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장의 매출을 CGV가 공정공시하는 것으로 믿어도 되는가?
영화의 영업 이익이 14%(영화 상영수익),47%(매점운영),39%(스크린 광고) 이라고 한다면
다음과 같은 질문을 제기해 본다.
1. CGV의 위탁점에 대한 매점운영권은 누가 가지고 있는가?
2. CGV의 스크린 광고권은 누가 가지고 있는가?
3. 영화의 상영 수익에 대한 세부 내역은 공개할 용의가 있는가?
- 위탁 운영 수수료
- 파견 인력에 대한 인건비
4. 프로그램 선정 방식
- 극장 체인에 상영 되는 영화는 체인점 본사에서 선정하여 각 극장에 보내 지고
- 극장에서는 관객이 많은 영화에 대해 스크린을 더 제공하는 것은 매출을 올릴 수 있고 관객의 편리를 증진하는 것이다.
- 극장에 제공 된 영화의 수가 정해져 있다면 극장의 점주가 할 수 있는 일은 정해 질 수 밖에 없다.
- 이러한 환경에서 점장이 영화를 선택한다며 점장의 책임으로 미루는것에는 이해 할 수 없다.
=========================이하 CGV 전자공시 시스템 제공 자료 일부 =============================
1. 사업의 개요
가. 업계의 현황
◆ 증대된 영화상영시장
1990년대 중반 국내 영화산업은 상영편수 및 관람객 수를 기준으로 외화의 점유율이 70~80%에 달하며 한국영화의 기반이 매우 취약한 상태였으나 1999년 "쉬리"를 시작으로한 한국영화의 흥행성공은 한국영화에 대한 가능성을 보여 주었고, 또한 한국영화에 대한 수요증가로 이어지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한국영화의 성장에 따라 Entertainment Platform의 기능을 갖춘 멀티플렉스 상영관의 확산은 새로운 수요의 확대를 가져와 선순환의 성장세를 지속하게 되었습니다. 2006년 말 기준, 전국적인 스크린 수의 규모는 약 1,850여개로 추정되고 있으며 이 중 상당수의 스크린이 멀티플렉스의 형태로 운영되고 있으며 향후에도 멀티플렉스 스크린의 전국 스크린 수 대비 점유율은 지속적으로 증가할 전망입니다.
◆ 경쟁구도
현재, 시장구도는 1998년 CGV가 최초로 영업을 개시한 이 후, 2000년 메가박스가 동종업계에 진입하면서 2강체제로 지속되어 오다가 백화점 집객력을 높이기 위한 목적으로 시작되었던 롯데쇼핑의 멀티플렉스 사업에의 본격적인 가세로 인해 동 업계의 경쟁은 심화되는 양상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신규 사업자의 시장 진입 난이도 측면에선 영화관 설립 시 소요되는 막대한 초기자본과 설립지역에 대한 정확한 분석력때문에 경험이 전무한 신규사업자들의 영화상영시장 초기진입장벽은 다소 높은 편입니다.
◆ 경쟁수단
진입장벽이 다소 두터운 영화상영시장의 주요 경쟁수단은 크게 두가지로 분류되고 있습니다. 첫번째는 서비스 품질력입니다. 사실 각 극장사업자들이 상영할 수 있는 영화콘텐츠에는 차별화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입니다. 따라서, 영화 관람객이 제공받는 서비스의 품질력이 기업의 인지도에 영향을 주기때문에 경쟁업체들간의 서비스 품질 향상에 많은 비용을 투자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두번째 경쟁수단은 중요 전략거점 사이트의 선점에 따른 고객과의 근접성 확보로 분석되고 있습니다. 유동인구가 많은 지역이나 인구 밀집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지역의 선점은 직접적인 매출액 증대로 나타나기 때문에 각 경쟁업체들의 사이트 개발에 대한 분석/예측력 요구되고 있으며 사업의 성패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나. 회사의 현황
(1)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
(가) 영업개황
CJ CGV는 고품질의 선진 멀티플렉스 극장을 최초로 국내에 보급하여 단일관 위주의 영화상영관 문화를 선진화 시켰으며, 상영업계의 선두주자로서 1998년 CGV강변11 사업장 오픈을 시작으로 2006년 말 현재, 전국 43개 사이트에 343개 스크린을 운영하는 국내 최대 멀티플렉스 상영업체로서 매년 꾸준한 성장세를 이어오고 있습니다. 또한 "고객에게 가치있는 즐거움을 제공하는 Global 문화 서비스 Platform 기업"으로 거듭난다는 비젼으로 공격적인 사이트 개발 및 관련 사업 다각화를 통하여 지속적으로 시장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특히, 우수한 브랜드 인지도와 주요 포스트 선점효과로 타 경쟁업체에 비하여 높은 좌석 점유율을 보이고 있기 때문에 스크린 수 점유율에 비하여 관람객 점유율이 더욱 높게 나타나는 장점이 있습니다. 향후에도 지속적인 브랜드 관리 및 서비스 품질 개선 등에 중점을 두고 사업을 전개해 나갈 예정입니다. 또한, CJ Entertainment와 CJ Entertainment의 제휴사인 시네마서비스가 국내 영화배급시장을 주도하고 있다는 점이 시장경쟁에 있어 강점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다만 경쟁사인 메가박스 및 롯데시네마도 관련 계열사에서 제작, 배급사에 투자를 시작하는 등 업계가 전반적으로 제작, 배급, 상영의 수직계열화를 이루고 있습니다.
(나) 공시대상 사업부문의 구분
당사는 영화상영업 중심의 단일사업부문으로 운영되고 있어 공시대상 사업부문을 구분하지 아니하였습니다.
(2) 시장점유율 등
국내 영화상영시장의 시장점유율은 관람객수를 기준으로 하여 산출되고 있습니다. 당사가 집계한 2006년 국내 영화시장 총 관람객수는 약 1억 6천 7백만명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2006년 한해동안 CGV 가 집객한 관람객 수는 약 4천5백만명으로 시장점유율은 26.8% 를 기록하였습니다.
(단위: 백만명,%)
구 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전체관람객 | 119 | 135 | 143 | 167 |
CGV 관람객 | 25 | 33 | 40 | 45 |
시장점유율 | 22% | 24% | 28% | 27% |
(3) 시장의 특성
영화상영업계는 상대적으로 저렴한 여가문화를 즐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는 측면에서 경기변동에 따라 민감하게 반응하지는 않는 편입니다. 또한 주 고객층은 20~30대라는 점도 경기변동의 영향이 크지 않은 이유이기도 합니다. 그러나, 연간 관람객수를 분석해 보면 크게 두가지 요인에 따라 매출액이 변동 됩니다. 첫 번째 변동요인은 성수기와 비수기의 뚜렷한 구분입니다. 영화관람의 주 소비층은 학생층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이들의 방학기간과 춥고 더운 날씨때문에 야외 여가활동이 덜 선호되는 7, 8월과 1, 2월이 성수기이며 상대적으로 야외활동이 활발한 봄과 가을은 비수기로 구분됩니다. 즉, 분기별로 나타낼 경우, 1/4분기와 3/4분기가 대체적으로 성수기로 분류되며, 2/4분기와 4/4분기는 비수기로 분류되고 있습니다. 둘째로, 매출액 변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영화콘텐츠가 있습니다. 대체로 국내영화와 수입영화의 경우 위에서 언급한 성수기에 개봉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어느 정도 성수기 및 비수기의 매출액 변동에 연동되고 있는 상황이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영화콘텐츠의 흥행에 따라 성수기 및 비수기의 매출액 차이가 줄어드는 경우도 발생하게 됩니다.
(4)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5) 조직도
그림: 조직도
2. 매출에 관한 사항
가. 주요 상품 등의 현황
사업부문 | 품 목 | 매출액(비율) | 매출총이익(비율) | 비 고 |
---|
영화관사업 | 상영수입 | 191,180(70%) | 75,970 (54%) |
|
매점수입 | 41,141(15%) | 65,500 (46%) |
|
스크린광고 | 23,466 (9%) |
|
기타 | 16,288 (6%) |
|
계 | 272,016(100%) | 141,470(100%) |
|
나. 매출형태별 실적
구 분 | 제 8 기 | 제 7 기 | 제 6 기 |
---|
매출액 | 비 율 | 매출액 | 비 율 | 매출액 | 비 율 |
---|
내 수 | 상영수입 | 191,180 | 70 | 179,094 | 75 | 163,579 | 75 |
매점수입 | 41,141 | 15 | 35,619 | 15 | 32,624 | 15 |
스크린광고 | 23,466 | 9 | 13,786 | 6 | 13,474 | 6 |
기 타 | 16,228 | 6 | 10,452 | 4 | 7,191 | 3 |
소 계 | 272,016 | 100 | 238,952 | 100 | 216,867 | 100 |
합 계 | 272,016 | 100 | 238,952 | 100 | 216,867 | 100 |
다. 판매경로 및 판매방법 등
(1) 판매조직
당사는 씨네마운영본부에서 극장운영을 총괄하고 있으며, 당사가 운영중인 각 극장
에서 극장표 판매, 매점운영 등의 판매활동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2) 판매경로
가. 입장료 매출
현장판매, 무인발권, ARS 판매, 인터넷 판매 등을 통해 판매하고 있습니다.
나. 매점매출
현장판매를 통해 판매하고 있습니다.
다. 스크린 광고 매출
영화 상영전 스크린 광고를 통해 판매하고 있습니다.
라. 기타매출
기타매출은 위탁운영수수료와 게임센터 등의 운영으로 발생하고 있습니다.
게임센터 등은 현장이용을 통해 매출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3) 판매방법 및 조건
당사는 일반적인 판매에 있어 현금, 상품권, 신용카드 판매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위탁매출, 할부매출, 시용매출, 예약매출 등 특수한 판매방법은 채택하고 있지 않습니다.
(4) 판매전략
가. 입장료 매출
회사는 조조, 평일, 휴일 등 시간대별, 요일별 요금차등제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제휴업체와의 제휴를 통한 할인판매를 시행하고 있으며, 신용카드사와도 제휴하여 티켓 할인 판매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나. 매점 매출
팝콘과 콜라 등을 셋트로 판매하는 콤보셋트의 다양화로 매점 제품의 매출극대화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다. 스크린 광고 매출
전문 광고대행사를 통한 광고수주로 스크린 광고를 하고 있습니다.
라. 기타매출
상권이 발달한 지역의 위탁사이트 확대를 통한 위탁사이트 수수료증대와 영화관 이용시 관람객의 게임센터등의 이용횟수 증대로 매출극대화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RECENT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