의 일반적인 분석이다.

◇유치지원(할당판매)이 주범으로 지목=업계는 시장 왜곡 현상의 배경에 사업자들의 사내 유치지원 활동(할당판매)이 있을 것으로 파악했다. A사의 경우 최근 가입자 확대를 위해 소속 그룹 가운데 통신 계열사에는 직원당 30회선, 비통신 계열사에는 직원당 10회선씩에 대한 성과급을 지급하는 등 판매를 독려한 것으로 알려졌다. B사도 직원당 5명 이상의 가입자를 유치할 경우 상금을 지원하는 사내 프로모션을 진행한 바 있다.

문제는 할당판매를 통해 가입을 권유받은 가입자들이 기존 사업자에 대한 가입을 해지하지 않고 ‘일시 이용정지’한 채 권유받은 사업자에 신규 가입하는 현상이 벌어지고 있다는 것. 이는 유치 지원에 대한 성과급 조건이 보통 ‘3개월’로 단기이기 때문에 가능하다. 3개월만 일시 정지한 다음 다시 기존 서비스를 이용하게 되면 일부 가입자는 복수로 가입한 셈이 된다. 때문에 각 사 모두 해지 방어도 성공하고 신규 가입자도 유치, 가입자는 증가세를 계속 유지하게 된다는 것이다.

가입자 모집 경험이 있는 한 통신사 직원은 “초고속인터넷은 가격차가 별로 크지 않아 이동통신 번호이동에 비해 가입 권유가 쉽지 않다”며 “일반 직원들이 어떻게 하면 유치 성과를 내고 성과급을 받을 수 있을지에 대해 영업사원보다 더 많이 알고 있을 정도로 유치지원 판매가 심각하다”고 말했다.
by 100명 2006. 7. 3. 17:30
정통부-방송위, 디지털방송 추진기구 합의
[전자신문 2006-07-03 10:32]
 정보통신부와 방송위원회가 마침내 디지털방송 활성화 추진을 위해 ‘범정부적 추진기구’를 설립하기로 합의했다. 또 ‘디지털방송 전환 및 활성화에 대한 특별법(가칭)’을 함께 마련해 9월 정기국회에 상정한다는 공동 목표를 세웠다.

 이번 합의는 특히 두 기관이 그동안 별도로 ‘디지털방송활성화협의회’(정통부), ‘제5기 디지털방송추진위원회’(방송위)를 구성·운영해 왔다는 점에서 의미있는 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디지털방송 활성화에 대한 시각이 서로 달랐던 정통부와 방송위가 비로소 디지털방송 전환의 시급성과 디지털방송 활성화의 중요성에 인식을 같이했다는 얘기다.

 이에 따라 정통부와 방송위는 2일 ‘범정부적 추진기구’의 사무처 격인 ‘디지털방송추진준비단’을 구성하고 3일 공동 운영에 나서기로 했다.

 ◇‘대립’에서 ‘협력’으로=디지털방송추진준비단은 앞으로 구성될 ‘범정부적 추진기구’의 손과 발이 될 조직이다.

 추진준비단에는 김준상 정통부 방송위성팀장과 박준선 방송위 기술정책부장이 공동 간사를 맡고, 이정구 정통부 전파방송산업팀장, 양한열 방송위 지상파방송부장 등 두 기관 5명씩 총 10명으로 운영될 예정이다.

 추진준비단은 구성과 동시에 △디지털방송 활성화를 위해 고위급 인사가 참여하는 범정부적 추진기구 구성·운영 방안 △범정부적 추진기구에서 논의할 추진 과제 마련 △디지털방송 활성화를 위한 공청회·토론회 개최 △국내외 자료 수집 등의 업무를 맡게 된다.

 그동안 정통부와 방송위가 각자 ‘디지털 전환 정책 주도권’을 확보키 위해 대립했던 데에서 한발 나아간 셈이다.

 앞으로 범정부적 추진기구가 발족하면 여기에선 디지털 전환을 위한 특별법을 마련할 예정이다. 범정부적 추진기구에선 아날로그방송 종료 일정 확정, 디지털TV 보급 방안 등을 포함해 실제 디지털 전환에 필요한 모든 정책 방안이 집중 논의된다. 두 기관이 함께 조율하는만큼 9월 국회에 특별법 상정 시 통과 가능성도 한층 높다.

 ◇갈 길은 멀다=정통부와 방송위는 이번 합의로 ‘두 기관 간 갈등이 디지털 전환을 가로막는다’는 비판에서 벗어나게 됐다. 그러나 이번 추진준비단 공동 구성·운영이 실질적으로 디지털 전환에 보탬이 되기 위해서 아직도 갈 길이 멀다.

 두 기관 간 갈등의 골을 잘 메울 수 있을지가 관건이다. 정통부 관계자는 “추진준비단의 공동 사무실은 방송위가 있는 목동 방송회관과 광화문에 있는 정통부 건물 등 2군데에 둘 계획”이라고 말했다. 아직 밀고 당기는 소모적 신경전은 지속되고 있는 셈이다.

 3기 방송위원 선임도 변수다. 9월 정기국회에 맞춰 특별법을 제출하려면 범정부적 추진기구는 이달 발족해도 시간이 촉박한 상황이다. 그러나 방송위의 새 수장인 3기 방송위가 선임된다고 하더라도, 언론노조 등의 반발이 예상돼 정상적으로 활동을 시작할 수 있을지 미지수다. 3기 방송위원장이 빠진 추진기구는 구성키 어렵다.

 김준선 방송위 부장은 “시간이 없기 때문에 학계·산업계 전문가와 정통부·방송위 국장 급으로 구성하는 소위원회를 먼저 꾸리는 방안도 검토중”이라고 설명했다.

by 100명 2006. 7. 3. 13:08
<와이파이.와이맥스.와이브로의 차이점>
[연합뉴스 2006-07-03 05:30]
(서울=연합뉴스) 류현성 기자 = KT와 SK텔레콤이 세계 최초로 와이브로(휴대인터넷) 상용서비스를 본격 시작하면서 기존의 무선랜 기술인 와이파이(WiFi), 와이맥스(Wimax) 등과의 차이나 유사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한국이 독자적으로 개발한 광대역 무선기술인 와이브로는 해외에서는 모바일 와이맥스로 소개되고 있지만 국내에서는 거의 유사한 이름으로 불리고 있는 무선기술들의 특성과 장단점을 알아본다.

◇와이파이(Wi-Fi) = 무선랜 기술은 1997년 `802.11'이라고 불리는 무선 랜 규격의 원형이 등장하면서 무선기술의 발달이 본격화되기 시작했다. 세계적으로는 802.11계열 기술이 와이파이로 통용된다.

와이파이는 `Wireless Fidelity'의 약어로 무선접속장치(AP)가 설치된 곳을 중심으로 일정 거리 이내에서 PDA나 노트북 컴퓨터를 통해 초고속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다. 무선주파수를 이용하므로 전화선이나 전용선이 필요없으나 PDA나 노트북 컴퓨터에는 무선랜카드가 장착돼 있어야 한다.

전송속도가 4∼11Mbps로 대용량의 멀티미디어 정보도 주고받을 수 있으며 장시간 사용해도 사용료가 저렴하고 이동성과 보안성까지 갖추고 있다.

KT의 네스팟이나 스페인에서 시작된 `폰(PONE)'서비스 등이 와이파이 기술을 기초로 하고 있으며 미국의 샌프란시스코를 비롯, 주요 도시들은 시 지역 전체에 와이파이존을 구축하고 있다.

앞으로 휴대전화에 와이파이 기술을 채택, 인터넷전화(VoIP)와 이동통신이 결합되면 엄청난 파급효과를 몰고 올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와이맥스(Wimax) = 와이파이는 최대 전송속도가 40Mbps까지 가능하지만 기지국당 커버리지가 30-200m정도로 매우 협소하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넓은 지역에서도 무선 브로드밴드 네트워크를 구축하기 위해 좀더 넓은 커버리지를 가진 새로운 무선통신 기술이 필요하게 됐으며 그래서 탄생한 것이 802.16계열이다.

IEEE 802.16 그룹은 2000년에 활동하기 시작해 2002년 4월 10~66GHz 대역에서 운용되는 802.16 버전의 표준을 최초로 발표했고 이후 802.16 버전을 보완한 802.16a 규격도 선보였다.

고정형 와이맥스라고 불리는 802.16d는 개활지에서는 45km까지, 도심지역에서도 1~2Km까지 커버리지를 확대할 수 있다. 고정형 와이맥스의 주파수 대역은 2~11GHz를 활용할 수 있으며 섹터당 20MHz의 채널을 바탕으로 전송속도는 최대 75Mbps까지 구현할 수 있다.

인텔 등을 중심으로 상용화를 위한 막바지 개발이 진행중인 와이맥스는 미국의 시장 조사기관인 프로스트&설리반 조사결과 2010년까지 전세계적으로 54억 달러 규모의 시장을 형성하고 올 해를 기점으로 연간 139%의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와이브로(Wibro) = 와이브로는 와이어리스 브로드밴드 인터넷(Wireless Broadband Internet)의 줄임말로 무선광대역인터넷, 무선초고속인터넷, 휴대인터넷 등으로 풀이된다.

휴대전화처럼 언제 어디서나 이동하면서 초고속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로 휴대전화와 무선랜의 중간 영역에 위치하는 와이브로는 한국이 국제 표준화를 주도하고 있는 3.5세대 이동통신 서비스이다.

한국이 와이브로를 당초 독자 표준으로 추진하면서 한미간 통상마찰이 발생해 인텔, BT, 스프린트, 시스코, 알카텔 등이 참여하고 있는 와이맥스(Wimax) 표준을 받아들이는 대신 이동성을 강화, 2005년 12월 IEEE로부터 모바일 와이맥스(802.16e) 표준을 승인받았다.

모바일와이맥스는 노트북, PDA, 이동전화 등 이동형 단말기를 통해 접속이 가능하다. 와이브로는 매우 전파가 좋은 조건에서 최대 전송속도는 하향링크 19.2Mbps, 상향링크 4.95Mbps를 나타낸다.

삼성전자를 중심으로 해외시장 개척에 적극 나서고 있는 와이브로는 텔레콤 이탈리아 등 외국에서 테스트를 진행중이며 세계화가 제대로 될 경우 한국의 새로운 먹거리를 창출해낼 수 있는 기술로 평가받고 있다.

by 100명 2006. 7. 3. 08:51
<지상파-케이블, 디지털방송 놓고 격돌>
[연합뉴스 2006-06-21 20:04]
치열한 주도권 다툼 속에 디지털 정책은 표류

(서울=연합뉴스) 김준억 기자 = 지상파방송과 케이블TV가 디지털방송시장에서 치열한 일전을 벌일 태세다.

지상파방송사들은 최근 멀티모드서비스(MMS) 시험방송를 통해 다채널방송을 시도하고 있고 '무료디지털TV활성화추진위원회(이하 무디추)'를 구성해 독자적 플랫폼 구축에도 주력하고 있다.

이에 맞서 케이블TV는 21일 '디지털 활성화 방안'을 발표하면서 HD(고화질) 중심의 디지털 전환을 통해 가입가구를 현재 1천400만에서 2010년까지 1천620만으로 늘리겠다는 야심찬 계획을 내놨다.

지상파와 케이블이 격돌할 디지털방송시장에는 가입가구 190만을 확보한 위성방송 스카이라이프가 먼저 들어와 있으며 통신시장의 시장지배적 사업자인 KT가 추진하는 IPTV 등도 가세할 예정이어서 경쟁구도가 복잡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케이블TV "디지털시장 장악하겠다"

케이블TV방송국협의회(이하 SO협의회)는 21일 기자회견을 열고 2010년까지 아날로그방송을 끝내고 이후 디지털방송만 내보내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특히 현재 디지털케이블TV는 SD(표준화질)로 방송하고 있지만 기존 정책을 전면적으로 바꿔 앞으로 모든 채널을 HD로 송출키로 했다. 또 2011년 이후에도 아날로그TV를 보유하고 있는 가입자에 대해서는 저가형(7만원선) 셋톱박스를 무료로 보급할 계획이다.

이는 HD를 중심으로 프리미엄시장을 선점하는 동시에 보급형 상품으로 가입자 이탈을 막겠다는 '두 마리 토끼를 쫓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SO업계가 공동으로 이러한 마스터플랜을 제시한 것은 처음 있는 일로 이는 그만큼 SO업계가 디지털 지상파TV와 IPTV 등에 대한 위기의식이 크다는 것을 방증한다.

다만 SO협의회는 2010년까지 HD채널을 PPV(Pay Per View, 유료채널)를 포함해 150개로 늘리겠다고 밝혔지만 이를 채워줄 HD 콘텐츠가 있는지, 또 방송채널사용사업자(PP)가 HD 제작 능력이 되는지 등에 대해 의문도 제기됐다.

이에 대해 오광성 SO협의회장은 "케이블TV방송협회 차원에서 PP에 HD 시설 투자 등을 지원할 펀드를 조성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방송계에서는 HD 중심의 디지털 전환에 따라 중소 PP의 경쟁력은 차츰 약해지고 주로 영화나 드라마를 방송하는 PPV와 VOD(주문형비디오)가 SO의 새로운 수익원으로 성장할 것이란 예상도 나왔다.

이밖에 내년부터 아날로그TV를 보유한 가입자에게 셋톱박스를 공짜로 주면서 플랫폼 지배력을 유지할 계획이지만 전망이 지나치게 장밋빛이며 방송위원회의 정책과 맥을 달리한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SO협의회는 현재 가입자(1천420만)가 모두 디지털케이블로 전환할 뿐 아니라 2010년에는 1천620만으로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지난해 2월부터 상용화를 시작한 디지털 케이블TV가 현재 불과 10만을 조금 넘는 상황을 생각하면 지나치게 낙관적이다. 게다가 디지털 지상파TV의 다채널과 공시청망 확보 추진, IPTV 등장 등을 고려하면 '계획'에 불과하다는 평가도 있다.

보급형 가입자에게 셋톱박스를 공짜로 주지만 월 이용요금을 1만원으로 책정, 최근 케이블TV 이용요금 인상에 대한 가입자의 저항을 감안할 때 구매력이 있는지도 의문이다.

공교롭게도 이날 방송위는 SO에 대한 민원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하면서 SO에 지상파 난시청 해소 목적인 월 4천원 이하의 의무형 상품을 적극적으로 판매할 것을 요구했다.

◇지상파, 다채널ㆍ수신환경 개선 통해 유료방송과 경쟁

지상파방송사들은 최근 TV 1개 채널대역(6㎒)에서 HD채널 외에 SD채널과 데이터, 오디오 등 여러 채널을 방송하는 MMS 시험방송을 통해 다채널화를 추진하면서 유료다채널 방송사업자와의 경쟁 국면을 조성했다.

한국방송기술인연합회는 21일부터 MMS 시험방송에 대한 화질 저하 등 부정적인 여론에 대응하기 위해 'DTV 전환 특보'를 발행하면서 지상파방송의 MMS 추진 정당성을 적극 알리기에 나섰다.

연합회는 특보에서 "이번 MMS 시험방송이 단순한 기술적 실험으로 인식되지 않기를 바란다"며 "또 방송위와 정보통신부는 시청자의 선택권 확대와 디지털 전환 촉진 및 산업발전을 위한 MMS 서비스가 계속 이어질 수 있도록 전력을 다해주길 촉구한다"고 밝혔다.

그러나 현행 방송법에서 방송국은 1개 채널을 운용하는 것으로 지상파의 MMS가 도입되기 위해서는 방송법령의 정비가 필요하며 특히 MMS와 관련해 사회적 합의가 이뤄지지도 않아 지상파방송사가 기득권을 주장할 수도 없는 상황이다.

방송위 사무처 관계자는 "지상파방송이 디지털 전환으로 MMS를 한다면 멀티플렉스 플랫폼 사업자 지위로 바뀌게 되고 임대하는 채널을 사용하는 사업자의 소유제한 문제와 채널 편성정책 문제, 매체간 균형발전 문제 등 논의해야 할 쟁점이 매우 많다"고 말했다.

지상파방송사는 또 아파트 등 공동주택에서 케이블TV에 의존하지 않고 직접 디지털 지상파TV를 수신할 수 있도록 수신환경 개선에도 주력하고 있다.

지상파방송사로 구성된 한국방송협회는 산하에 무디추를 구성하고 공동주택의 공시청망 확보에 나섰다. 무디추는 21일 방송회관에서 '무료 디지털TV 시청권 어떻게 확보할 것인가'란 주제의 토론회를 주관하고 SO들이 공시청망을 훼손했다고 주장했다.

발제를 맡은 김용환 KBS 기술전략기획팀 수석팀원은 "공시청 시설 설치 여부를 포함한 수신환경 실태 조사와 더불어 공시청 시설 유지 관리와 관련한 규정 개정, 설비 개선을 위한 예산 지원 등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반면 발제자로 나선 김광호 서울산업대 교수는 "지상파방송은 공시청망 복구에 따른 향후 유지 보수 방안을 어떻게 마련할 것인지에 대해 케이블망의 유지ㆍ보수에 경험을 가진 SO와 협조해 갈등을 해소하고 공시청망 유지에 대한 대처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라며 지상파와 케이블의 협력의 필요성을 제안했다.

◇디지털방송 정책은 표류

이처럼 방송사업자들이 각자의 입장에서 디지털방송 정책에 대해 목소리를 높이고 있지만 방송위와 정보통신부 등 관련 기관의 정책은 표류하고 있다.

방송위는 5기 디지털방송추진위원회를 출범조차 시키지 못하고 있고 정통부도 독자적으로 범정부 차원의 디지털방송 활성화위원회를 발족시키겠다고 발표한 지 4개월이 지났으나 가시적인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

방송위 산하 1기 디추위는 2010년에 지상파 아날로그방송을 종료한다는 계획을 발표했으나 후속 조치가 전혀 이뤄지지 않고 있으며, 디지털방송 전환 현황 등을 점검하고 선진국 사례와 같이 아날로그 정파와 디지털 전환 지원 등을 담은 특별법의 제정 추진도 지연되고 있다.

아울러 방송통신 융합에 대한 규제와 기구개편, 디지털방송 정책 등을 논의할 방송통신융합추진위 역시 당초 계획보다 2개월 늦게 출범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by 100명 2006. 6. 22. 06:53
[KCTA 2006]“통·방 융합이 아닌 ‘커뮤니케이션’ 융합이 필요한 때”

[디지털데일리 2006-06-13 14:35]


‘KCTA 2006’서 업계·기관·학계 관계자 통신·방송 융합 열띤 토론

12일 ‘KCTA 2006’ 행사 첫 날 한라홀에서 열린 토론회에서는 이상식 계명대 교수 사회로 ‘미국 방송 및 통신 규제정책의 전개과정과 미디어 컨버전스’를 주제로 통신·방송 융합에 대한 열린 토론이 전개됐다.

이 날 사회를 맡은 이상식 교수는 토론에 앞서 “정보통신 기술 발전은 놀라울 정도로 발달하고 있으나 정책이나 규제 분야의 발전은 미흡한 편”이라며 “이번 토론이 향후 통신·방송 정책 및 규제 분야의 발전에 단초가 되기를 바란다”고 언급했다.

이 날 토론회에는 정순경 방송위원회 방송통신구조개편기획단장, 박노익 정보통신부 융합전략팀장, 임영철 바른법률 변호사, 김대호 인하대 교수, 윤석암 CJ미디어 상무, 이덕선 큐릭스 대표, 심주교 KT 상무, 김택환 중앙일보 기획위원 등 총 8명의 패널이 참석했다.

◆ 미국의 IP-TV 전국 사업권 인정 살펴봐야=이날 토론의 발제를 맡은 한광접 연세대 교수는 최근 미국 통신·방송 시장에서의 규제정책의 전개과정을 일례로, 향후 국내시장에서의 통신·방송 융합의 정책 및 규제의 방향을 전망했다.

한 교수는 “최근 미디어가 컨버전스 시대에 접어들면서 미디어의 의미가 기술의 지속적 변화이기도 하고 하나의 시스템으로도 표현할 수 있어 명확하게 정의하기 어렵게 됐다”며 “다만, 미디어의 컨버전스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미래를 뜻하는 것으로 보다 많은 밴드위스 접속을 하는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최근 미 통신시장의 동향을 소개하며 “최근 FiOS TV라는 이름으로 IP-TV 서비스를 선보인 버라이존이 지난달까지 7개주 50개 시장에서 케이블TV와 똑같은 서비스를 IP-TV로 제공하고 있다”며 “여기에 버라이존이 향후 3년간 40억달러 투자 계획을 밝히면서 케이블TV 사업자들이 시장에서 위협을 느끼고 있다”고 전했다.

또, 한 교수는 SBC-AT&T-BellSouth가 올해 말까지 15~20개 시장에 IP-TV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을 갖고 있으며, 2008년까지 41개 시장 진출 계획을 갖고 있다고 소개했다.

반면, 케이블TV 업계에서는 지난해 11월 스프린트·넥스텔과 케이블TV사 간에 휴대전화 사업에 관한 협력 조인식을 맺은 바 있으며, 올 6월에는 디즈니 모바일이 통신서비스를 선보이며 케이블TV 사업자의 통신시장 진출이 러시를 이루고 있다고 전했다.

특히, 한 교수는 최근 미국 통신·방송 시장에서 IP-TV에 대한 전국 독점권을 허용하는 것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며, 이를 통해 신고제, 전국 사업자로 거듭나려는 SO의 기업결합 이슈, 최근 케이블TV업계에서 디지털방송 전환으로 방송위에 요금 민원이 폭증하는 여러 문제에 대한 교훈을 얻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 통신·방송 융합시장 ‘비대칭적 규제’ 없어져야=발제에 이어 첫 번째 토론자로 나선 심주교 KT 상무는 통신·방송 융합시장에서 방송사업자는 통신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데 반해, 통신사업자는 방송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다며 이러한 비대칭적 규제가 빨리 해소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특히, 심 상무는 2년 전부터 케이블업계가 본격적으로 초고속 인터넷 시장점유율을 늘려 현재는 10%를 돌파했다며, 인터넷전화(VoIP) 서비스가 제공되는 내년부터는 급격한 성장이 예상되며 이 때문에 하루 빨리 통신사업자의 방송서비스 진입이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심 상무는 KT가 제공하는 초고속 인터넷 요금은 2만 8000원 이하로는 서비스 제공이 어려운데, 케이블업계에서는 이것에 약 50% 수준의 요금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며, 연내에 케이블업계의 TPS 서비스 가능해지면 이 차이가 더욱 커진다고 설명했다.

심주교 상무는 IP-TV 서비스를 계기로 통신사업자와 케이블업계가 통신·방송 법·제도 완화를 추진해나가는 동반자 관계가 되기를 원한다며, 개별 산업의 성장이 한계에 이른 지금 콘텐츠 육성에 대해 함께 고민하고 컨버전스 산업을 국가 성장 동력으로 이끌자고 당부했다.

◆ “SO 권역 제한 풀어주면 IP-TV 허용 생각 있다”=이어 케이블업계를 대표해 토론에 나선 이덕선 큐릭스 사장은 KT와 KBS를 ‘두 명의 나쁜 거인’에 비유하며 이들 사업자를 강하게 성토했다.

이덕선 사장은 최근 케이블업계의 요금정상화 사안을 놓고 언론과 미디어에서 SO를 ‘공공의 적’으로 만들고 있다며, 우선 이에 대한 사실 관계를 분명히 할 필요가 있다고 말문을 열었다.

이 사장은 “단독주택 시장에서 케이블TV 요금은 평균 5000~8000원, 아파트 단체 가입은 평균 1000원 정도”라며 “이를 디지털방송으로 전환하면서 수신료를 인상하거나 아파트 단체 가입자 요금을 정상화시키는 것인데 이를 매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미국 케이블TV의 평균 요금은 3만 5000원, 한국의 10년 전 월 신문요금이 3500원이었고 지금은 1만 3000원에 달한다”며 “케이블업계는 현재 정상적인 요금의 현실화가 생사를 위해선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 사장은 “요금 정상화를 통해 살아보려고 케이블업계가 발버둥 치는데, KBS로 대변되는 지상파방송과 KT로 대표되는 통신사업자가 SO업체들만을 압박하고 있다”며 “KBS는 연간 5000억원에 이르는 수신료를 현재까지 1조 5000억원만 난시청 해소에 사용했으며 나머지는 자체 운영비로, KT는 전주이용료를 5~10배나 올려달라고 한다”고 성토했다.

그는 마지막으로 “119개 케이블업계 발전에 저해가 되고 있는 기업결합의 권역 제한 철폐가 이뤄지면 통신사업자의 IP-TV 사업을 허용할 의향이 있다”고 말을 끝맺었다.

◆ 통·방 융합시장서 콘텐츠 제공할 수 있는 틀 만들라=이어 콘텐츠업계를 대표에 토론에 나선 윤석암 CJ미디어 상무는 콘텐츠 사업자 입장에서 발표를 하겠다며 운을 뗐다.

윤석암 상무는 “통신·방송 융합시장에서 통신사업자와 방송사업자는 각기 차별화된 콘텐츠를 콘텐츠 사업자에 요구하지만 이는 새 미디어가 출현할 때마다 나왔던 이슈”라며 “여기에는 사업자 간 독점성에 대한 요구가 포함돼 있어 콘텐츠 제공에 대한 완벽한 룰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는 통신사업자, 방송사업자를 막론하고 그 동안 네트워크, 플랫폼에서의 경쟁이 콘텐츠 경쟁으로 전이되면서 나타나는 현상이란 것이 그의 설명이다.

그는 또, “통신·방송 융합시장에서는 콘텐츠 수용자 측면에서의 이해가 필요하다”며 “수용자의 이동형·쌍방향성·실시간 콘텐츠에 대한 욕구와 포맷에 대한 문제점 해결도 사업자가 고려해야 할 사항”이라고 덧붙였다.

이어 나온 김택환 중앙일보 기획위원은 통신·방송 융합을 논의하기에 앞서 ‘전 세계 미디어가 어디로 가는가’에 대한 진지한 논의가 정통부·방송위·통신사업자·방송사업자 간에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김택환 기획위원은 “케이블업계가 콘텐츠 차별화를 위한 과감한 투자로 통신사업자에게 ‘다윗’이 될 수 있다”며 “현재 미디어 추세가 인터넷포털에서 TV포털로 옮겨가고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30대 미만의 디지털 세대를 잡기 위한 다양한 투자와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콘텐츠 저장방식, 비즈니스 모델 등 뉴미디어 사업에 대한 전략 창출이 더욱 중요한 때”라고 전했다.

◆ “융합시대에 맞는 기구 개편 필요하다”=통신과 방송 각 기관을 대표해 토론에 참석한 박노익 정통부 융합전략팀장과 정순경 방송위 방송통신구조개편기획단장은 통신·방송 융합에 따른 단일기구의 필요성에 대해 공감대를 형성했으나, 그 방법에 있어서는 서로 다른 주장을 펼쳤다.

박노익 팀장은 “최근 전 세계적으로 미국·일본·영국의 규제기관이 통합돼 있는 데 반해 국내는 이것이 나눠져 있다”며 “융합시대에 맞는 기구개편 논의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고 말했다.

통신·방송 융합서비스에 대한 일관된 규제를 할 수 있는 규제기관이 필요하다는 것. 이에 반해 정순경 단장은 단일기구의 필요성은 공감하면서도 일본·영국과 같은 형태의 단일기구 마련은 적절치 않다는 입장을 나타냈다.

정순경 단장은 “영국과 일본은 정치적으로 내각제를 채택하는 나라로 우리와 정치문화가 틀리다”며 “정책과 규제 기능을 분리해 단일 기구를 만든 영국과 일본과 달리 한국은 말 그대로 하나의 단일된 통합위원회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 통방융합, 정책 규제의 병목을 풀어줘야 할 시점=마지막 토론자로 나선 김대호 인하대 교수는 현재의 통신과 방송 시장이 통신사업자, 방송사업자, 케이블업계 등 ‘3 빅 자이언트’가 장악하고 있다며, 통신·방송 융합시장에서는 보다 다양한 산업·정책적 패러다임의 변화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김대호 교수는 “통신·방송 융합시장에서는 통신이나 방송으로 사업자를 구분할 수 없는 시장”이라며 “이 때문에 정책 규제 부분에서 병목을 풀어줘야 할 시점에 와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프레임워크의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 다채널 미디어인 통신·방송 융합시장에서는 권역별 제한보다 시장점유율로 규제 방향이 바뀌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마지막으로 김 교수는 “우리나라를 IT강국이라고 얘기하면서 아직 통방융합에 대한 규제·정책이 없다는 것은 반성해야 할 점”이라며 “케이블 업계의 발전을 위해서 규제의 병목을 풀기위해서도 패러다임에 맞는 규제의 틀이 마련돼야하고, 선순환 구조를 만들기 위해서도 통신·방송 융합서비스의 활성화가 필요하다”고 거듭 강조했다.

한편, 이 날 유일하게 법률가로 참석한 임영철 바른 법률 변호사는 최근 대구 지역에서의 케이블TV업체 간 기업 결합을 놓고 공정위와 방송위가 대립한다는 것은 맞지 않는 일이라며, 이는 각 기관의 전문성에 따라 해당 분야를 심사하는 문제인 만큼 그 차원이 다르다는 입장을 나타냈다.

이 날 사회를 맡은 이상식 교수는 “이번 토론이 향후 통신·방송 정책 및 규제 분야의 발전에 단초가 되기를 바란다”고 거듭 강조하고 “현재는 통신방송 융합보다는 커뮤니케이션 융합에 대한 진지한 자세가 필요한 때”라며 토론회를 마쳤다.
by 100명 2006. 6. 13. 16:49
데이터방송, 수익창출 시대 본격 도래
[디지털데일리 2006-06-13 15:07]
[KCTA 2006] 아카넷TV·한경TV·데이콤 등 T-커머스 공개, 차세대VOD도 눈길

데이터방송의 본격적인 수익 창출 모델이 12일부터 제주에서 열리고 있는 ‘KCTA 2006’ 행사에서 처음으로 선을 보여 업계의 비상한 관심을 끌고 있다.

데이터방송 전문기업인 아카넷TV와 데이콤, 한국경제TV 3사는 이번 KCTA 2006 행사에서 공동으로 ‘금융포털 종합관’을 마련해 관람객들의 발길을 사로잡았다. 3사가 선보인 서비스는 데이터방송의 지향점 중 하나로 인식되고 있는 T-커머스 서비스로 2년 여 간 공들여 준비한 서비스들이 처음으로 공개됐다.

이번 전시관에서 데이콤은 기존에 확보한 금융 관련 인프라와 금융 솔루션을 기반으로 한 개방형 금융거래 서비스를 선보였다. 모든 은행과 연동될 수 있는 TV뱅킹 서비스, 향후 어떠한 T-커머스 서비스와도 연동할 수 있는 TV 페이먼트 솔루션 그리고 TV에서의 각종 금융거래를 가능케 하는 TV보안·인증 솔루션이 그것이다.

데이콤의 TV 금융거래 서비스는 개방형으로 설계 및 구현돼 모든 디지털 방송 플랫폼은 물론, 은행·카드사의 제한 없이 모든 은행 및 카드사와 연동되는 ‘개방형 모델’이라는 점에서 더욱 눈길을 끌고 있다.

한국경제TV는 데이터방송을 통해 실시간 주식검색과 주식거래 서비스, 자사의 PP채널과 연동되는 연동형 데이터방송 서비스를 소개했다. 주식정보의 핵심인 실시간 정보전송을 TV를 통해 구현함으로써 기존 기술의 한계라고 여겨졌던 TV를 통한 실시간 주식정보 전달의 제한을 극복했다.

3사는 이미 지난 2005년부터 TV 금융포털 구현을 위한 MOU를 맺고 공동으로 사업을 진행해왔다. 이번에 3사가 공동으로 발표한 금융포털 솔루션 서비스는 본격적인 T-커머스의 근간이자 핵심 서비스로 본격적인 데이터방송 수이창출에 발맞춰 각종 부가 수익을 창출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업계에서는 지난 2월과 3월에 걸쳐 방송위원회가 용역제공형 및 상품판매형 데이터방송 채널 사용 사업자를 승인함에 따라 디지털방송의 꽃이라 불리우는 T-커머스 관련 업체들의 행보가 빨라질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한편, 아카넷TV는 T-커머스와 함께 데이터방송의 또 다른 블루오션이 될 것으로 보이는 VOD 분야에서도 탠드버그의 국내 공급사인 미래타, 브로드버스의 국내 공급사 SP코리아와 공동으로 차세대 온디맨드 비디오 서비스를 선보였다.

아카넷의 차세대 VOD 서비스는 기존 서버의 성능을 크게 개선한 SP코리아의 VOD 서버, 이기종 플랫폼 및 서버와의 연동을 보장하는 미래타의 N2BB 솔루션을 기반으로 자사의 애플리케이션을 결합한 것이다.

아카넷TV는 단순한 VOD 송출과 과금을 넘어 자유로운 편성 및 각종 사업모델을 연동시킴으로써 시청자가 ‘VOD 포털’을 통해 VOD 구매는 물론, 영화를 보면서 간식을 주문하는 등의 다양한 데이터방송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했다. 또한 ‘시청자 마이페이지’를 통해 마일리지를 적립할 수 있으며, 이를 기존 또는 신규 T-커머스 서비스와도 연동할 수 있는 것이 장점이다.

데이터방송 기술과 서비스의 집합체로 불리는 금융포털 및 차세대 VOD 서비스는 이번 KCTA 전시회에서 실제 서비스에 곧바로 적용할 수 있는 모델들이 소개됨으로써 향후 데이터방송 서비스의 주요 수익 창출원으로 보다 각광을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by 100명 2006. 6. 13. 16:42
[KCTA 2006]“지상파 다채널방송서비스, IP-TV 보다 심각한 문제”
[디지털데일리 2006-06-13 15:10]
오광성 SO 협의회장, “어떠한 경우도 동의할 수 없다”

“지상파방송4사가 지난 5일 시작한 다채널방송서비스(MMS)는 SO와 PP의 생존권이 달린 문제로 IP-TV 보다 심각한 문제이며, 어떠한 경우에도 결코 동의하거나 물러설 수 없다.”

오지철 한국케이블TV협회장, 오광성 한국케이블TV방송국협의회장, 서병호 PP협의회장은 ‘KCTA 2006’ 행사 둘째 날인 13일 오찬간담회서 지난 4일 방송위원회가 허용한 지상파4사의 MMS에 대해 좌시하지 않겠다며 이같이 집중 성토했다.

이날 간담회서 오지철 한국케이블TV협회장은 방송위의 지상파4사 MMS 서비스 허용에 대해 ▲채널정책 ▲콘텐츠 시장의 불균형 ▲소비자 권익 침해 ▲절차상의 오류 등 4가지 문제점을 제기하며 이들과 뜻을 같이했다.

오지철 협회장은 “기술의 진화로 채널이 남을 때마다 지상파방송사에 채널을 할당해준다면 이는 문제”라며 “신문의 방송진출 등을 포함해 거시적이고 장기적인 안목에서 방송위가 보다 명확한 채널정책을 먼저 확립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그는 또, “지상파방송의 낮방송 허용이후 대부분의 콘텐츠가 재방 프로그램으로 채워지고 있는 상황이고, 지상파방송사가 넘쳐나는 콘텐츠로 인해 채널이 부족한 상황도 아닌 상태임에도 채널을 확대한다는 것은 어불성설”이라며 “방송위 2기가 출범하기 전까지 중요한 정책적 결정을 하지 않기로 한 상태에서 이해당사자의 의견 수렴도 없이 방송위가 이러한 결정을 한 것은 특혜시비의 소지까지 있는 일”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오지철 회장은 “월드컵을 이용해 지상파4사가 동시에 수도권 시청자를 대상으로 시험방송을 하는 것도 소비자 이익은 안중에 없다는 것을 드러낸 셈”이라고 덧붙였다.

특히, 오광성·서병호 협의회장은 지난 몇 년 동안 SO와 PP가 공동명의로 성명서를 낸 적이 없었지만, 이번의 사태는 생존의 문제가 걸려 있어 공동으로 성명서까지 냈다고 설명했다.

오광성 회장은 “MMS를 허용하게 되면 기존 지상파방송4사가 확보한 HD급 채널이 5개에서 10~25개로 확대된다”며 “이는 곧바로 콘텐츠 수급의 문제와 광고 시장의 왜곡을 불러일으킬 수 있어 PP협회와 뜻을 같이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 “정통부에 주파수 변경·활용에 대한 기술적·행정적 자문까지 요구한 상태에서 법률 자문을 얻어서 법정 소송준비까지도 계획했다”며 “아직까지 정통부에서 이에 대한 계획이 없는 것으로 나타나 보류한 상태”라고 전했다.

한편, 케이블TV방송국협의회는 방송위가 지상파4사에 대해 MMS를 허용하자, 지난 6일 방송위가 추진하는 제5기 디지털방송추진위원회에 불참할 것이라고 공식 발표한 바 있다.
by 100명 2006. 6. 13. 16:39
지상파 MMS로 HD화질 ‘뚝’
[디지털타임스 2006-06-09 11:02]
시청자 항의 빗발…방송위 게시판에 시험방송 중단 요구 줄이어

지상파TV방송사들이 시험 실시 중인 디지털TV의 멀티모드서비스(MMS)로 인한 화질 열화가 마니아들을 중심으로 인터넷에서 논란이 되고 있다.

MBC, SBS, EBS가 MMS 시험방송 개시 후 AV코리아(www.avkorea.co.kr), DVD프라임(www.dvdprime.com) 등 홈시어터 전문 사이트들 뿐 만 아니라 방송위원회 홈페이지에 까지 시청자 항의 글이 빗발치고 있다.

8일 방송위원회 홈페이지 게시판에는 MMS 시험방송 허용 이후 디지털TV의 화면이 뿌옇게 흐려지거나, 스포츠 중계처럼 빠르게 화면이 움직일 때 화면이 깨지는 `블록 노이즈'가 많이 생긴다는 등의 시청자 불만접수가 줄을 이었다.

시청자들은 MMS 시험방송을 시작한 뒤 TV 화질이 현저히 저하됐다며 방송위에 MMS 시험방송을 중단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시청자들은 MMS로 인해 HD 화질이 떨어진다는 주장이다.

지상파TV방송사들에 따르면 기존 HD방송이 19Mbps(초당 19메가비트전송)의 1080i 방식인 반면 MMS는 13Mbps의 720p로 변환해 내보낸다. KBS 관계자는 "기술상 1080i와 720p의 화질은 차이가 없는데, 압축 전송률을 30% 이상 낮추면서 방송사 내부의 기술 테스트에서는 아무 문제가 없던 화질 저하를 일반 수신자들이 느끼는 것 같다"며 "각 방송사들이 상황 파악과 시청자 항의에 대해 집계 중"이라고 설명했다.

MBC와 SBS는 HD시간대에 SD로 축구 중계 등을 내보냈으며 EBS는 EBS플러스1,2 등 2개 채널을 추가 운영해 케이블TV의 방송채널(PP)과 다름 없는 방송을 했다. EBS는 7일부터 돌연 MMS를 중단한 상태다.

방송위는 MMS 시험방송을 월드컵 기간에 한시적으로 허용했으며 시험방송이 끝난 뒤 시청자 반응 조사 등을 포함한 평가를 거쳐 본방송 허용 여부를 결정할 방침이다. 지상파방송사들도 한 달 동안 진행하는 시험방송을 가지고 지나치게 예민하게 반응하는 것은 무리라는 입장이다.

한편, 정보통신부는 지상파TV방송사가 시험방송 중인 디지털TV의 멀티모드서비스(MMS)의 기술 검토를 위해 `기술검증위원회'를 가동키로 했다. 또한 방송위원회는 MMS 시험방송을 다각도로 검토하기 위한 평가단을 운영키로 했다.

정보통신부 관계자는 8일 "지상파TV방송사와 가전 제조사, 연구기관들로 구성된 기술검증위원회를 금명간 구성해 MMS 시험방송 중에 나타나는 여러 가지 기술 문제들을 검증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기술검증위원회는 예컨대 시중 수신기(디지털TV 등)가 MMS를 잘 수신하는 지 여부와 화질 열화가 발생하는 지를 검증하는 활동을 하게 된다. MMS 시험방송에 한해 한시적으로 운영되지만 다음달 중순 시험방송 종료 후에도 사후적인 검증 활동을 하게 된다.

방송위도 최근 MMS 시험방송에 대한 케이블TV업계와 시청자들의 항의가 빗발치자 시험방송 평가단을 운영하는 한편 외부용역을 통해 시험방송 결과를 도출할 계획이다.

by 100명 2006. 6. 9. 14: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