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정치권·전문관료’ 3그룹 후보군 중 낙점 전망… 진대제·김동수 등도 물망에

 

 

이석채 KT 회장이 12일 개최되는 이사회에서 사표를 제출함에 따라 KT 후임 CEO 인선작업이 빠르게 진행될 전망이다.

현재 KT 후임 CEO를 둘러싼 하마평은 3그룹을 중심으로 3파전의 양상을 띠고있다.

재계와 정치권에서는 삼성출신·정치권·전문관료 등 3그룹으로 나뉜 후보군 중 낙점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현재 가장 유력한 인물은 이기태 삼성전자(1,457,000원 △29,000 2.03%) 전 부회장, 형태근 전 방송통신위원회 상임위원, 황창규 전 삼성전자 사장 등 3명으로 압축되는 양상이다.

삼성 출신중 가장 유력하게 거론되는 이기태 전 부회장은 애니콜 신화를 만든 인물로 ICT분야 최고의 전문성과 삼성을 글로벌 기업으로 변화시킨 주역이라는 점에서 KT혁신의 적임자로 평가받고 있다. 이 부회장은 이명박 정부에서도 KT CEO 후보로 유력하게 거론된 바 있다.

황창규 전 삼성전자 사장과 지난 대선에서 박근혜 캠프의 경제자문회의 위원으로 활동했던 현명관 전 삼성물산(62,500원 △1,100 1.79%) 회장도 후보군에 오르고 있다.

일부 거론되고 있는 진대제 전 정보통신부 장관의 경우 노무현 정권시절 장관을 지낸 인물이라는 점에서 낙점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분석된다.

일단 삼성전자 출신 CEO가 거론되면서 KT 내부에서는 아이폰 도입 등을 놓고 삼성과 KT가 대립했던 점, 삼성 스마트TV의 망중립성 논란 등으로 양 사의 관계가 원만하지 않다는 점을 들어 삼성전자 출신에 대해서는 강하게 반대하는 분위기가 역력하다.

관료출신중에는 정통 통신관료출신인 형태근 전 방송통신위원회 상임위원과 김동수 전 정통부 차관이 거론된다. 김형오 전 국회의장은 본인 스스로 전공이 아아니라며 반대입장을 분명히 인선가능성은 낮은 상태다.

형태근 위원은 대구경북(TK) 출신이라는 점과 최경환 새누리당 원내대표와 대구고등학교 동기동창이다.

반면 김형오 전 의장은 ‘KT 회장에 대한 관심이 없다’는 의사를 밝히고 있지만, 혼란에 빠진 KT를 거물급 정치인이 리더십으로 끌어야 한다는 이야기도 설득력을 얻고 있다. 하지만 일부에서는 김 전 의장의 경우 5선 의원을 지낸데다 국회의장까지 역임해 KT 회장을 맡을 경우 격이 맞지 않는다는 지적도 있다.

김동수 전 차관은 이번 대선 당시 IT인들의 모임을 주선하는 등 박근혜정부 출범에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김 전 차관은 최근 정치권 등에 가장 적극적인 행보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KT(32,200원 △600 1.9%) 내부 인사로는 김일영 코퍼레이트센터장,표현명 사장등이 거론됐지만, 검찰수사를 받고있는 데다, 이 회장 측근으로 분류돼 어렵지 않겠느냐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이 회장이 전격 사퇴함에 따라 ‘CEO추천위원회’는 조만간 인선절차에 나설 것으로 예상된다.

CEO추천위원회는 사외이사 7인, 사내이사 1인으로 구성된다.

사외이사 7인은 이사회 의장을 맡고 있는 김응한 미국 미시간대학 경영학 석좌교수를 비롯, 이춘호 EBS 이사장, 이현락 세종대 석좌교수, 박병원 전국은행연합회 회장, 성극제 경희대 국제대학원 교수, 차상균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교수, 송도균 법무법인 태평양 고문 등이다.

by 100명 2013. 11. 12. 14:11

KT계열사, 거래업체 추가 압수수색… 회의록. 통화내역 등 분석
이석채 회장에 대한 압력행사 등 외압 드러나면 소환조사 방침

【서울=뉴시스】박준호 기자 = 검찰이 이석채 KT 회장의 정관계 로비에 대한 수사를 확대하고 있는 가운데, 야권 거물급 중진 A의원이 KT에 부당한 압력을 행사한 정황이 포착됐다.

검찰은 11일 KT계열사인 엠하우스 그리고 B업체 등에 대해 추가 압수수색을 실시했다.

검찰은 KT의 스마트폰 앱개발을 담당하는 B업체가 지난 6월 경영상태 부실로 미수금이 발생해 KT와 거래가 중단될 위기에 처하자, A의원이 이 회장을 통해 거래를 계속 유지하도록 압력을 넣고 직접 개입했는지를 살펴보고 있다.

검찰은 KT계열사와 B업체 등의 회의록 등 내부서류와 통화내역 등 압수물을 집중 분석, 이같은 외압 의혹과 관련된 구체적인 정황이나 물증이 드러나는 대로 A의원을 직접 소환조사할 방침이다.

12일 검찰 등 사정당국에 따르면, 서울중앙지검 조사부(부장검사 양호산)는 야권 중진 A의원이 이 회장에게 특정 업체에 대한 미수금 회수를 유보시키는 등 부당 압력을 행사, 이권에 관여한 단서를 확보했다.

검찰은 특히 KT가 지난 9월 이 업체에 20억원을 투자한 과정이 석연치않은 것으로 보고 A의원의 부적절한 개입이 있었는지를 중점적으로 살펴보고 있다.

검찰은 A의원의 압력으로 KT가 투자 형식을 빌려 부당 지원을 했는지에 대해, 관련 투자 내역을 면밀하게 검토중이다.

검찰은 이 회장의 배임 혐의와 관련된 전반적인 기초 수사는 대부분 마치고, 추가로 비자금 조성이나 정관계 로비 의혹에 무게를 두고 수사를 확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또 이 회장이 회사 임직원 명의의 계좌로 임금을 과다 지급 후 되돌려 받는 수법으로 비자금을 조성, 정관계에 살포한 혐의에 대해서도 수사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은 비자금의 사용처를 추적하는 과정에서 이 회장이 전직 차관급 인사에게 해외여행, 자녀 유학 경비 등의 명목으로 KT 고위임원의 계좌 등을 통해 수십만달러를 건넨 단서를 포착, 계좌추적을 확대하고 있다.

검찰은 이 회장 측이 이 인사에게 사업상 편의를 봐 달라는 청탁과 함께 금품을 제공한 것으로 보고, 추가로 다른 정·관계 인사들에 대한 금품로비 여부도 수사를 벌이고 있다.

한편 미래창조과학부는 KT위성사업 자회사인 KT샛(sat)의 무궁화위성 불법 매각 의혹과 관련, 이 회장을 전기통신사업법 위반 혐의로 수원지검 성남지청에 고발했다. 서울중앙지검은 관련 사건을 병합해 수사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by 100명 2013. 11. 12. 07:18
【서울=뉴시스】진대제 전 정보통신부 장관.(사진=뉴시스 DB) photo@newsis.com 2009-02-17
【서울=뉴시스】김민기 기자 = 이석채 KT 회장이 오는 12일 이사회에서 전격 사퇴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차기 CEO로 삼성전자 출신 인물들의 이름이 거론되고 있다.

11일 업계에 따르면 이석채 KT 회장은 12일 KT 이사회에서 사표를 제출하고 전격 사퇴할 예정이다.

이사회는 2주 이내로 'CEO추천위원회'를 구성해 공개모집 또는 단독 후보 추천으로 후보를 정하고 재적위원 과반수 찬성으로 후보를 결정한다. 이후 주주총회를 열어 최종적으로 선임 여부가 확정된다.

현재 거론되는 삼성전자 출신 인물은 반도체 신화의 주역인 진대제 전 정보통신부 장관, '황의 법칙'을 만든 황창규 전 사장, 애니콜 신화를 일궈낸 이기태 전 사장, '혁신 전도사'로 불리는 윤종용 전 부회장 등이다.

◇ KT, 무선 사업 실적 향상 위해 삼성의 힘 '절실'

이 회장의 뒤를 이을 새로운 KT 수장에 유독 삼성 출신 스타 CEO들이 거론되는 이유는 KT가 무선 시장에서 경쟁력을 회복하기 위해 시장 리더십을 갖춘 단말 제조사의 힘이 필요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이미 SK텔레콤은 과거 자회사로 휴대폰 제조사인 SK텔레텍을 가지고 있다가 2005년 팬택에 매각한 사례가 있다. 현재도 팬택과는 SK 단독 출시 제품을 내는 등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LG유플러스 역시 LG전자가 있기 때문에 단말기 수급 등에서 여러모로 유리한 점이 많다.

KT는 오랜기간 통신사업을 해오면서 이들 제조사들과 좋은 관계를 유지하고는 있지만 아무래도 경쟁사보다는 다소 관계가 느슨할 수 밖에 없다.

【서울=뉴시스】황창규 전 삼성전자 사장.(사진=뉴시스 DB) photo@newsis.com 2011-07-13

특히 KT는 이석채 회장 취임 이후 지난 5년간 삼성전자와 대립하며 극한 갈등을 겪기도 했다.

그 첫 신호탄이 지난 2009년 KT가 애플로부터 아이폰을 들여왔을 때다. 당시 삼성전자는 국내 휴대폰 시장을 꽉 쥐고 있는 상황에서 애플의 아이폰을 국내에 들여오는 것을 꺼려했다. 하지만 KT가 가장 먼저 아이폰을 출시해 삼성전자는 스마트폰 시장에서의 소비자들의 외면을 받고 어려움을 겪었다. 결국 삼성전자는 이듬해 스마트폰 '옴니아'를 출시하면서 KT에만 옴니아 브랜드를 뗀 채 공급했다.

이후에도 삼성전자는 자사의 전략폰을 KT에 늦게 공급하고 제조사 보조금도 타 이동통신사에 비해 차등을 두기도 했다.

지난 해 2월에는 '망중립성'논란으로 홍역을 겪었다.

KT가 삼성전자 스마트TV가 자사의 인터넷 망을 무단으로 사용하고 있다며 인터넷 접속을 차단하는 강수를 뒀다. 삼성전자 역시 이에 가처분 신청 등 법적 다툼까지 고려하는 강수를 벌이면서 양사의 관계는 극단을 치닫기도 했다.

업계에서는 KT가 삼성전자 출신의 CEO를 영입을 시도하는 것은 과거의 불편했던 관계를 개선하고 삼성전자 스마트폰을 발판으로 국내 통신 시장에서 재도약하기 위한 전략이라고 분석하고 있다.

또 '공기업' 분위기에 젖어 있는 KT에 삼성전자의 '실적주의'와 '위기론' DNA를 심어 진정한 민영 기업으로 거듭나야 한다는 분석도 삼성 CEO에 무게감이 실리는 이유다.

【서울=뉴시스】이기태 전 삼성전자 부회장.(사진=뉴시스 DB) photo@newsis.com 2008-12-10

◇ '삼성'의 힘보다는 '관료'의 얼굴

이들 삼성 CEO가 실질적으로 KT 수장이 될 가능성은 현재로선 그리 크지 않다.

KT 수장이라는 자리가 정치권으로부터 자유롭지 않은 자리일뿐더러 '독이 든 성배'인 KT 수장 자리를 맡기엔 부담이 크기 때문이다. 5년 후에 또 다시 정권 교체와 더불어 사퇴 압박에 시달릴 것이 분명하다.

또 경영상의 이유로 삼성전자 출신이 필요하다면 임원급 영입으로 충분할뿐더러 정부의 규제 이슈가 강한 통신 시장에 적응하려면 관료 출신이 더욱 적합하다는 시각도 존재한다.

업계 관계자는 "이석채 회장의 사퇴와 후임 CEO의 선정이 속도를 내는 것으로 보아 이미 청와대 쪽에서 내정된 인물이 있을 가능성이 크다"면서 "통신에 능통하면서 KT 분위기를 잘 알고 정부쪽에도 발이 넓은 인물이 KT 수장에 가장 적합할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by 100명 2013. 11. 11. 16:48

 

[파이낸셜투데이=김남규 기자] 이석채 KT 회장이 수많은 의혹을 뒤로한 채 전격 사퇴를 발표함에 따라, 차기 CEO 내정자에 전 국민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현재 수많은 사람이 거론되는 가운데 일단 외부 인물로는 과거 정보통신부 장관을 역임한 반도체 분야의 천재 과학자 진대제 스카이레이크인큐베스트 대표가 포함 내부 인물로는 표현명 T&C부문장 등이 적임자로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검찰로 부터 배임혐의와 위성헐값 매각 등의 의혹을 수사 받고 있는 이석채 전 KT 회장의 향후 거취와 반복되는 KT 비리의 원인, 그리고 앞으로 이 조직을 이끌어갈 인물과 역할에 대해 집중 조명해 본다.

이석채 KT 회장이 전격 사퇴를 결정하고 나서자 후임자를 둘러싼 하마평이 끊이질 않고 있다.

현재까지 거론된 인사만 10여명을 훌쩍 뛰어넘고 있는데, 이중 몇몇은 유력 후보군으로 물망에 오르내리고 있다. 아직 누구도 결과를 예측하기에는 이른 단계다. 그러나 KT가 이르면 내주 초에 이사회를 열고 후임 CEO 선임 절차에 들어간다는 계획을 밝힌 만큼, 늦어도 이달 말에는 윤곽이 드러날 것으로 보인다.

현재 KT 이사회는 CEO 선임방식을 외부 공모로 진행할 것인지, 혹은 CEO추천위원회가 바로 추천하는 방식으로 진행할지를 두고 고민 중에 있다.

만약 외부 공모 없이 이사회를 통해 바로 적임자를 추천하는 방식을 택할 경우 신임 CEO 선정 과정에 미치는 CEO추천위원회의 영향력은 막강해질 전망이다. 이 경우 내부 인물이 CEO로 선임 될 가능성 역시 높아진다.

반면 이석채 회장의 경우처럼 후보자 공모를 진행한 후, CEO추천위원회가 심사를 거쳐 후보자를 선정하는 방식을 택한다면 다양한 변수가 존재하는 만큼 차기 CEO를 예측하기가 쉽지 않다.

문제는 이석채 사람이라 불리는 KT 이사진의 공정성이 도마 위에 올라있는 만큼 CEO 선정방식 조차 쉽게 경정을 내리지 못할 것이란 데 있다. KT를 대상으로 한 검찰 수사가 내부 임직원으로까지 확대된 상황이기 때문에 이사진에 의해 차기 CEO 후보를 결정한다면 자기 식구 감싸기라는 외부 비난을 면치 못하게 된다. 반대로 공모를 통한 외부 인물 영입으로 가닥을 잡는다면 지금껏 그래왔듯 낙하산 인사 논란이 반복될 게 자명하다.

이 같은 이유로 일각에서는 KT 회장은 이미 정해졌고, 취임 시기만 조율하고 있을 뿐이라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현재의 과정은 절차적 행위일 뿐, 지금과 같은 상황에서 이사회가 무슨 힘을 쓸 수 있냐는 시각에서다.

업계 관계자에 따르면 “이사들 역시 현 권력의 입김에 귀를 기울이고 그 방향대로 따라가는 것 외에는 별다른 수가 없다”면서 “이사회가 자의적으로 차기 회장 후보를 결정할 용기가 있을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실제 이석채 회장과 그 후임에 대해서는 전 국민의 눈과 귀, 여기에 정권초기 막강한 권력의 칼날을 휘두르는 정부의 시선이 꽂혀 있다. KT 이사회가 얼마만큼 개방적이며 객관적인 후보 선출 방식을 택할지 여부에 관심이 집중되는 이유다.

어찌됐든 KT는 회장을 선임하는 CEO추천위원회 구성에 속도를 내기 시작했다. CEO추천위원회는 사외이사 7명과 사내이사 1명 등 8명으로 구성될 예정이다. 현재 KT 사외이사는 김응한 미시간대 석좌 교수, 박병원 은행연합회 회장, 성극제 경희대 국제대학원 교수, 송도균 태평양 고문, 이춘호 EBS 이사장, 이현락 세종대 교수, 차상균 서울대 전자정보공학부 교수 등 7명이다.

차기 CEO 늦어도 이달 말 윤곽 드러날 듯
회장 이미 정해졌고 취임 시기만 조율하나

사내이사는 이석채 KT 회장과 김일영 코퍼레이션센터장, 표현명 T&C부문장 등 총 3명이다. 전체 이사진은 총 10명이지만 이석채 회장과 김일영 센터장은 검찰 조사로 인해 CEO추천위원회에서 배제된 상태다.

KT 관계자는 “11월 중순 차기 CEO 선출을 논의하기 위한 이사회 일정이 잡혀 있다”며 “이사회는 11일이나 12일 중 하루를 선택해 열릴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후보군 KT·삼성·관료 출신으로 압축

현재까지 하마평에 오른 인물들은 크게 세 그룹으로 압축된다. 우선 가장 빈번하게 이름이 거론되는 부류는 KT 내부 출신들이다. 다음으로는 국내 IT 시장의 영향력을 실감케 하듯 삼성 출신 인물이 심심치 않게 거론되고 있으며, 과거 공기업이었던 KT 조직의 특성 때문인지 ICT정책 담당 출신 거물들이 입방아에 오르내리고 있다.

우선 KT 출신 후보군은 전·현직 사장급 인물로 압축된다. 유력한 KT 내부 후보로는 표현명 T&C부문 사장이 주목받고 있다. 외부 입김이 작용하지 않으면 차기 CEO로 선임될 가능성이 높다.

표 사장은 오랜 기간 KT에 재직한 경력이 있어 누구보다 내부 상황에 밝다. 게다가 특히 표 사장의 CEO 선임될 경우 매번 반복된 낙하산 인사 논란을 사전에 미연에 방지할 수도 있다는 점도 강점으로 꼽힌다.

그러나 표 사장의 대표이사 선임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도 만만치 않다. 그동안 이석채 회장과 한솥밥을 먹으며 지냈던 내부 인물인 만큼, KT가 당면한 현 부정부패의 의혹에서 자유롭지 않기 때문이다.

특히 표 사장은 이석채 회장과 같은 고등학교 동문으로 그동안 이석채 회장과 막역한 관계를 유지해 왔다. 게다가 KT의 내부 고위 임원들 상당수가 이 회장에게 발탁된 인물들이다. 때문에 표 사장이 KT의 차기 CEO에 오르면 부정부패 의혹에 얽혀있는 기존 임원들과의 선긋기가 가능하겠냐는 우려가 끊이질 않고 있다. 이 회장의 경영부실을 돕거나 묵인, 방조했던 인물이라는 굴레를 벗기에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거론되는 후보군은 삼성 출신들이다. 황창규 전 삼성전자 사장, 이기태 전 삼성전자 부회장, 홍원표 미디어솔루션센터장, 현명관 전 삼성물산 사장 등 업계 관계자라면 누구나 이름 한번쯤은 들어봤던 스타 CEO들이다.

누구하나 빠지지 않는 경력의 소유자이지만 이들을 바라보는 시각 역시 한없이 고운 것만은 아니다. 그동안 KT와 삼성이 ‘서비스’와 ‘제조’라는 사업영역에서 지속적인 충돌을 빚어 왔기 때문이다.

그간 삼성은 IPTV에 대해 자체 방송미디어사업 진출을 추진하는 등 통신망의 효율적 이용을 둘러싸고 KT와 대립각을 세웠다. 특히 스마트폰 사업에서는 아이폰의 국내 도입을 두고 삼성전자와 KT는 팽팽한 긴장감을 유지해 왔다.

물론 서비스와 제조가 만나 긍정적인 시너지를 낼 수 있다면 고무적이다. 그러나 삼성출신 인물들이 맹목적인 충성심을 기반으로 활동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자칫 KT가 삼성의 또 다른 계열사로 전락하는 게 아닌가 하는 우려가 남는다. 그동안 삼성 계열화에 저항했던 KT 조직의 특성상 내부 반발이 발생할 수도 있다.

각 인물별 장단점을 살펴봤을 때 황창규 전 삼성전자 반도체 부분 사장과 이기태 전 삼성전자 정보통신부문 사장 등은 통신서비스에 대한 전문성이 낮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현명관 전삼성물산 사장은 과거 한나라당 제주지사 출마경력이 있어 정치권의 낙하산 논란에서도 자유로울 수 없다.

홍원표 삼성전자 미디어 솔루션센터 사장은 KT·KTF출신이라는 점에서 강점을 지녔지만, 삼성전자로 옮긴 뒤 공정위 조사를 방해, 은폐한 의혹을 받았던 인물이다. 기업인으로서의 도덕성에 이미 흠집이 난 상태다.

관료출신으로는 형태근 전 방통위 상임위원이 눈에 띈다. 형 전 위원은 박근혜 정부 출범과 동시에 KT 대표로 꾸준히 거론된 인물이다. 관련업계에서도 정권의 입김이 작용할 경우 KT 수장에 오를 가능성이 가장 높은 인물로 형 상임위원을 꼽고 있다.

5년 만에 엘리트 관료에서 불명예 사퇴까지
민간 기업에 대한 정부의 참견 고착화 되나


그러나 박근혜 대통령의 수첩에 어떤 이름이 적혀있는지 알 수 없는 상황이고, KT의 낙하산 인사 논란이 가장 뜨거운 이 시점에 현 정부가 구태의 재현이라는 무리수를 강행할지 여부는 아직 미지수다. 꽃보직 하나를 꿰차려다 자칫 정치적 역풍을 맞을 우려가 크기 때문이다.

정치권 역시 이 같은 상황을 알고 KT 수장에 정치권 인사를 앉히는데 반대하는 모습이다. 권은희 의원은 7일 한 라디오 방송 인터뷰를 통해 “일단 정치권 인사는 안 된다”는 입장을밝혔다.

권 의원은 “KT 회장의 연봉을 보고 오는 사람도 안 된다”면서 “KT의 어려운 것을 한번 해결해보겠다는 마음을 가지고 통신이나 이런 것에 대한 이해가 좀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진대제·형태근, 투톱 체제 구축?

상황이 이렇다 보니 KT의 차기 회장에는 누가 오더라도 논란이 될 수밖에 없다. 결국 욕을 덜 먹을 수 있는 이미지를 갖춘 인물을 발탁하는 게 중요하다.

이에 최근 급부상하는 인물이 진대제 스카이레이크인큐베스트 대표다. 진 대표는 삼성 출신이자 장관을 역임한 관료였고, 동시에 정보통신 분야의 전문성을 갖췄다. 앞서 언급한 세 후보군이 갖는 장점을 두루 지닌 것이다.

무엇보다 진 대표의 가장 큰 강점은 유명세다. 진대제 대표는 우리나라 국비유학생 1호로 미국에 건너가 메사추세츠주립대와 스탠퍼드대에서 전자공학 석·박사를 마쳤고 IT분야 최고 싱크탱크로 꼽히는 IBM 왓슨연구소 연구원을 역임했다. 이후 고 이병철 회장의 삼고초려로 삼성에 합류해 현재의 국내 반도체 사업을 있게 한 기반을 닦아 놓기도 했다.

일각에서는 진 대표가 하드웨어와 테크놀로지 분야만 강하고 통신에 대한 전문성이 떨어진다는 비판을 내놓기도 한다. 그러나 그에 대한 대국민 이미지가 긍정적이기 때문에 사소한 단점은 충분히 만회할 수 있다는 시각이 더 크다.

만약 진 대표가 KT 사장에 선임된다면 정부도 부담을 덜 수 있다. 진 대표가 과거 장관을 역임한 정권이 바로 참여정부였던 이유로 자기 사람 챙기기라는 논란에서 자유로울 수 있다.

이에 관련업계에서는 박근혜 정부가 관료출신의 형태근 전 방통위 상임위원을 KT 부회장으로, 진대제 대표를 KT 회장으로 각각 선임하도록 영향력을 행사해 명분과 실리를 모두 취할 수 있다는 전망을 내놓고 있다.

차기 CEO 산적한 과제 어쩌나

누가 됐든 KT CEO 선임 과정은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특히 역대 KT CEO 모두가 불명예스러운 중도 퇴임을 한 만큼 차기 CEO는 정권의 입김에서 벗어나야 하는 과제를 떠안게 됐다. 게다가 여전히 KT 조직 내에서 존재하는 이석채의 그늘은 차기 CEO의 발목을 잡기에 충분해 보인다.

이 회장은 지난 3일 사의를 표명하면서 “후임 CEO가 결정될 때까지 중요한 과제들을 처리하고 회사 발전에 필요한 조치를 마무리 하겠다”는 말을 남겼다. 임원의 수를 20% 줄이고, 그간 문제가 제기된 고문과 자문위원 제도도 올해 안에 폐지하겠다고 선언해주목을 끈 것.

관련 업계에서는 신임 CEO가 해야 할 말을 나가는 회장이 한다며 수근 거렸지만, 이는 KT 안에서 이 회장의 영향력이 여전하다는 반증이기도 하다.

이 회장은 취임 뒤 강력한 카리스마를 과시하면 조직을 뒤흔들었다. 과거 KT와 KTF가 합병하던 시기에도 6000여명 감축했고, 아이폰 도입도 강행했다. 즉 현재 KT 조직 안에 남아있는 상당수가 이석채 회장을 추종했던 사람이라는 의미다.

이에 KT 내부에서도 차기 CEO 후보로 여러 명이 경합을 벌이게 된다면, 결국 이회장의 입김이 당락을 좌우할 것으로 보는 시각도 있다.

KT 관계자는 “지금까지 KT 이사들이 한 일이라고는 이석채 회장의 선택에 무조건 복종한 것 뿐”이라며 “회사가 이렇게 망가는 과정에서 단 한 번도 바른 말을 못했던 이사들이 어떤 결정을 하게 될지 우려된다”고 말했다.

한편, 배임혐의로 검찰수사를 받고 있는 이석채 KT 회장이 결국 자진 사퇴를 결정한 상태로, 회사 측은 12일 열리를 이사회에서 이 회장의 사표수리와 이후의 일정 등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다.

by 100명 2013. 11. 11. 15:05
   

[불만닷컴=김태연 기자] 앞서 2차례 압수수색을 받은 KT에 검찰이 또다시 압수수색을 실시했다.

11일 서울중앙지검 조사부는 이날 오전 10시부터 KT 서초사옥, 계열사, 계열사 임원 거주지 등 13곳에 압수수색을 진행하고 있으며 특히 KT코퍼레이트센터가 집중 수색받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KT코퍼레이트센터는 김일영 사장이 맡고 있으며 김 사장은 최근 출국금지된 사실이 알려졌다. 김 사장은 이석채 KT회장의 후임을 결정하는 'CEO추천위원회'에 포함될 수 있는 KT 사내 이사이기도 하다.

이와 관련해 지난 8일 KT노동인권센터, KT전국민주동지회, 민주노총법률원 등이 소액주주 35명을 원고로 하는 손해배상 청구 소장을 접수하고 전현직 KT 최고경영자의 부실 경영 책임을 물은 바 있다.

한편 KT는 지난 2월 이석채 회장이 참여연대에 스마트애드몰사업, 오아이씨 랭귀지 비주얼 사업, 사이버 엠비에이 사업 출자과 관련해 업무상 배임 혐의로 고발당해 이번까지 3번의 압수수색을 받게 됐다.

참여연대는 지난 2010년부터 2012년까지 KT 사옥 39곳을 매각하면서 감정가의 75% 정도에 해당하는 금액만 받고 매각, 다시 장기임대 방식으로 입주하는 방식으로 회사와 투자자에 손해를 끼쳤다는 부동산 헐값매각 의혹을 제기하며  2차 고발을 하기도 했다.

이에 검찰 수사 압박이 이어지자 지난 4일 이석채 회장은 사의를 표명하고 물러났으나 검찰의 수사는 계속되고 있다.
 

 

by 100명 2013. 11. 11. 15:04

검찰이 KT의 사무실과 임직원들의 주거지 등 13곳을 추가 압수수색했다.

서울중앙지검 조사부는 이날 오전 10시부터 KT 서초사옥과 계열사, 계열사 임원 거주지 등 13곳에 대해 압수수색을 벌이고 있다. 검찰에 따르면 KT 사옥에 대한 압수수색은 참여연대가 2차례에 걸쳐서 낸 고발건과 관련된 것으로 보인다.

이석채 KT 회장(왼쪽), 김일영 KT 코퍼레이트센터 사장(오른쪽)
이석채 KT 회장(왼쪽), 김일영 KT 코퍼레이트센터 사장(오른쪽)

KT 관계자는 “현재 KT서초사옥에 대해 압수수색이 들어온 것으로 파악된다”며 “김일영 사장이 소속된 KT 코퍼레이트센터와 자택이 집중적으로 압수수색을 받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설명했다.

검찰은 이날 KT 사무실과 임직원 자택 등에서 사옥 매각 및 계열사 주식 매입·인수 과정과 관련한 각종 자료와 회계장부, 내부 보고서, 컴퓨터 하드디스크 등을 확보했다.

김 사장의 자택이 압수수색을 받은 것은 이번이 두 번째다. 일각에서는 검찰의 압수수색에 대해 내일 있을 KT이사회를 압박하기 위해 수단이 아니냐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김 사장은 이석채 회장의 핵심측근으로, 이 회장의 비리 조사와 연관돼 있다는 이유로 출국이 금지됐다. 김 사장은 표현명 T&C부문장(사장)과 함께 KT의 사내이사로서, 이 회장이 사표를 제출할 경우 직계 순에 따라 직무대행 1순위가 된다.

KT관계자는 “검찰의 수사가 계속해서 진행될 경우 김 사장의 직무대행도 힘들 것으로 예상된다”며 “검찰이 이 시점에 세번째 압수수색을 벌이는 것도 KT 이사회에 쇄신을 요구하는 압박용으로 생각된다”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특수통으로 분류되는 지방검찰청 차장검사는 “검찰이 압수수색을 하기 위해서는 법원의 영장 발부가 필수적인 만큼 일각의 의혹 제기는 우려에 불과하다”고 말했다.

앞서 검찰은 지난달 31일 KT의 분당·서초·광화문 사옥과 임직원 5~6명의 주거지 등 8곳에 대해 압수수색했다. 또 22일에는 분당사옥과 임직원 자택을 비롯한 16곳을 압수수색했다. 그러나 검찰 내부에서도 조사부가 압수수색을 3차례나 한 것은 이례적이라는 반응이다.

조사부는 특수부나 금융조세조사부 등 인지(고소고발 없이 검찰이 수사하는) 수사부와 달리 고소·고발을 중심으로 수사를 하는 조직이다. 더구나 조사부의 인력이 부족한 상황에서 압수수색을 3차례나 했다는 것은 이례적인 일이라는 게 검찰 내부의 평가다. 검찰 관계자는 “조사부가 3차례에 걸쳐 압수수색 하는 것이 흔한 일은 아니다”고 말했다.

참여연대는 KT가 스마트애드몰, OIC랭귀지비주얼, 사이버MBA 사업 등을 무리하게 추진해 수백억원의 손해를 봤다며 올해 2월 이 회장을 검찰에 배임혐의로 고발했다. 지난달에는 이 회장이 2010년부터 지난해까지 KT 사옥 39곳을 매각하면서 감정가의 75% 정도에 해당하는 금액만 받고 팔아 회사와 투자자에 손해를 끼쳤다며 재차 고발장을 냈다.

by 100명 2013. 11. 11. 14:59

이석채 KT 회장의 배임 혐의 등을 조사 중인 검찰이 KT사옥과 임직원 거주지 13곳에 대한 추가 압수수색을 단행했다. 이는 지난달 22일과 지난 1일에 이은 3번째 압수수색이다.

서울중앙지검 조사부(부장검사 양호산)는 11일 오전 KT 서초사옥과 계열사, 관계사, 임원 자택 등 13곳에 대한 압수수색을 실시하고 있다고 밝혔다. 검찰은 이번 압수수색에 대해 “1곳은 이미 압수수색했던 곳이지만 수색 범위가 다르고 12곳은 그간 압수수색이 이뤄지지 않았던 곳”이라고 설명했다.

검찰은 이번 압수수색을 통해 사옥 매각 및 계열사 주식 매입, 인수 과정과 관련한 자료 및 회계장부, 내부 보고서와 이와 관련한 자료가 저장돼있는 하드디스크 등을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추가 압수수색을 통해 확보된 자료에 대한 분석이 끝나는 대로 관련자 소환조사에도 속도가 붙을 것으로 보인다. 이미 검찰은 3년간 이석채 회장의 비서실장으로 일했던 심 모 상무와 직원의 복지 및 임금 관련 업무를 맡고 있는 신 모 상무를 소환해 조사한 바 있다.

   
▲ 이석채 KT 회장. (연합뉴스)

검찰의 수사는 참여연대 및 전국언론노조 등의 고발 건을 바탕으로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들 시민단체 등은 지난 2월 이석채 회장이 사업성이 떨어지는 스마트몰 사업을 강행해 적자를 기록하고 ‘OIC랭귀지 비주얼’, ‘사이버MBA' 사업 등을 통해 회사에 손실을 끼쳤다고 주장하고 있다. 검찰은 이와 관련해 지난 4일 황 모 KT OIC 대표를 참고인 신분으로 조사한 바 있다.

사옥의 헐값 매각 관련 논란도 주요한 수사 대상 중 하나다. 지난 10월 참여연대는 이석채 회장이 KT의 사옥 39곳을 매각하는 과정에서 회사와 투자자들에게 최대 869억의 손해를 끼쳤다는 취지의 고발을 진행한 바 있다.

이석채 회장은 임원들에게 높은 임금을 지급한 뒤 일부를 돌려받는 방식으로 비자금을 조성해 차관급 유력인사에 대한 로비를 하는 등의 혐의도 받고 있다.

무궁화 2호, 3호 위성의 헐값매각 관련 의혹에 있어서도 향후 검찰 조사가 불가피할 전망이다. 미래창조과학부는 이석채 회장 등 KT 관계자들을 전기통신사업법 위반 혐의 등으로 고발한다는 방침을 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석채 회장이 KT를 경영하는 과정에서 노동인권 문제를 훼손하고 자신의 기업 지배력을 과도하게 높이려 했다는 점도 문제가 되고 있다. KT새노조는 11일 ‘이사회에 드리는 공개서한’을 통해 △이사회 정관 개정 및 차기 회장 선출과 관련한 투명한 공모절차 보장 △노동인권문제를 해결할 의지를 가진 CEO 선출 △주주가치 일변도의 고배당 경영이 아닌 국민기업으로의 혁신 등을 주문했다.

KT새노조는 공개서한을 통해 “12일에 개최되는 이사회를 주시하고 있다”면서 “KT가 이러한 심각한 위기에 직면한 일차적 원인은 ‘선무당 사람 잡는 식 경영’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통신전문기업인 KT를 관련 업무에 문외한인 낙하산 경영진들이 좌지우지 하고 통신전문인력은 오히려 홀대했다는 게 이들의 주장이다.

KT새노조는 “통신회사로서의 장기적 비전보다는 단기적 실적에 집착하면서 구조조정을 반복하였고, 이 과정에서 매우 반인권적인 인력퇴출프로그램을 가동함으로써 KT의 기업문화를 죽음과도 같은 침묵의 기업문화로 만들었다”고 지적했다.

KT새노조는 “본사는 현장 상황을 전혀 모르는 상태에서 의사결정을 하기 일쑤고, 현장은 본사에서 지시하는 실적을 각종 편법과 허수판매를 통해서라도 달성하기만 하면 그 뿐인 무책임한 경영행태가 반복됐다”면서 “윤리경영실을 강화해서 이른바 공포경영을 초래했지만 그 결과 오히려 허수판매가 증가하는 결과를 빚었고 급기야 영업이익 급감으로 귀결된 게 이석채 회장 체제 KT의 현실”이라고 지적하기도 했다.

by 100명 2013. 11. 11. 14:58

국민 통신기업 KT가 또 다시 위기다. 정권 교체기 매번 반복되는 CEO 리스크가 이번에도 KT를 흔들고 있다. 민간기업으로 재탄생한지 10년이 지났지만 여전히 KT는 공기업 한국통신 취급을 받고 있다.

이석채 회장이 사퇴 의사를 밝힌 가운데 앞으로 KT의 새 CEO 찾기가 시작될 예정이다. <디지털데일리>는 KT 조직의 문제점을 알아보고 CEO 리스크 재발을 방지하기 위한 필요충분 조건은 무엇인지 분석해 본다. <편집자 주>



[디지털데일리 채수웅기자] 지금으로부터 5년전 이다. 2008년 11월 5일 남중수 전 KT 대표는 결국 납품비리 사건으로 KT 수장 자리에서 물러났다.

뒤숭숭한 KT의 구원투수로 등장한 이석채 회장. 하지만 이 회장도 남 전 대표가 걸었던 '비리의혹→검찰수사→사퇴'라는 길을 밟고 있다.

3년 임기인 KT 대표자리. 남 전 사장은 정관을 변경하면서까지 연임에 성공했지만 끝내 임기를 채우지 못했다. 이석채 회장도 정관을 변경하고서야 KT 대표에 취임할 수 있었다. 연임에도 성공했지만 귀결은 남 대표와 같아지고 있다. 수사결과에 따라 결정되겠지만 이 회장 역시 불명예 퇴진 사례로 남을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마치 평행이론을 보는 것처럼 남 전대표와 이 회장의 자취는 궤를 같이 하고 있다.

이 같은 현상이 발생한 가장 큰 이유는 누구나 알고 있지만 그 누구도 쉽게 말을 꺼낼 수 없는 문제, 바로 정권의 개입이다. 민영화 이후 KT의 고질적인 문제는 바로 대표 인사의 부적절함에 있다는 것이 KT 내부와 업계의 동일한 지적이다.  

대기업 오너체계가 문제가 많은 것으로 지적되지만 오너 체계가 아님에도 불구, KT의 현실은 더욱 심각하다. 재임기간 동안은 무소불위의 권력을 휘두를 수 있다. 주요 임원들을 비롯해 연임을 하기 위해 CEO 추천위까지 자기 사람들을 심는 것이 현실이다.

CEO를 보필하고 쓴소리를 할 수 있는 사람은 사실상 남아있기 힘들다. 새로운 CEO에 대한 하마평이 많지만 KT 내부에 인물이 없다는 평가는 수장이 바뀔 때마다 임원진 역시 대거 물갈이가 되기 때문이다.

여기에 전문가도 아닌 사람들이 경영에 깊숙히 개입하며 KT가 이지경이 됐다는 지적도 적지 않다. 이석채 회장 부임 이후 KT는 합병, 아이폰 단독 출시 등으로 초반 기세를 올렸지만 지금은 3위 사업자인 LG유플러스에게도 밀리는 모양새다. 주파수, 이동통신 정책에 심각한 문제가 전체적인 경쟁력 저하로 이어졌다는 평가다.

때문에 KT 조직원 및 관련 업계에서는 차기 KT CEO에 대한 여러 조건이 붙겠지만 무엇보다 낙하산 인사 만큼은 차단해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남 전 대표의 퇴진, 이후 이 회장의 등용, 그리고 다시 사퇴 등 일련의 과정을 보면 보통 정상적인 기업과는 다르다.
정권교체기에 나타나는 공기업의 인사 프로세스와 비슷하다. 업계에서는 이번에도 KT 대표 인사에 윗선의 개입이 이뤄질 것으로 보고 있다.  

이미 유력하게 거론되고 있는 차기 CEO 후보들 중에도 현 정권의 실세와 관계가 어떻다더라, 누구는 누구 라인이라더라는 얘기가 끊이지 않는다. 서로의 약점을 보완하기 위한 회장, 부회장 러닝메이트 후보군까지 등장하고 있다.

하지만 자리에 빚을 지게 되면 결국 빚을 갚기 위해 자리를 만들 수 밖에 없고, 결국 낙하산 논란도 반복될 수 밖에 없다. 때문에 정치, 정권이 연계된 낙하산 인사를 원천 차단하는 것이 KT 정상화의 첫 걸음이다.

또한 현재의 경영 위기를 극복하려면 차기 CEO는 통신전문가, 조직을 아우를 수 있는 통합형 인물, 산업을 통찰할 수 있는 리더, 즉 1무 3통을 갖춘 인물이 필요하다.  

KT 관계자는 "앞으로 올 CEO는 정치적으로 무관한 인물이었으면 좋겠다"며 "현재의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통신 전문가, 어수선한 조직을 추스릴 수 있는 통합형 인물이 오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by 100명 2013. 11. 11. 14:56
[이데일리 김현아 기자] 검찰이 11일 오전 10시 20분경부터 KT(030200)(31,750원 750 -2.31%) 서초사옥과 자회사 관리를 맡는 김일영 코퍼레이트센터장(사장) 자택, KT가 투자한 중소기업 등 13곳을 추가로 압수수색하고 있다.

검찰은 이석채 회장의 배임·횡령 혐의를 조사하기 위해 1, 2차 압수수색을 한 바 있는데, 이번에 추가 압수수수색을 하면서 임직원들의 불안이 커지고 있다.

KT 관계자는 11일 “10시 20분부터 압수수색이 진행되고 있다”면서 “검찰에서는 13곳이라고 하는데, 일단 서초사옥과 김일영 사장 자택, KT 투자 기업 등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검찰은 KT에서 확보한 압수물을 분석하면서 동시에 회사 임직원들을 잇달아 소환조사하고 있다.

KT에서 대관업무를 맡는 오모 씨와 박모 씨, 임금·복지 업무를 맡은 임원 신모 씨와 이 회장의 비서실장으로 3년간 근무했던 심모 상무, KT OIC의 황모 대표 등이 검찰 조사를 받았다. KT OIC는 이 회장의 사촌인 유종하 전 외무부 장관과 KT가 공동 출자해 세운 회사다. KT 계열사 편입 과정에서 수십억 원의 배임 의혹이 불거져 참여연대가 고발한 바 있다.

검찰은 이들 KT 임직원들을 상대로 이 회장의 배임 및 비자금 조성 혐의를 캐물은 것으로 전해졌다.

한편 KT는 내일 이사회를 열고 이석채 회장 퇴임 일정과 함께 CEO추천위원회 구성 및 일정 등을 논의할 예정이다.

 

by 100명 2013. 11. 11. 14:51

케이블 “젊은층 반영돼 시청률 상승 기대”vs지상파 “측정 방식·기준 불명확… 시기상조”

 

통합 시청률 시행을 앞두고 지상파와 종합편성채널·케이블 방송사가 극심한 온도차를 보이고 있다.

통합 시청률이 시행되면 지금까지 과대평가되던 지상파 시청률과 과소평가되던 케이블 시청률 수치가 뒤집힐 수 있어서다. 이렇게 되면 각사의 광고 수익 및 매체 영향력에도 엄청난 변화가 불가피할 전망이다.

통합 시청률 조사란 기존 고정 TV만 시청률에 반영해 조사하는 것과 달리 미디어 환경의 변화에 따라 유료 다시보기(VOD), 모바일, PC 등을 반영한 시청률 조사 방식이다.

업계는 새로운 플랫폼으로 TV 콘텐츠를 소비하는 층이 젊은 세대인 만큼 통합 시청률이 시행되면 종편과 케이블 방송 시청률이 부쩍 올라가고 스크린 영향력도 커질 것으로 보고 있다.

이에 힙입어 케이블TV 방송사는 통합 시청률 도입에 발벗고 나서고 있다. CJ(99,900원 ▽2,600 -2.54%) E&M의 경우 자체적으로 프로그램과 관련한 뉴스 개수, SNS 반응까지 포함한 통합 시청률을 발표하고 있다. 반면 지상파는 미온적 반응을 보이고 있다. 현재의 시청률 산정 방식에 문제가 있다는 것은 인정하면서도 통합 시청률 도입은 시기상조라는 것.

먼저 기술적인 문제다. 국내 시청률 조사 업체인 닐슨코리아는 PC와 모바일 기기의 로그 기록을 가져와 파악하는 방식이다. TNmS는 음성 인식을 통해 어떤 프로그램을 시청했는지 추적한다.

하지만 닐슨코리아가 TV 서비스 서버에 접근하기 위해선 일일이 사업자의 동의를 받아야 하고, TNmS는 음성을 비교할 라이브러리가 충분히 구축돼야만 통합 시청률을 정확히 추산할 수 있다는 기술적 한계가 있다.

또 VOD 서비스의 경우 본방송 기준으로 언제까지 시청한 것을 시청률에 합산할 것인지 명확한 기준이 없다. 하지만 통합 시청률 조사가 세계적 추세임은 명확하다. 노르웨이·덴마크·스위스 유럽 3개국은 올 1월부터 통합 시청률 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한국, 영국, 중국 등은 도입을 추진 중이다. VOD를 시청률 조사에 포함시키는 나라는 21개국에 이른다.

전문가들은 통합 시청률 도입 여부는 결국 지상파에 달려 있다고 의견을 모은다. 닐슨코리아 황성연 연구위원은 “통합 시청률 산정 방식은 결국 방송사 간 합의의 문제”라며 “미국의 경우 지상파 방송사들이 기술적 문제 등에 적극적이라 진척이 빠르다”고 말했다.

서울대 강남준 교수(언론정보연구소)는 “국내 IT 수준을 고려하면 솔루션은 충분히 개발할 수 있다”면서 “방송사와 광고주, 조사기관 등 정책입안자들이 접점을 찾는 게 관건”이라고 말했다.

by 100명 2013. 11. 11. 14:50

이 회장도, 전자우편서 동반퇴진 뜻 밝혀…친이·친박 낙하산 임원만 50여명 남을 명분없어

 

【중소기업신문=이수정 기자】 사의를 표명한 이석채 KT 회장이 나 홀로 물러나지 않겠다는 의사를 보였다. 자신의 ‘낙하산 사단’도 동반 퇴진해야 한다는 뜻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여 주목된다. 이 회장의 퇴진을 전후하여 KT임원진의 대대적인 물갈이를 중심으로 한 인사태풍이 예견된다.

그이 이런 ‘물귀신 작전’ 지난 3일 사퇴 의사를 밝히면서 임직원들에게 보낸 전자우편에서 읽을 수 있다. 그는 “임원의 수를 20% 줄이고 문제가 제기됐던 고문과 자문위원 제도도 올해 내에 폐지하겠다”고 밝혔다.

왜 이 회장이 자기가 심은 사람을 포함해 임원수를 대폭 감원하겠다는 생각을 했을까. KT 주변에서는 그가 검찰 소환 조사를 받으면서 최대한 KT 안에 우군을 확보하겠다는 의도인 것으로 보인다고 풀이했다. 물론 그가 이미 사의를 표시한 마당에 인사권을 행사할 가능성은 낮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인사권을 휘둘러 내편이 아닌 사람을 먼저 치겠다는 의도로 보인다는 예기다.

   

이 회장이 인력감축을 언급했지만 시행될 가능성은 희박하다. 그러나 이 회장이 인력구조조정을 거론하고 나선 마당에 전문성이나 업무능력에서 많은 문제점을 드러낸 ‘이석채 사단’이 최 우선순위가 될 것임을 말할 나위없다. KT의 임원은 130여명에 이르고 있는데 이중 20%를 줄인다면 26명 정도가 퇴진할 것으로 보이고 그 대부분을 낙하산인사들이 차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누구보다도 박근혜정부와 국정철학공유측면에서 같이 갈수 없는 MB정권출신들은 자리보전을 하기 어려울 전망이다. 이명박 정부에서 청와대 대변인을 지냈던 김은혜 전무가 대표적이다. 이 전 대통령 출범 초기 여성부 장관 후보자였다가 낙마했던 이춘호 사외이사는 김윤옥 여사의 오랜 친구로 김 전무와 같은 신세가 될 것으로 보인다. 청와대 행정관 출신의 장치암 상무, 김규성 KT엠하우스 사장 등이 낙하산 인사로 분류된다.

KT에서 낙하산 인사로 분류되는 사람은 어림잡아  50여명에 육박하는 것으로 추산된. 청와대 비서관 출신의 이태규 전 KT 경제경영연구소 전무와 인수위 인수위원 출신의 허증수 전 사외이사, 인수위에서 전문위원을 지냈던 서종렬 전 미디어본부장 등도 모두 이명박 정부 낙하산 인사들이다. 2007년 대선에서 이명박 대선 캠프 홍보단장을 맡아 박근혜 후보를 비방했다는 이유로 수감생활을 하기도 했던 임현규씨를 부사장으로 영입하기도 했다.

친박인사들도 적지 않다. 이 회장이 자신의 자리보전을 위해 막대한 비용을 들여 영입한 인사들이고 보면 구조조정차원에서 이들의 상당수도 물러나야할 것이란 지적이다. 박근혜 대선 캠프 출신의 홍사덕 전 의원과 김병호 전 의원, 김종인 전 청와대 경제수석 등이 고문이라는 이름으로 억대 연봉을 받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박근혜 캠프에서 미디어팀장을 맡았던 김정관씨는 자회사 KT렌탈에서 본부장을 맡고 있다. 사외이사를 맡고 있는 박병원 국민행복기금 이사장도 친박계 낙하산으로 분류된다.

이 회장의 측근 인사도 수두룩하다. 이들 역시 그동안 KT실적부진을 가져온 사람들이라는 점에서 본인스스로가 남아있기를 고사할는지 모른다. 이 회장의 사촌동생인 이석조씨는 KT렌탈의 고문으로 재직했다. KT스카이라이프 고문을 맡고 있는 석호익씨와 이성해씨는 이 회장이 정보통신부 장관 시절 부하 직원이었던 사람들이다. 정성복 부회장과 남상봉 법무센터장, 박병삼 전무 등 판검사 출신을 대거 영입하기도 했다.

이밖에도 황교안 법무부 장관의 아들 황성진씨가 법무팀에 재직하고 있는 것도 눈길을 끈다. 국가정보원 출신 인사들도 대거 영입했다. 오세현 전무는 오세훈 전 서울시장의 동생이다. 모두 신구 정치권에 직간접적으로 줄을 대거나 사법처리 가능성을 대비해 방패막이로 쓰려는 의도였을 가능성이 크다. 낙하산 임원들은 적게는 7000만원에서 많게는 10억원 이상의 연봉을 받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해관 KT 새노조 위원장은 “이석채씨는 권력에 줄을 대기 위한 보험 성격으로 낙하산 인사를 남발했다”면서 “지난 5년 동안 자살만 26명, KT 노동자들이 숱하게 죽어나갔는데 이석채 낙하산 임원들은 고액 연봉 잔치를 하며 행복한 시간을 보냈다”고 비판했다. 최민희 민주당 의원에 따르면 이 회장 취임 이후 직원 숫자는 3000명, 10% 가까이 줄었는데 임원 수는 공개된 임원만 133명으로 150% 이상 늘어났다.

by 100명 2013. 11. 11. 14:49

 


檢, KT 서초동 사옥·임원 자택 등 13곳 압수수색(종합)

이석채 회장 ‘배임·횡령’ 수사…정관계 인사 로비 의혹도 제기

(서울=연합뉴스) 임주영 송진원 김동호 기자 = KT 이석채 회장의 배임 및 횡령 혐의를 수사 중인 검찰이 KT 사무실과 임직원들의 주거지 등 13곳을 추가 압수수색 중이다.

서울중앙지검 조사부(양호산 부장검사)는 이날 오전 10시부터 KT 서초 사옥과 관계사, 계열사 및 임원 주거지 등 13곳에 대해 동시다발적인 압수수색을 벌이고 있다.

이날 대상지 중 1곳은 앞서 1, 2차 압수수색 당시 자료를 확보했던 곳이며 나머지 12곳은 처음 압수수색을 나간 곳이라고 검찰은 설명했다.

검찰은 이들 KT 사무실과 임직원 자택 등에서 사옥 매각 및 계열사 주식 매입·인수 과정과 관련한 각종 자료와 회계장부, 내부 보고서, 컴퓨터 하드디스크 등을 확보했다.

앞서 검찰은 지난달 22일 경기도 분당의 KT본사와 서울 광화문·서초 사옥, 이 회장을 비롯한 임직원 자택 등 16곳을 1차 압수수색했고 같은달 31일부터 이달 1일 사이에는 분당·서초·광화문 사옥과 임직원들의 사무실 및 주거지 등 8곳을 추가 압수수색했다.

이 회장은 KT 사옥 39곳을 감정가보다 훨씬 낮은 헐값에 매각한 혐의와 ‘OIC랭귀지비주얼’을 계열사로 편입하는 과정에서 주식을 시세보다 비싸게 사들인 혐의, ‘사이버 MBA’를 적정 가격보다 비싼 값에 인수한 혐의, 지하철 스크린광고 사업체인 ‘스마트애드몰’에 과다하게 투자한 혐의 등으로 수사를 받고 있다.

검찰은 이 회장이 일부 임직원에게 급여를 과다 지급한 뒤 이를 돌려받는 방식으로 비자금을 조성한 의혹도 수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일각에서는 이 회장이 이렇게 조성한 비자금을 정관계 인사에 로비자금으로 썼다는 의혹이 제기된 상태이다.

검찰은 KT에서 확보한 압수물을 분석하면서 동시에 회사 임직원들을 잇따라 소환조사 중이다.

KT에서 임금·복지 업무를 맡은 임원 신모씨와 이 회장의 비서실장으로 3년간 근무했던 심모 상무, KT OIC의 황모 대표 등이 검찰 조사를 받았다. KT OIC는 이 회장의 사촌인 유종하 전 외무부 장관과 KT가 공동 출자해 세운 회사다. KT 계열사 편입 과정에서 수십억원의 배임 의혹이 불거져 참여연대가 고발한 바 있다.

검찰은 이들 KT 임직원들을 상대로 이 회장의 배임 및 비자금 조성 혐의를 캐물은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은 압수물 분석과 자료 검토, 참고인 조사가 일단락되면 이 회장을 소환해 배임 혐의와 비자금 의혹에 대해 조사할 방침이다.

한편, 검찰은 미래창조과학부가 무궁화 위성 불법 매각 논란과 관련해 이 회장을 고발할 계획이라고 밝힘에 따라 고발장이 들어오면 함께 수사하는 방안을 고려 중이다.

by 100명 2013. 11. 11. 14:47



KT가 터넷 전화를 HD 음질로 끌어올렸다. KT는 HD 통화를 쓰던 번호 그대로 쓸 수 있는 ‘올레 인터넷전화 HD폰’을 출시한다고 11일 밝혔다.

KT는 국내 최초 'HD 보이스'를 도입하여 바로 옆에서 대화하듯 생생한 HD통화를 지원한다. 또한 쓰던 번호 그대로, 올레 인터넷 결합 시 기본료를 월 1000원에 제공하고, 여기에 올레 집전화까지 함께 쓰면 기본료 부담 없이 즐길 수 있다.

HD 보이스란, 휴대전화의 고품질 통화기술을 적용하여 인터넷전화의 음성 통화 품질을 원음에 가까운 생생한 음성으로 전달하는 서비스를 말한다.

특히, 단말기에는 독일의 레드닷 및 미국의 IDEA 등 6회에 걸쳐 글로벌 디자인 어워드를 수상한 KT의 PI(Product Identity) 디자인을 적용됐고, 2.4인치의 화면과 262K 컬러의 LCD를 탑재했다.

이필재 KT 프로덕트2본부 이필재 본부장은 “국내 최초 HD 통화를 지원하는 인터넷 전화를 월 1,000원 혹은 무료로 더욱 생생하게 즐길 수 있다”며 “kt인터넷을 사용하면서 저렴하게 유선전화를 쓰고 싶은 고객들에게 큰 혜택이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by 100명 2013. 11. 11. 14:44
KT (32,500원 상승500 -1.5%)가 오는 12일 이후 CEO 직무대행체제로 전환할 것으로 보인다.

10일 통신업계에 따르면, KT는 오는 12일 오후 2시 KT 서초사옥서 긴급 이사회를 열고 이석채 KT회장의 퇴임과 차기 CEO 선정절차 등을 논의할 예정이다.

이 회장은 이날 이사회에서 사직서를 제출하고 즉각 경영일선에서 손을 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이 회장은 사임의사를 밝히면서 "새 회장이 일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고 물러나겠다"는 의지를 피력하기도 했다.

그러나 그 이후에도 이 회장 측근에 대한 검찰 수사가 이어지는 등 상황이 급박하게 돌아가면서 즉각적인 사퇴 결심을 굳혔다는 관측이다. 그는 KT 임원 축소와 주주배당 등을 자신의 마지막 경영과제로 제시했지만, 차기 CEO에게 오히려 부담만 가중시킬 수 있다는 판단도 깔려있다는 분석이다. 이 회장이 지난 5일부터 휴가를 낸 것도 이같은 맥락으로 해석된다.

이 회장이 사임 의사를 밝힌 지난 2일 이후 KT는 사실상 경영 공백 상태다. CEO 주재 경영회의들이 줄줄이 무산되거나 연기되면서 사내 현안에 대한 주요 의사결정이 올스톱 됐다. 지휘 체계가 흔들리면서 KT 본사는 물론 주요 계열사 CEO, 관련 임원들까지 사실상 손을 놓고 있다는 내부 직원들의 목소리도 있다.

이같은 경영공백 상태를 최소화하기 위해 KT 이사회는 이날 이 회장 사표를 즉시 수리하고 CEO 직무 대행체제로 전환하는 쪽에 무게를 두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경우, 김일영 사장(코퍼레이션센터장)이 신임 CEO 선출 전까지 대표이사 직무 대행을 맡게 될 가능성이 높다. KT 정관에는 CEO 부재시 직계 순에 따라 직무대행을 맡도록 돼 있는데, 김일영 사장이 1순위다. 그러나 2순위인 표현명 사장(T&C부문장)이 직무 대행을 맡을 가능성도 없지 않다. IPTV법에 따라 KT는 외국인 국적 소유자가 회사 대표이사를 할 수 없는데 직무대행의 경우에도 해당이 될 수 있는 지 법 해석 논란이 있어서다.

이와는 별개로 KT 이사회가 직무대행 체제 말고 대표이사 사장을 새롭게 선출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이 경우, 대표이사 사장체제로 일단 경영 안정화를 꾀하는 동시에 시간을 두고 차기 CEO 선출에 신중을 기하겠다는 판단이 나올 경우의 시나리오다.

한편, 이날 이사회에서 차기 CEO 선출을 위한 CEO 추천위원회가 구성될 가능성도 점쳐지고 있다. CEO추천위원회에는 김응한 미시간대 석좌교수, 이춘호 EBS 이사장, 송도균 태평양 고문, 이현락 세종대 교수, 박병원 은행연합회 회장, 성극제 경희대 국제대학원 교수, 차상균 서울대 전자정보공학부 교수 등 7명의 사외이사가 참여한다. 사내이사로는 김일영 사장과 표현명 사장 중 1인이 참여한다

 

by 100명 2013. 11. 11. 07:35
앞으로 알뜰폰 가입고객들도 휴대폰을 통한 '본인 인증'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그동안 SK텔레콤 (223,500원 상승2000 -0.9%) 등 일부 이동통신사는 법 규정을 이유로 자사망을 사용하는 알뜰폰 이용자들에게 본인 인증서비스를 제공하지 않아왔다.

하지만 정부는 일종의 유권해석을 통해 이동통신사들로 하여금 알뜰폰 이용자에게 본인 인증 서비스를 해 줄 수 있는 길을 열어줬다.

방송통신위원회는 24일 제39차 전체회의를 열고 이같은 내용을 의결했다.

의결안에 따르면 알뜰폰 사업자들은 이동통신사를 통해 본인인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그동안은 알들폰 사업자들은 영세사업자로 본인확인기관 기관 지정 요건을 충족하지 못해 본인 인증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해왔다.

이에 따라 일부 알뜰폰 이용자들은 본인 인증 서비스를 이용하지 못했다. KT (32,500원 상승500 -1.5%)LG유플러스 (11,550원 상승100 0.9%)는 알뜰폰 고객들도 통신사 고객과 같은 망을 사용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해 본인 인증 서비스를 제공한 반면 SK텔레콤은 알뜰폰 사업자들이 주체가 되면 법에 위반된다는 이유로 본인 인증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아왔다.

하지만 앞으로는 이통사들이 알뜰폰 사업자를 대신해 본인인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어 고객들의 불편도 줄어들 전망이다. 대신 알뜰폰 사업자들은 이용고객들에게 정보 제공 동의서를 받고 휴대폰 화면표시창에 이같은 내용을 명시하면 된다. 본인인증 서비스 제공 주체는 이통사가 되며, 보안 등 이에 관련된 모든 책임도 이통사가 지게 된다.

본인 확인 서비스 문제가 해결되면서 알뜰폰 시장도 더욱 확대될 전망이다. 그동안 본인 인증 문제가 알뜰폰 활성화에 늘 걸림돌로 작용해 왔기 때문이다. 단말기와 요금제가 저렴하더라도 본인 인증 서비스를 이용하지 못하면 불편함이 커서다. 최근 모바일 결제 등 휴대폰의 활용 범위가 넓어지고 보안이 강화되면서 휴대폰을 통한 본인 인증 활용이 더욱 늘어나는 추세기 때문이다.

한편 올 8월 말 기준으로 알뜰폰 가입자 수는 203만명으로 200만명을 돌파했다. 우체국에 이어 이마트까지 알뜰폰 판매에 나서면서 알뜰폰 가입자 수는 더욱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by 100명 2013. 11. 11. 07:34

소유·기술규제 풀어야 케이블TV 숨통 트인다
사업자 권역 제한 폐지해야 M&A 등 대형화 가능하고
인터넷 전송 등 장벽 없애야 융합서비스·스마트화 촉진
지상파 재송신료 시청료 두번 받는셈… 의무재송신 필요

"정부는 케이블TV의 발전을 위해 소유규제ㆍ기술규제를 반드시 풀어줘야 합니다. 케이블사업자의 권역 소유제한을 폐지해야 복수유선방송사업자(MSO) 간 인수합병(M&A)을 통한 대형화가 가능합니다. 그래야 투자가 이뤄지고 경쟁력이 생깁니다. 또 인터넷 전송제한 등 기술장벽을 없애야 빅데이터ㆍ클라우드 등 융합서비스와 스마트화가 촉진됩니다. 유료방송 서비스를 하는 케이블TV와 인터넷TV(IPTV), 위성방송 등은 똑같이 규제하는 게 맞습니다."

양휘부(71ㆍ사진) 한국케이블TV방송협회 회장은 10일 서울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규제완화와 공정경쟁'을 여러 차례 강조했다. 업계의 생존과 직결된 문제라는 것이다.

양 회장은 할 얘기가 많았고 때때로 목소리에 힘이 들어갔다. 시장상황과 경쟁자들은 빠른 속도로 변하고 발전하면서 21세기로 나아가고 있는데 케이블TV는 각종 규제에 발목이 묶여 20세기에 머물러 있다는 안타까움 때문이었다.

양 회장은 케이블TV를 다윗에, IPTV 결합상품을 판매하는 이동통신사를 골리앗에 비유했다. "케이블 시장규모는 연 매출 2조5,000억원으로 통신사의 연간 마케팅비 수준에 그칠 정도로 작지만 시청자가 요구하는 서비스 수준의 차이는 없다"며 "이통사와 경쟁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서비스 투자와 신기술 개발이 이뤄져야 하고 그러기 위해서는 대형화가 필수"라고 주장했다. 디지털 전환을 예로 들었다. 10만~20만명 가입자를 가진 소규모 유선방송사업자(SO)들만 있어서는 총 투자비 7조원을 감당하기 힘들다는 설명이다. 결국 이통사와 경쟁하기 위해서는 덩치를 키워야 하는데 '정해진 권역의 3분의1 이상을 소유할 수 없다'는 규제에 몸이 묶인 상황이다. 양 회장은 "케이블사업자의 권역 소유제한은 진작 폐지됐어야 할 조항"이라며 "소유제한이 폐지되면 M&A를 통해 5~6개 대형 사업자가 케이블 시장을 주도하면서 이통사와 경쟁하는 구도가 만들어질 것"이라고 예상했다. 그는 "소유규제가 풀리면 업계 3위인 C&M의 매각작업도 빨라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양 회장은 소유제한과 함께 기술규제를 시급히 풀어야 할 과제로 꼽았다. 융합서비스가 속속 등장하고 시장 간 장벽이 허물어지는 상황에서 케이블TV는 기술규제라는 높은 장벽에 가로막혀 있기 때문이다. 그는 "케이블이 좀 더 똑똑해지면 시청자들도 늘어나고 앱을 활용해 앉은 자리에서 편하게 많은 것을 할 수 있다"며 "미국의 컴캐스트처럼 (셋톱박스를 활용해) 홈시큐리티 등 다양한 홈게이트웨이 서비스도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추후에는 클라우드를 통해 더 많은 서비스를 할 수 있을 것으로 확신했다. 케이블TV의 미래 먹거리는 스마트화에 있다는 것이 양 회장의 생각이다.

문제는 케이블TV의 인터넷 전송이 막혀 있다는 것이다. 그는 "인터넷 기반이 돼야 다양한 서비스가 가능한데 케이블TV는 주파수(RF) 방식만 허용됐다"며 "정부가 이것을 좀 빨리 풀어줘야 융합서비스, 빅데이터 등 종합서비스가 제대로 되고 스마트화도 촉진된다"고 지적했다. 그는 "기술적으로는 문제가 없는 만큼 법 테두리 안에서 규제를 풀어달라는 것"이라며 "새롭고 다양한 융합서비스가 나올 수 있도록 지금부터 규제완화 캠페인을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동일시장에 대해 이중잣대를 적용하는 데 대해서는 "할 말이 많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현행 방송법은 케이블TV 사업자에 대해 전체 케이블 가입자의 3분의1(최대 500만명) 또는 전체 권역의 3분의1(최대 25개)을 초과할 수 없도록 했다. 반면 IPTV는 전체 유료방송시장을 기준으로 3분의1을 적용하고 위성방송은 한 곳만 있어 별도의 규제가 없다. 이 때문에 공정경쟁을 위한 단일잣대가 시급하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양 회장은 "전세계적으로 KT처럼 (IPTV와 위성방송이라는) 두 개의 플랫폼을 갖고 있는 사업자는 없다"고 운을 뗀 뒤 "위성방송은 가입자 제한이 없기 때문에 IPTV와 결합상품을 만든 후 위성방송을 앞장세워 팔면 규제는 의미 없게 된다"고 말했다. 서로 다른 유료방송 매체에 대해 각각의 규제를 적용하다 보니 결과적으로 규제에 구멍이 생겼다는 설명이다. 그는 "케이블ㆍIPTVㆍ위성이 같은 시장에서 경쟁하는 만큼 서로 다른 규제를 적용 받는 현재의 불공정한 상황은 하루빨리 개선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양 회장은 또 "미국도 케이블사업자의 시장독과점 방지를 위해 오랜 기간 점유율 규제를 유지했다"며 "자본력을 동원한 약탈적 가입자 뺏기는 창조경제에도 역행하는 것으로 점유율 규제개선을 주저할 이유가 없다"고 덧붙였다. 특히 "KT스카이라이프가 결합상품ㆍ보조금 등을 통해 저가로 디지털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프로그램 제작사들에 콘텐츠 값을 제대로 주고 있지 않아 방송산업을 황폐화시키고 있다"고 주장했다.

사실 방송 플랫폼에 대한 이중규제 적용과 기술규제는 동전의 양면과 같다. 전문가들은 모든 유료방송 매체에 대해 칸막이를 없애고 같은 규제를 적용하면 매체를 구분하는 기술장벽도 무의미해지는 만큼 없어질 것으로 본다.

'슈퍼갑'으로 불리는 지상파와의 재전송료 싸움도 힘겹다. 현재 지상파와 유료방송사업자 간 재송신료 문제는 사업자 간 협상으로 이뤄진다. 법적 규제나 제도가 없어 사업자 간 의견이 첨예하게 엇갈릴 때는 케이블TV의 지상파 송출중단이라는 블랙아웃도 발생한다.

양 회장은 '전면 의무재전송'을 주장하지만 지상파들은 한치도 물러설 기미가 안 보인다. 협회의 논리는 간단하다. 국가의 자산인 주파수를 무료로 쓰면서 국민들이 낸 시청료로 운영되는 공영방송사가 재전송을 이유로 비용을 받는 것은 유료방송 가입자에게 시청료를 두 번 받는 것과 같다는 것이다. 이 때문에 "공영방송사 운영채널은 전면 의무재송신을 하고 SBS와 같은 민영방송 채널만 비용을 받아야 한다"는 것이 양 회장의 소신이다.

양 회장은 "종합편성채널도 마찬가지"라며 "의무편성채널, 지상파에 인접한 황금채널 부여 등 각종 특혜를 받았는데 프로그램 사용료까지 달라는 것은 이치에 맞지 않다"고 반박했다.

초고화질(UHD)방송에 대해서는 낙관했다. 그는 "UHD방송이 아직 태동기지만 가전과 방송장비 분야에서는 이미 치열한 전쟁터가 형성됐다"며 "TV 보급이 많아지면 자연히 방송 콘텐츠 수요가 증가해 머지않아 UHD콘텐츠 제작이 대세가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UHD방송은 케이블TV가 선도할 수 있다고 확신했다. 지난 7월 시범방송을 시작했고 내년에는 UHD 전용채널을 만들어 각 가정에서 직접 UHD방송을 볼 수 있게 할 계획이다. 양 회장은 "이미 해외 유수의 가전사와 방송사업자들이 UHD방송 환경 조성에 적극적으로 뛰어들었다"며 "우리의 방송 콘텐츠가 글로벌 시장을 주도하려면 플랫폼은 물론이고 가전사와 방송사들도 UHD 활성화를 위해 속도를 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UHD 등 새로운 시도와 알뜰폰(MVNO), 초고속인터넷 등 사업영역 확장은 케이블TV의 생존이 걸린 문제다. 양 회장은 "방송미디어 시장이 규모화ㆍ글로벌화로 발전하는 상황에서 변화의 파도를 넘지 못하면 가라앉는 것은 시간문제"라며 "미디어산업은 아군과 적군의 구분이 없고 잠재적 경쟁자와도 손을 잡고 세계로 나아가 위기 속에서 기회를 찾아야 한다"고 조언했다. 전통적 TV시장의 개념이 깨지고 기기에 따른 차별이 사라지는 상황에서 가전ㆍ포털ㆍ인터넷 서비스 등 다양한 분야의 기업과 협력해 살길을 찾자는 것이다. 모바일과 개인화된 서비스가 주류로 자리잡은 새로운 방송환경에서는 끊임없이 변신하는 업체만이 살아남을 수 있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 He is


▲1943년 부산 ▲1962년 경남고 ▲1966년 고려대 정치외교학과 ▲1983년 미국 미주리주립대 언론학석사 ▲2001년 고려대 언론대학원 최고위과정 이수 ▲1970년 대한일보 기자 ▲1973년 KBS 정치부 기자 ▲1978년 한국기자협회 부회장 ▲1980~1985년 KBS 강제 해직 ▲ ▲1992년 KBS 홍콩지국장 ▲ 1993년 KBS 베이징총국장 ▲1995년 KBS 보도제작국장 ▲1997년 KBS 해설위원장 ▲2002년 이회창 대통령후보 공보특보 ▲2003~2006년 방송위원회 상임위원 ▲2006년 황조근정훈장 ▲2007년 이명박 대통령후보 방송특보단장 ▲2008~2011년 한국방송광고공사 사장 ▲2011년 장한 고대언론인상 ▲2012년~ 한국케이블TV방송협회 회장


돌직구 마다 않는 정면돌파형… 업계 구원투수로


■ 양휘부 회장은

박민주기자




"하다 보니 방송인생 40년이 넘었습니다. 뭘 하던 열정을 갖고 하니까 안 되는 게 없다는 생각이 듭니다. 열정과 긍정, 케이블TV 업계도 그런 식으로 했으면 좋겠습니다."

40년을 한결같이 방송과 함께한 양휘부 한국케이블TV방송협회 회장은 서울경제신문과의 인터뷰 내내 열정적이었다. 70대가 아닌 40~50대의 에너지였다. 인터뷰를 마치면서도 "항상 뭐든지 패션(열정)이 있어야 한다"는 소신을 다시 한번 강조했다.

그는 케이블TV 업계도 열정과 긍정의 힘으로 좋아질 것으로 낙관했다. 양 회장은 "케이블 업계에 와서 보니까 열정이 모자란 부분도 있었다"며 "열정을 북돋고 긍정적으로 만드니까 달라졌다는 생각이 든다"고 말했다. "20년이 돼가는 케이블TV 업계도 긍정적 마인드로 멀리 보고 성장해나갈 것"을 당부했다.

양 회장은 열정과 긍정으로 어려운 문제를 하나 둘씩 풀어왔다. DCS(접시 없는 위성방송)에 대해 불법 판정을 받아낸 것도 그중 하나다. 양 회장은 "새로운 기술을 반대한 것이 아니라 법 절차를 어긴 데 대해 문제를 제기한 것"이라며 "법 테두리 내에서 제대로 된 서비스가 제공돼야 한다"고 설명했다. 또 "방송계에 종사하는 사람으로 후배들과 산업발전을 위해 여러 가지 일을 하고 싶다"며 "업계 이슈를 하나씩 풀어가는데 재미도 쏠쏠하다"고 덧붙였다.

방송에 대한 양 회장의 애정은 남다르다. "방송은 행복을 실어 나른다"는 것이 그의 방송철학이다. 케이블TV도 마찬가지다. 그는 "인간만사 희로애락이 다 들어가 있는 게 방송이라고 보면 된다"며 "케이블TV도 희로애락을 전달하는 매개역할을 하는데 협회가 이를 지원할 수 있어 행복하다"고 즐거워했다.

그는 지난해 2월 취임하면서 "케이블TV 업계의 구원투수"를 자처했다. 강인한 인상과 솔직한 말투로 돌직구를 던졌다. 위기가 닥치거나 문제가 생겼을 때도 거침없이 정면승부를 택했다. 양 회장은 "협회에 와서 보니까 케이블TV 업계의 위기가 더 크게 느껴졌다"며 "현안들은 산적해 있는데 조직운영의 효율성이 떨어지다 보니 이를 바로잡기 위해 직원들을 다그쳤다"고 고백했다.

돌직구를 마다 않는 양 회장은 자신에게도 엄격한 잣대를 적용한다. 협회에 지원할 때 스스로 후보들 간 경쟁 프레젠테이션을 제안했다. 케이블TV 업계를 위해 어떻게 기여할지 포부를 들어보고 결정하라는 주문이었다. 양 회장은 "당시 반대하던 회원사들도 있었지만 공모절차를 거치면서 나를 다르게 보기 시작했다"며 "협회 직원 한 명을 채용할 때도 정당한 경쟁절차를 통해 인재를 선발한다는 원칙을 준수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양 회장은 기술발전에 적응하기 위한 끊임없는 변화를 주문한다. 바뀌는 것에 적응하지 못하면 생존도 못하기 때문이다. 양 회장 자신 역시 칠순의 나이에 스마트 기기 사용을 주저하지 않는다
by 100명 2013. 11. 11. 07:33


KT가 12일 진행할 예정인 임시 이사회를 앞두고 이석채 회장의 후임을 정할 CEO추천위원회 구성에 업계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특히 1명이 배정된 사내이사 자리를 누가 맡을 주목된다. 대상자는 김일영 사장과 표현명 사장.

오는 12일 열리는 KT 임시 이사회는 이석채 회장의 사표를 수리하고, CEO 대행 선출, CEO추천위원회 구성 등의 절차를 진행할 계획이다. KT 정관에 따르면, 회장 후보를 추천하기 위해 CEO추천위원회를 두며, 사외이사 전원과 사내이사 1인으로 구성한다. 단, 위원과 회장 후보는 겸할 수 없다.

현재 KT의 사내이사는 김일영 코퍼레이트센터장(사장)과 표현명 텔레콤&컨버전스부문장(사장) 2명으로, 이 중 1명이 사내이사로서 CEO추천위에 참가해야 한다.

그러나 김일영 사장은 이석채회장에 대한 검찰조사와 관련, 출국금지 조치가 내려진 상황 등을 고려할 때 사추위멤버로 추천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김 사장은 KT 그룹 계열사 경영을 총괄하고, 특히 최근 논란이 된 위성사업 부문장도 겸임하고 있다. 김 사장은 이석채 회장의 배임혐의와 관련해 핵심 인물로 수사를 받고 있으며, 산업통상자원부 역시 무궁화위성 매각과 관련해 KT를 대외무역법 위반혐의로 검찰에 수사를 의뢰한 상태다.

따라서 표현명 사장이 추천될 가능성이 많다. 그러나 차기 회장을 노리고 있는 표 사장 자신이 고민이 많은 것으로 알려졌다. 문제는 CEO추천위원이 될 경우 회장 후보에서 자동 탈락되기 때문이다. 또 이 회장의 고등학교 동문인 그는 두터운 신임아래 이동통신사업을 총괄해왔다. 따라서 `이석채 사람'는 평가와 지난해부터 급격히 줄어든 이동통신가입자이탈에 대한 책임론도 부담이다.

미래창조과학부의 공식 통계에 따르면, KT는 표 사장이 이동통신사업을 총괄해온 지난 2011년 말부터 올해 9월 현재까지 24만명의 가입자를 잃었다. 이는 알뜰폰(MVNO)을 포함한 수치로, 알뜰폰을 제외한 실제 KT 가입자 손실로 따지면, 2011년 말부터 올해 9월까지 100만명 가량을 빼앗긴 것으로 나타났다.
by 100명 2013. 11. 11. 07:30

르완다는 코이카가 선정한 26개 ‘중점협력국’ 중 하나로 현재 단원 112명이 활동하고 있다. 중점협력국은 공적개발원조(ODA)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일반 협력국과는 별개로 지정해 집중 지원하는 국가를 뜻한다. 르완다는 우리나라에서 파견한 원조 인력 규모로는 캄보디아에 이어 두 번째로 크다. 굿네이버스 등 비정부기구(NGO) 인력을 제외하고 순수 코이카 단원만 따지면 르완다가 1위다. 파견 단원들은 20대부터 60대까지 다양한 세대로 구성돼 있다.

김 소장은 여기서 2년 반째 단원들을 이끌고 있다. 그는 “르완다는 역사상 우리와 하등의 관계가 없고 자원도 부족하며 KT 외에는 진출한 우리 기업도 없지만 최근 행정 투명성, 인류 보편 가치의 실현 차원에서 국제적으로 조명을 받고 있다”며 “일방적인 원조가 아니라 현지인들과 같이 가는 방식으로 사업을 이끌고 있다”고 말했다.

코이카가 역량을 집중하고 있는 분야 중 하나는 정보통신기술(ICT)이다. 르완다 정부에서 먼저 우리의 선진 ICT에 흥미를 갖고 ‘적극적으로 한국을 배우겠다’고 제안했다. 김 소장은 “르완다에서는 코리아, 코이카, KT를 3K라고 묶어서 부를 정도로 ICT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며 “코이카도 직업훈련 사업의 일환으로 ICT 코스를 운영하고 있고 후보 사업으로 e택스, e커스텀, e클래스 등을 고민하고 있다”고 밝혔다.

특히 ICT 훈련 사업은 KT의 IT서포터즈가 현지에 진출하면서 탄력을 받게 됐다. 2007년부터 활동한 KT의 임직원 봉사단체인 IT서포터즈는 6개월 단위로 서포터즈를 르완다에 보내 ICT 활용 교육을 진행한다. 이번에 르완다 롱텀에볼루션(LTE) 사업 진출과 함께 KT는 김수연 팀장 등 3명을 파견했다.

르완다 사무소에서 만난 김 팀장은 “돈만 버는 기업이 아니라 사업 지역에서 ICT 저변을 확대하는 일까지 해야 한다는 사명감으로 활동하고 있다”며 “그 기간에 현지 ICT 강사를 키워 내고 그 강사들이 직접 ICT 교육을 할 수 있는 선순환 구조를 꼭 만들고 싶다”고 말했다. 김미화 매니저는 “6개월은 정말 짧지만 작은 바람이라면 소수의 사람들이라도 멀티미디어 분야까지 접할 수 있도록 돕고 싶다”며 “큰 꿈을 가지고 도전하면 할 수 있다는 희망을 가지도록 돕겠다”고 포부를 전했다

by 100명 2013. 11. 11. 07:27

[강호성, 허준, 정미하기자] 'CEO 리스크'를 겪고 있는 KT가 휘청이고 있다.

직원들은 인력 구조조정에 대한 걱정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사퇴의사를 밝힌 이석채 회장을 비롯한 경영진은 '부적절한 경영' 협의로 소송전을 면치 못하게 됐다. 2013년 겨울 KT의 '시계'에 먹구름이 잔뜩 끼어 있는 셈이다.

KT 관계자는 10일 "CEO사퇴 등 여러 일들이 있지만, 대체로 차분한 가운데 회사의 결정을 지켜보자는 분위기"라고 말했지만, 회사 안팎의 분위기는 뒤숭숭하기만 한 상황이다.

◆"사퇴하면서 구조조정을?"

직원들은 지난 3일 이석채 회장이 사퇴 이메일을 직원들에게 보내면서 언급한 '경쟁력' 강화방안의 불똥이 어디로 튈지 걱정하고 있다.

이 회장은 임원의 수를 줄이고 고문과 자문위원제도도 폐지하겠다는 의지를 밝히는 동시에 "경쟁사와 인건비 격차를 현재 1조5천억원 수준에서 1조원까지 줄여야 살아남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 회장은 임원의 수를 20% 줄이고 그간 문제가 제기된 고문과 자문위원 제도도 올해 내에 폐지하겠다고 덧붙였다.

이에 따라 우선적으로 130명 안팎에 달하는 임원 가운데 이미 이 회장의 '블랙리스트'에 포함된 임원들에 대한 정리에 가속도가 붙을 것으로 예상된다.

문제는 임원구조조정을 넘어 일반 직원대상의 구조조정이 뒤따를 가능성이 적지 않기 때문. 임원감축 만으로는 인건비 격차를 줄이기가 어렵다.



이에 대한 노조의 입장은 분명해 보인다. KT노조 차완규 정책기획실장은 "나가는 CEO가 임원정리나 인건비 감축 등을 언급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으며, 이는 새로 오는 CEO가 결정해야 할 사안"이라면서 "이 회장의 조직개편이나 구조조정은 절대 받아들일 수 없다"고 강조했다.

그럼에도 직원들의 마음은 복잡한 상황이다. KT 관계자는 "경영진의 눈에 띄지 않는 것이 '베스트'라며 자회사 임원들은 본사에 오지도 않는다고 한다"면서 "일반 직원들도 겉으로는 내색하지 않지만 많이 부담스러워 한다"고 말했다.

◆KT와 협업 신뢰도 추락

이런 분위기는 진행중인 사업에도 악영향을 주고 있다.

KT 관계자는 "내부에서는 통신영역뿐만 아니라 타산업과 추진하던 사업에도 영향을 끼쳐 당분간 새로운 제휴나 신사업 추진이 어렵다는 분위기"라고 전했다.

실제로 KT와 솔루션을 협력중인 업체 관계자는 "가능한 KT와 협업관계를 지속하는 것이 우리에겐 큰 이익이지만, KT와의 협력에 제동이 걸려 사업중단을 염두에 두고 다른 기업을 타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금융계 관계자는 "CEO가 관심 있게 보고 투자에 적극적이지 않으면 어떤 사업이든 활성화가 어렵다"며 "KT 상황이 급변하며 우리 쪽(금융계)보다 '갑을관계'인 협력업체들의 부담이 더 심할 것"이라고 말했다.

업계에서는 통신을 잘 모르는 인물이 경영의 방향성을 넘어 전문성이 필요한 영역까지 직접 관여하면서 주파수 정책 등 경쟁력 확보가 필요한 부문에서도 뒤쳐졌다는 얘기도 나온다.

국책 기관의 고위 관계자 역시 "재벌사 사장이나 부처 고위관료라서 된다 안된다를 말할 것이 아니라 전문가냐 아니냐가 그래서 더욱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반복되는 논란, 외부 시선도 차가워"

CEO가 불명예퇴진하고 있지만 외부의 시선은 더욱 차가워지고 있다.

KT 소액주주들이 과징금 납부와 노동자퇴출 프로그램으로 인한 이미지 실추 등의 책임을 묻겠다며 이석채 KT 회장 등 전현직 KT 최고경영자(CEO)를 상대로 손해배상을 청구하는 주주대표소송을 제기한 상황이다.

고소인들은 KT가 민영화된 2002년 이후 불법영업으로 감독기관으로부터 과징금 1천187억원을 부과받았고 노동자들에 대한 불법퇴출프로그램(일명 CP)을 가동해 노동인권을 탄압을 일삼고 기업 이미지를 실추시켰다는 주장을 하고 있다.

이들은 여기에다 이 회장의 임기 이후 불거진 부동산 저가 매각 및 인공위성 헐값 매각 혐의에 대해서도 소송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이와 관련, 미래창조과학부 역시 무궁화3호 위성을 사전에 신고하지 않고 홍콩 ABS사에 매각한 것이 불법이라고 판단하고 이 회장을 검찰에 고발할 예정이다. 아울러 이달 중 해당 주파수 할당 취소를 포함한 행정처분도 내릴 계획이다.

KT는 무궁화 위성 매각에 불법은 없었다며 해명하고 있지만, 미래부는 이같은 해명에 대해서조차 불쾌해하고 있다.

국책 기관의 고위 관계자는 "국내 통신부문의 맏형인 KT가 민영화 이후 외풍에 시달리며 CEO 불명예 퇴진이 반복되고 있다"며 "'망가진' KT를 정상화시키고 외풍을 막아 직원들의 사기를 회복시키는 것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by 100명 2013. 11. 10. 13:10


(서울=연합뉴스) 설승은 기자 = 지난달 알뜰폰 사업에 뛰어든 이마트가 이번엔 자체 개발한 피처폰을 내놨다.

이마트는 업계 최초로 자체 개발한 피처폰 '지오리드(GEOLID SK76G1)'를 11일부터 전국 이마트 알뜰폰 매장과 온라인(mobile.emart.com)에서 판매한다고 10일 밝혔다.

판매가격은 7만9천원(부가가치세 포함·유심 별도)이다. 이마트 알뜰폰 표준 요금제(월 기본료 9천원) 24개월 약정하면 무료다.

이마트가 기획하고 SK의 중국 자회사 에스케이엠텍(SKMtek)이 생산했다. 단말기 사후 서비스(AS)는 TG삼보가 담당한다.

WCDMA(3G)와 GMS(2G)의 두 가지 심(SIM)을 지원해 해외에서는 현지 심 카드를 장착하면 국내번호와 함께 동시 사용할 수 있다.

이마트는 이 제품이 중장년층용 '효도폰', 청소년 '안심폰', 업무용 '세컨드폰' 수요를 맞출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한편 이마트는 갤럭시노트3와 베가시크릿노트 등 LTE폰 5종과 3G 스마트폰 1종, 3G 피처폰 3종을 판매하고 있다. 이달 중 갤럭시 그랜드와 옵티머스 G프로도 들여오는 등 최신 단말기도 확대한다.

한우석 이마트 브랜드전략팀장은 "가계 통신비를 줄이기 위해 지난달 선보인 알뜰폰이 최근 시장 1·2위를 다투고 있다"며 "단말기 부담도 낮추고자 자체 개발한 피처폰도 선보이게 됐다"고 말했다.

by 100명 2013. 11. 10. 08:23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위원이자 민주당 을지로위원회 현장조사 팀장인 은수미 의원.

▲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위원이자 민주당 을지로위원회 현장조사 팀장인 은수미 의원.

은수미 민주당 의원이 “노동자, 청년 알바들의 현실을 볼 때 정부가 (노동자들을) 연쇄살인 하고 있다는 느낌이 든다”면서 박근혜정부의 노동 정책을 정면으로 비판하고 나섰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위원이자 민주당 을지로위원회 현장조사 팀장인 은수미 의원은 8일 저녁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다큐 ‘산다’(감독 김미례) 시사회에 참석해 관객과의 대화를 통해 이 같은 입장을 밝혔다. ‘산다’는 KT 해고노동자들의 애환과 노동 현실을 다룬 다큐로, 은 의원은 해당 다큐에 출연해 KT의 ‘노동자 탄압’ 실태를 고발했다.

은 의원은 현 정부의 노동 정책과 관련해 “이명박, 박근혜 정부로 이어지면서 (노동 관련) 구조의 문제가 더 심각해지고 그것을 깨는 개인의 행위는 점점 더 힘들어지고 있다”며 “의원도 박근혜정부에 대해서 공포를 느낀다. 이명박 정부보다 심하게 느낀다”고 밝혔다.

은 의원은 “박근혜정부는 있는 노조마저 파괴하고 있다”면서 “무력감을 바이러스처럼 퍼뜨리고 있다”고 꼬집었다. 노동자의 삶을 피폐하게 하는 구조가 공고해지고 있는데 정부는 방관하는 것을 넘어서 노조를 오히려 ‘공격’하고 있다는 것이 은 의원의 진단이다.

이에 대해 은 의원은 이 같은 ‘노동 탄압’ 구조를 여실히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로 KT를 언급했다. 은 의원은 “정규직이든 비정규직이든 들들 볶고 학살시키는 최악의 현장이 KT”라며 “IMF 이후 한국 기업의 모습을 보여주는 매우 전형적인 곳”이라고 지적했다.

은 의원은 “2009년까지 10년 동안 2만 6555명이 KT에서 해고됐는데, KT 직원이 3만 명인데 10년 간 2만여 명이 해고되는 것은 드문 일”이라며 “자료를 보니 사망자도 많았고 자살자도 많았다”고 덧붙였다. 올해만 21명의 KT 직원이 사망했고 자살자만 8명에 이른다. 지난 2008년 이석채 KT 회장 취임 이후 이 같은 사망률은 과거보다 대폭 늘었다.  

은 의원은 “KT의 주주 60%는 외국인인데 외국인 주주들에게 배당이 되고 그 나머지를 가지고 노동자들에게 가장 후순위로 임금이 나갔다”며 “그러면서 KT는 정규직 상당수를 정리해고 해 신규 인원을 채용하든지, 나이가 들거나 민주주의를 외치는 저항적인 사람들을 부당인력퇴출 프로그램(C-player 프로그램)인 학대·해고 프로그램으로 계속 내보냈다”고 꼬집었다.

은 의원은 ‘그래도 정규직들은 사정이 낫지 않나’는 지적에 “이미 기업은 정규직, 비정규직을 나누는 것을 넘어선 것 같다”며 “정규직이든 비정규직이든 하나의 사업장에 몰아넣고, 들들 볶아 이윤을 짜는 (KT의) 이 방식이 전형적인 방식이 됐다”고 밝혔다.

이어 은 의원은 최근 을지로위원회가 인천공항공사를 방문한 사례를 언급하며 “눈 앞에서 노조 파괴 프로그램이 가동되는 것을 봤다”면서 “지금도 노조 파괴가 KT처럼 (다른 기업에서도) 진행이 되고 있다”고 밝혔다.

은 의원은 “의원이 혼자 가서는 인천공항공사 내에서 (대책) 회의도 못했는데 그저께는 10명의 (을지로위원회) 의원들과 같이 가 (사측과) 대판 싸우기도 했다”며 “(노조 파괴 관련) 자료도 있고 녹취록도 있고 특별근로감독도 시켰는데 (노조 파괴 행위가) 스톱이 안 되고 있다. 무력감을 느낀다”고 토로했다.  

이 같은 문제의 해결책에 대해 은 의원은 “최악의 경우를 해결하면 대부분이 해결된다고 생각한다”며 “최악의 상황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거나 최소한 그 상황을 멈추는 거라도 하고 싶다는 열망을 갖고 있다”면서 KT 등의 문제에 적극 대응할 입장을 밝혔다.

은 의원은 “지금은 정치와 정부에 책임을 묻고, 이 (노동 탄압) 구조를 바꾸는 것을 저 같은 사람들이 치열하게 목숨을 걸고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정부가 행정력만으로도 노조 조직률을 20~30%까지 높일 수 있다”면서 “이 구조를 지속적으로 바꾸려면 정권을 바꿔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해관 KT 새노조위원장은 이날 관객과의 대화에서 “이석채씨가 감옥 안팎을 넘나들고 있고 다음 회장이 올 때인 현재, KT가 선택의 기로에 놓여 있다”며 “방향을 잘 잡는 게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이 위원장은 “KT 민영화 당시 회사와 월스트리트가 제안한 민영화의 핑크빛에 (직원들이) 많이 동의했다고 본다. 경제기획원의 승인 없이는 책상 하나도 바꾸지 못했던 그동안의 관치가 너무 지긋지긋 했기 때문”이라며 “하지만 ‘민영화가 되면 고용은 약간 불안해 지겠지만 임금은 오를 것이라는 기대, 상품을 많이 팔고 열심히 일하면 우리 모두가 승리자가 될 것이라는 기대’는 틀렸다”고 밝혔다.

이 위원장은 “현재 KT 직원들은 구조조정을 덜하고 임금을 올리는 것을 기대하겠지만, 지금 KT에 연대하는 (외부의) 많은 사람들은 다르게 생각할 것 같다”면서 “KT 노동자들이 (사익보다는 공공의 이익을 위해) 통신비 인하 운동을 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런 운동의 힘으로 우리를 지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by 100명 2013. 11. 10. 07:59

[취재파일] 중고차 팔듯 인공위성 내다판 KT…거짓 해명만 줄줄 관련 이미지

보통 통신업체에서 하는 기자 간담회는 적어도 하루 전에는 공지가 됩니다. 하지만 지난 4일 KT가 개최했던 무궁화 위성 매각 관련 기자 회견은 불과 몇 시간 전에 기자단에 연락이 왔습니다. 자료조차 현장에서 배포한다는 말에 어떤 내용을 가지고 해명을 할지 궁금했습니다. 지난 2일, KT가 무궁화 위성을 홍콩에 매각했다는 사실을 숨겼다는 기사를 쓰면서, 여러 차례 해명을 요구했지만, KT로부터 보도 내용에 대한 입장을 전혀 들을 수 없었기 때문에 더 그랬습니다.

▶ SBS 8뉴스 <KT, 외국 업체에 위성 매각하고 주파수 허위신청>

KT의 긴급 기자 간담회 "위성 매각 문제없다"

기자 회견을 하면서 나눠준 자료를 살펴보니, 7가지 항목에 걸쳐 매각 과정에 문제가 없다는 걸 설명하고 있었습니다. 위성은 민영 회사인 KT의 소유물이기 때문에 팔 수 있는 건 당연하고, 민주당 유승희 의원이 국정감사에서 제기한 위성 헐값 매각 의혹은 사실이 아니라고 반박했습니다. 주파수까지 팔았다는 것은 사실 무근이라는 내용도 담겨 있었습니다.

정작 KT가 하고 싶은 말은 보도 자료의 가장 마지막에 있었던 걸로 보입니다. "허위 사실을 악의를 가지고 의도적으로 유포하는 세력에 대해서는 법적 조치를 포함한 모든 수단을 동원해 강경 대응한다"고 돼 있었습니다. 무엇이 악의를 가지고 의도적으로 유포하는 건지 알 길은 없었지만, 오보를 내는 언론사들은 소송을 각오하라는 협박처럼 들리는 말이었습니다.

문제없다던 KT, 정부 청문회에서는 "선처 호소"

그리고 사흘 뒤 미래부 차관이 국회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 결산 국회에 나와서 한 말은 KT의 기자 회견과는 완전히 딴 판이었습니다. KT는 결백을 호소했던 기자회견 다음날 미래부의 무궁화 위성에 대한 비공개 청문회에 나갔는데, 조사 책임자인 미래부 차관이 국회에 와서 답변하는 걸 들어보니, 기자 간담회 내용과는 전혀 다른 말을 했다는 걸 알 수 있었습니다. 규제기관에는 결백을 호소하기 보다는 자백에 가까운 읍소를 했던 겁니다. 국회에서 나온 말을 그대로 옮겨 봅니다.

@ 유승희 민주당 의원
"더 큰 문제는 인공위성이 전략 물자 아닙니까 그래서 여러 가지 법적 제재 조치를 받는 건데, 완전히 편법도 아니고 법을 넘어서서 몰래 팔아넘기지 않았습니까? (중략) 정부는 지난 6개월 동안 인공위성 불법 매각에 대해서 어떤 조치를 취했습니까?"

@ 윤종록 미래부 2차관
"우선은 위성 매각에 대해서 신고 인가 요청이나 신고 설비 협의를 하지 않아서 인지하기가 어렵다고 말씀드리되, 인지한 이후 법적 검토를 해왔고요. (중략) 청문회에서 한 디테일한 얘기를 말할 수는 없지만, KT에서는 선처를 바란다. 잘했다기 보다는 그런 측면의 얘기를 했던 부분들을 말했습니다."

KT가 과연 주파수를 거짓으로 할당 받았는지도 사건을 이해하는 핵심입니다. 미래부는 무궁화 3호 위성이 할당 받은 주파수에 대해서도 취소하겠다고 밝혔습니다.

@ 유승희 민주당 의원
"KT가 이미 홍콩에 매각한 무궁화 3호 위성에 사용하겠다고 거짓으로 주파수를 할당받은 건에 대해서 미래부가 청문회를 진행했는데, 앞으로 그러면 어떤 제재 조치를 취할 계획이십니까?"

@ 윤종록 미래부 2차관
"사실이 확인되는 경우에는 할당 취소까지 포함한 행정처분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 유승희 민주당 의원
"기본적으로 주파수 할당을 취소해야하는거 아니에요?"

@ 윤종록 미래부 2차관
"당연히 취소를 해야겠죠."

무궁화3호 위성 ‘궤도 적법성’ 논란까지 불거져

게다가 또 다른 문제가 불거졌습니다. 무궁화 3호 위성이 들어가 있는 동경 116도 궤도의 적법성 문제가 제기된 겁니다. 우리나라는 ITU에서 우주 궤도를 할당 받는데, 무궁화 위성은 불법으로 매각됐기 때문에 홍콩업체가 대한민국 정부의 재산인 궤도를 정당하게 사용할 권리가 없다는 뜻입니다. 미래부는 우주 궤도에 대해서도 "부당하게 KT가 할당 받은 게 확인되면 이를 취소하고, 취소된 것을 다른 기관이나 이용자들에게 할당하겠다"고 밝혔습니다.

KT '무궁화 위성 몰래 매각' 짚어야 할 두 가지

무궁화 위성 사건을 보면서 통신사가 인공위성을 개인들끼리 중고차 사고 팔듯이 정부에 아무런 허가 절차 없이 일을 저질렀다는 게 쉽게 납득이 가지 않습니다. 미래부는 통신사의 밥줄인 통신비를 심사할 때도 시장 지배적 통신 사업자에 대해서는 인가를 내주고, 나머지 통신사들도 신고를 받는, 비유하자면 간섭하기 좋아하는 시어머니 같은 존재입니다. 통신사들은 항상 규제 기관을 의식하기 마련이고, 계약을 진행할 때도 정부 규제 때문에 일을 그르치지는 않을지 신경을 쓸 수밖에 없습니다. 그런데 KT가 용감하게도(?) 정부 허가를 뛰어넘어 몰래 매각을 진행했다는 것은 뭔가 특별한 사정이 있었던 게 아닌가 하는 의심이 드는 게 사실입니다. 결국 이 부분은 검찰 수사로 규명될 수밖에 없을 거 같습니다.

또 한 가지는 규제 기관인 미래부가 과연 그동안 제대로 된 주파수 정책을 해왔냐는 점도 짚고 넘어가야할 거 같습니다. 계약 상대방인 홍콩 위성업체인 ABS는 무궁화 위성 계약 상황을 홈페이지에 친절하게 올려놓고 사세가 번창하는 것을 전 세계에 홍보를 해놨습니다. 위성을 운용하는 회사는 전 세계에 그리 많은 숫자가 아닐 거라는 짐작을 해봅니다. 업계 파악만 하고 있어도 무궁화 위성 주인이 홍콩 회사로 바뀌었다는 걸 알 수 있지 않았을까요? 국민의 재산인 주파수를 할당하는 일이라면 적어도 주파수를 사용하는 위성을 누가 사용하는지는 규제 기관이 직접 확인했어야 한다는 생각이 듭니다. 통신사들이 하는 말이라면 그냥 '네, 네' 하고 액면 그대로 믿고, 제대로 확인할 의지도 능력도 없었던 건 아닌지 생각해볼 부분인 거 같습니다. 정부가 국회 공개석상에서 주파수 할당 취소를 확언했다는 것은 그동안 통신사에 내내 속았다는 걸 자인하는 것 같아서 씁쓸한 생각이 들기도 했습니다.      

by 100명 2013. 11. 9. 22:04

<앵커>
KT 이사회가 다음주 이석채 회장의 사퇴를 공식 처리할 예정인 가운데 이 회장 임기 기간에 영입된 임원들의 거취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채주연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이석채 회장의 퇴임이 KT 내부에 큰 파란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이 회장은 전직원을 상대로 사의를 전한 이메일에서 임원 수를 20% 줄이고, 문제가 제기된 고문과 자문위원 제도도 올해 안에 폐지하겠다"고 언급했는데, 임직원들의 동요가 심한 상황입니다.

사퇴가 임박한 CEO가 마지막까지 인사권을 휘두르긴 어렵겠지만 낙하산 인사가 많기로 꼽히는 조직 특성상 긴장할 수밖에 없는 대목입니다.

공기업이 아닌데도 정권에 따라 핵심 임원들의 자리가 오고가다 보니, 이 회장의 사퇴는 단순한 수장 교체가 아니라 KT 내부정권의 교체를 의미한다는 말도 나옵니다.

130여명의 KT 임원 중 이석채 회장 임기 중 영입됐거나 정치권 입김으로 자리를 얻은 낙하산 인사는 30~40명에 달합니다.

지난 국정감사에서는 민주당 최민희 의원이 이들 명단을 내세워 이석채 회장을 압박하기도 했습니다.

이 회장 취임 이후 들어온 낙하산 임원들은 올레 KT라는 별칭까지 얻었는데, 이들이 받아가는 연봉이 적게는 7천만원, 많게는 10억원에 달하는 만큼 구조조정 대상 1순위에 오를 전망입니다.

KT 내부에서는 누가 칼바람을 맞게 될지, 어디로 줄을 서야 할지 저마다 계산하기 바쁜 모습입니다.

직원들은 이 회장에 발목을 잡히지 않으려고 이미 다른 줄을 대는 임원도, 표정이 어두운 게 조짐이 안좋아 보인다는 임원도 있다며 수근대고 있습니다.
특히 지난 2008년 남중수 전 사장이 검찰 수사 과정에서 옷을 벗은 뒤 핵심 임원들이 밀려나고, 회사를 떠나는 것을 경험한 직원들은 다시 찾아온 혼란에 사기를 잃고 있습니다.

검찰이 김일영 코퍼레이트센터장 등 이 회장 측근 임직원에 대한 조사를 확대하고 있는 것도 숨통을 조이고 있습니다.

이사회가 동요를 막기 위해 다음주에 회의를 열어 이석채 회장 퇴임일을 확정하고, 후임 CEO 선임 일정을 논의키로 했지만 사업상 차질은 불가피합니다.

이석채호 마지막 성과로 꼽히는 아프리카 사업은 이 회장에 이어 김일영 센터장까지 출국이 금지돼 우간다 대통령 면담에 참석하지 못하면서 좌초 위기에 몰렸습니다.

위성 헐값매각 의혹을 두고도 미래부, 산업부 등 정부까지 나서 법 위반 여부를 검토 중이어서 조사결과에 따라 관련사업에 제재를 받게 될 전망입니다.

논란의 중심인 이석채 회장은 KT를 떠나겠지만, 남겨진 직원들은 긴 시간 고통에 시달릴 것으로 우려됩니다.

by 100명 2013. 11. 9. 21:32

[지난달 번호 이동 가입자, 통신3社 제치고 1위 올라]

- 1만명 격차로 번호 이동 시장 1위
우체국·이마트 등에 유통망 확대, 月 기본료 1500원 상품 가장 인기
현재 가입자 200만명이지만 지금처럼 알뜰폰 쏠림현상 지속 땐
국내 통신시장 4강체제로 재편될 듯


	10월 통신 3사와 알뜰폰의 번호 이동 실적 그래프

알뜰폰이 대기업 통신3사 위주의 이동통신 시장을 뒤흔드는 '주요 경쟁자'로 부상했다. 지난달엔 번호 이동 시장에서 통신3사를 1만명 이상 격차로 꺾는 파란(波瀾)을 일으켰다.

지난달 통신3사와 알뜰폰사업자 간의 번호이동 통계를 보면, 알뜰폰이 가장 많은 가입자를 뺏어온 것으로 나타났다. 알뜰폰 가입자는 4만7451명이 순증(純增), LG유플러스(3만5649명)보다 1만명 이상 앞섰다. SK텔레콤KT는 각각 5만·3만명씩 순감(純減)했다. 기존 통신사에서 이탈해 알뜰폰으로 가는 이용자들이 많다는 뜻이다. 이같은 현상은 올 들어 두 번째다. 5월에 알뜰폰이 간신히 100여명 차이로 이긴 적은 있지만, 이번처럼 1만명 이상 격차를 낸 것은 처음이다.

전체 휴대전화 가입자 규모(8월 말 기준)로 보면, 아직 알뜰폰의 존재는 미약하다. SK텔레콤이 2600만명, KT가 1500만명, LG유플러스가 1000만명 가입자를 갖고 있고 알뜰폰은 이제 막 200만명을 넘어섰다. 하지만 지금처럼 알뜰폰 쏠림 현상이 지속되면 국내 통신시장이 '4강 체제'로 재편될 가능성이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유통망 확대로 가입자 늘어

알뜰폰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것은, 올 들어 알뜰폰을 살 수 있는 유통망이 대폭 늘어났기 때문이다. 국민들의 가계 통신비를 낮추겠다는 정부의 강력한 의지 속에 우정사업본부가 지난 9월부터 전국 226개 우체국에서 알뜰폰 판매를 시작했다. 지난달엔 이마트도 쇼핑을 할수록 전화요금을 깎아주는 알뜰폰 요금제를 출시하면서 경쟁에 뛰어들었다. 기존에 편의점, 가전 양판점 중심이었던 유통망이 차차 넓어지면서, 통신요금이 싼 것을 알면서도 가입할 곳이 없어 주저했던 이용자들이 속속 알뜰폰으로 넘어오고 있다. 알뜰폰은 대기업 통신사들이 외면하는 2G·3G폰도 판매하고 있기 때문에, 굳이 LTE가 필요없는 이용자들에게도 인기다.

우정사업본부 통계에 따르면, 알뜰폰 가입자가 구매한 단말기는 2G용 피처폰(60.9%)·3G 스마트폰(11.6%)이 전체의 70% 이상을 차지했다. LTE 스마트폰 구매자는 27.5%로 상대적으로 적었다. 가장 인기있는 요금제도 월 기본료가 1500원인 상품이었다. 무선 데이터를 잘 쓰지 않거나, 통화량이 많지 않은 이용자들이 합리적인 선택을 하고 있는 것이다.

통신3사, 알뜰폰 성장 경계

기존 통신사들은 알뜰폰의 분투(奮鬪)를 경계하는 분위기다. 직접 이용자를 유치하면 100% 수익을 얻을 수 있지만, 알뜰폰 사업자를 통하면 수익이 40~50%밖에 나지 않기 때문이다.


	 7일 서울 광화문우체국에서 시민들이 알뜰폰 상담을 받고 있다. 최근 대형마트와 우체국, 편의점 등 다양한 곳에서 알뜰폰을 판매하면서 지난달 번호 이동 시장에서 알뜰폰이 통신 3사를 1만명 이상 격차로 앞질렀다
7일 서울 광화문우체국에서 시민들이 알뜰폰 상담을 받고 있다. 최근 대형마트와 우체국, 편의점 등 다양한 곳에서 알뜰폰을 판매하면서 지난달 번호 이동 시장에서 알뜰폰이 통신 3사를 1만명 이상 격차로 앞질렀다. /김지호 객원기자

알뜰폰이 급속히 성장하고 있는 것은, 알뜰폰 사업자들이 불법 보조금 집중 단속 대상에서 한발 비켜나 있기 때문이란 지적도 있다. 통신3사는 엄격한 감시하에서 발목이 묶여 있는 사이 알뜰폰 사업자가 불법 보조금을 유유히 뿌려가며 시장을 장악한다는 것이 통신사들의 주장이다.

방통위도 이같은 사실을 인지하고 현장 조사에 착수했다. 방통위 장대호 통신시장조사과장은 "지난 9월부터 알뜰폰 보조금에 대한 현장 점검에 들어갔고, 이같은 현상이 반복될 경우 본격적인 시장 조사에 착수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알뜰폰

기존 통신사 요금제보다 평균 30~40%가량 저렴한 휴대전화 요금제. CJ헬로비전·이마트 등 30여개 알뜰폰 사업자가 통신3사로부터 망(網)을 도매가에 빌려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같은 망을 쓰기에 통신 품질은 동일하다.

 

by 100명 2013. 11. 9. 07:11

누가 KT의 신임 최고경영자(CEO) 될 것인가에 대한 관심이 좀처럼 잦아들지 않고 있다. 대부분 KT 임직원들은 정상적인 경영자가 회사를 이끌어 주기를 바라지만, 정치권 낙하산 인사 발탁에 대한 트라우마를 쉽게 벗어나지 못하는 분위기다.

 

8일 익명을 요구한 KT 전현직 임직원들에 따르면, 총체적인 위기상황에 빠져 있는 KT를 정상화시키기 위해서는 직원들이 믿고 따를 수 있는 CEO 선임이 시급하다. 내부적으로 이석채 현 회장에 대한 평가는 다소 엇갈리지만, 정치권이 개입된 인사는 절대 반복되서는 안된다는 의견에는 한 소리를 내고 있다.

 

현재 KT 임원들은 기존 임원과 새로 영입된 임원들의 갈등이 적지 않다. 이 회장 취임 이전의 임원을 지칭하는 '원래 KT'와 취임 후 영입된 '올레 KT' 파로 나뉘어져 있다는 우스갯 소리가 나돌 정도다. 신임 KT CEO는 이러한 내부 갈등을 해결하고 단결을 촉구할 수 있어야 한다.

 

원래 KT에 속하는 한 고위 임원은 "현재 KT는 내부 화합이 최우선"이라며 "직원 간 양분, 낙하산 인사와 이에 줄을 대는 기존 임직원들 등 갈등의 고리를 원천적으로 끊으려면 정치권이 개입된 CEO가 와서는 절대 안된다"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특히 재계 11위 민영기업으로서 실적 악화를 비롯한 총체적 경영난을 해결할 수 있는 전문경영인이 필요하다"라고 덧붙였다.

 


올레 KT에 속하는 한 임원은 CEO 선임건에 대해 극도로 말을 아꼈다. 다만 '원칙적으로 기업을 잘 이끌 수 있는 전문 경영인이 필요하다'라는 것에는 동의했다. 이 임원은 "(이 회장의 공로도 분명히 있는데)과오만 부각되는 것 같아 아쉽다"라며 "KT가 추진하는 각종 신사업을 잘 이끌 수 있는 CEO가 선임됐으면 한다"라고 입장을 밝혔다.

 

일부 젊은 직원들 사이에서는 이 회장의 성과를 높이 평가하는 분위기도 있다. 한 직원은 "대외적 논란을 떠나서 아이폰 출시, 클라우드 사업 등 각종 신사업 추진, 아프리카 진출과 같이 KT의 새 비전을 보여준 것에 박수치는 직원들도 적지 않다"라고 사내 분위기를 설명했다.

 

물론 이 직원 역시 "KT의 도약을 위해서는 '순수한' CEO가 필요하다"라고 강조했다. 정치권 개입을 우려하고 있는 것이다.

 

■ CEO 선임, KT 임직원들의 희망 대로?

그렇지만 KT 임직원들의 바램이 현실화될 수 있을 지 여부는 여전히 불투명하다. 신임 CEO 선출과 관련해 복잡 미묘한 상황이 연출되고 있기 때문이다. 단 '정치권의 입김이 존재한다'는 논란이 수면 위로 떠오른 것이 과거에 비해 고무적이라면 고무적이다.

 

8일 KT에 따르면 3명의 사내이사(이석채 회장, 김일영 사장, 표현명 사장) 중 한명인 김일영 사장이 검찰에 의해 출국금지 조치가 내려졌다. 이석채 회장 비리 조사와 연관이 있다는 이유다. 이 때문에 KT CEO추천위원회에 들어갈 1명의 사내이사 자리에 표현명 사장이 들어갈 가능성이 높아졌다. CEO추천위원회는 사외이사 7명과 사내이사 1명으로 구성된다.

 

표 사장은 차기 CEO 후보 중 한명이다. 다만 CEO추천위원은 CEO가 될 수 없는 규정상 표 사장이 위원회에 들어간다면 자연스럽게 후보 탈락이 된다.

 

일각에서는 이를 두고 이 회장 측근으로 구성된 사외이사진이 역시 이 회장의 최측근인 표 사장을 차기 CEO로 앉히려는 구상이 이미 깨졌다는 '루머'도 흘러 나온다.

 

7명의 사외이사는 이사회 의장인 ▲김응한(미시간대 경영학 석좌교수)를 비롯해 ▲박병원(MB정부 청와대 경제수석, 국민행복기금이사장) ▲이춘호(MB정부 초대 여성부장관 후보자로 청문회 낙마, EBS이사장) ▲성극제(YS청와대 행정관, 이석채 회장 대학동문) ▲이현락(동아일보 기자 출신, 이석채 회장 대학동문) ▲송도균(전 방통위 부위원장, 이석채 회장 근무했던 법무법인 태평양 고문) ▲차상균(전 SAP코리아 한국연구소장, KT협력사 경영진 출신) 등이다.

 

지난 7일 새누리당 권은희 의원은 본지와의 인터뷰에서 "지금 KT의 CEO 선정 과정을 보면 외부 개입이 안 될 수가 없는 구조다. 이석채 회장이 뽑아놓은 이사회가 후임을 뽑게 돼있어 이 회장의 의중을 따를 수밖에 없다"라고 말했다.

 

권 의원은 "그렇기 때문에 현 KT CEO추천위원회가 업계 전문가, KT 직원들, 정부 등에 자문을 받아야 한다. 정권 창출에 기여한 공으로 오는 후보는 사양해야 한다"라고 힘주어 말했다.

 

더구나 CEO추천위원회 사안과는 별개로 정치권이 '논공행상 집행처'로 KT에 대한 미련을 쉽게 버릴 수 없을 것이라는 이야기도 끊임 없이 흘러나오고 있다.

 

또 다른 KT의 한 임원은 "KT는 이제 다양한 서비스를 갖추고 있는 민영기업으로 자리잡았지만 실적은 엉망이 됐다"며 "시장 확대도 중요하지만 내부 단합을 하고 경영 안정화를 이끌 CEO가 필요하다"라고 말했다. 또 "이러한 상황에서 관료 출신이 CEO가 된다면 나아질 것이 없다"라고 강조했다.

by 100명 2013. 11. 8. 15:38

 
▲ 배임 등의 혐의로 고발된 KT이석채 전 회장이 이번엔 정관계 인사에 금품로비를 한 정황이 드러나 검찰이 수사에 나섰다. ⓒNewsis

[일요주간=이희원 기자] KT 이석채 회장이 정·관계 금품로비를 벌인 정황이 드러나 검찰이 수사를 확대하는 모양새다.

임직원의 급여를 과다 상계해 비자금을 수십억 조성한 것으로 드러나 배임 등 혐의에 추가되는 형국이다. 지난 4일 사의를 표명한 이석채 회장은 향후 행보에 세간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8일 서울중앙지검 조사부(부장검사 양호산)는 이 회장이 회사 임직원 10여명의 계좌에 과다상계하는 수법으로 수십억 원의 비자금을 조성한 사실을 확인했다고 <뉴시스>가 단독 보도했다.

<뉴시스>에 따르면 배임 등 혐의로 고발된 이 회장의 비자금 사용처를 조사하는 과정에서 전직 차관급 인사 부부의 해외여행 경비 명목으로 수만 달러에 달하는 로비자금을 전달한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해당 정·관계 인사의 자녀 해외 유학 경비도 지급된 정황이 포착됐다.

검찰은 이 회장이 해당 인사를 통해 사업상 편의를 제공하는 대가로 금품 등 로비 청탁을 한 것으로 보고 다른 정·관계 인사에 대한 수사를 확대하고 있다.

이석채 최측근 김일영 사장 해외도피 의혹

이와 함께 검찰은 이 회장의 최측근 인사인 김일영 KT 그룹 코퍼레이트센터장(사장)의 계좌에서 수상한 자금의 흐름을 포착하고 출금 금지 조치를 내렸다.

지난 6일 사업차 출국심사대에 올라선 김 사장은 아프리카 우간다로 출국을 하지 못한 채 검찰에 소환됐다.

검찰이 김 사장에 의혹을 제기하는 부분은 다음과 같다. 영국 국적자로 알려진 김 사장이 출국하려는 지역이 영국령이 우간다라는 점을 들어 ‘해외도피’를 시도한 것이 아니냐는 것.

또한 케냐에서 입국한지 불과 일주일도 안 된 김 사장이 급하게 우간다행을 선택한 것이 의혹을 부르는 부분이다.

특히 KT는 이 회장이 전격사임을 선택한 만큼 오는 12일 사표 수리 및 후임 인선과 관련해 이사회를 앞둔 상황이다. 회사의 중대한 일을 앞두고 해외로 출국하는 모양새가 ‘도피 의혹’을 불러온 것.

이런 가운데 검찰은 김 사장의 대규모 프로젝트를 지휘하는 과정에서 사업비 일부를 해외로 빼돌렸는지 여부와 함께 해외컨설팅 명목의 수백만 달러가 지출되는 데 관여한 정황도 함께 파악 중이다.

또한 무궁화위성 2호와 3호를 매각하는 과정에서 KT 계열사인 위성사업체를 맡았던 김 사장이 로비 등의 불법적 행위가 있었는지 여부도 의심하고 있다.

특히 김 사장은 지난 PCS 사업자 선정비리 의혹에 연루 돼 무죄를 선고 받았으나 궁지에 몰렸던 이 회장에 과거에 몸담았던 영국 통신업체인 브리티시텔레콤(BT)의 고문 자리를 마련해준 인물로 알려졌다.

이 회장의 취임을 계지로 KT로 입사한 김 사장은 명실공이 이 회장의 최측근에 이름을 올렸다.

검찰은 이 회장이 김 사장에 로비와 관련해 지시 혹은 승인이 있었을 가능성에 수사의 초점을 맞추고 둘의 공모 관계를 입증하는 데 총력을 기울이고 있는 것으로 전했다.

앞서 참여연대의 두 차례 고발로 시작된 이 회장의 검찰 수사는 지난달 22일과 31일에 걸쳐 KT본사는 물론 이 회장과 김 사장의 자택 등을 압수수색한 바 있다.

재계는 MB정권의 대표적인 수혜자인 포스코 정준양 회장에 이어 이 회장까지 중도 하자하면서 정권 교체의 희생양이 된 것이 아니냐는 지적을 내놓고 있다.

KT 소액주주 이석채 상대 소송 제기 

KT소액주주들이 과징금 납부와 CP(부진인력·C-player)퇴출프로그램으로 인한 이미지 실추 등의 책임을 물어 이석채 회장 등 전현직 KT최고경영자(CEO)를 상대로 손해배상청구 소송에 나섰다. 

8일 KT노동인권센터는 KT전국민주동지회, 민주노총법률원 등과 함께 서울중앙지법 정문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 같이 밝혔다.

이번 소송에 참여한 소액 주주들은 퇴직한 KT 전직 직원 및 일반인 등으로 구성돼 지난 2002년 이후 CEO였던 이용경 사장을 비롯해 남중수 사장, 그리고 최근 사임 의사를 밝힌 이석채 회장 등 3인이 피고로 지목됐다. 

소액주주들은 소장에서 “지난 2002년 이후 불법영업으로 사정당국으로 부터 천억원대(1,187억 원)과징금을 부과받았으며 CP 퇴출 프로그램으로 노동인권을 탄압, 기업 이미지 실추를 시킨 주범”이라고 지적했다.

이들은 지난 9월 동일한 내용으로 소제기 청구에 나섰지만 KT가 이에 응하지 않자 주주대표소송에 나선 것. 상법 상 소액주주들이 해당 회사에 소제기 청구 후 30일이 지나도 소제기에 응하지 않을 경우 주주대표소송을 할 수있도록 명기돼있다.

이와 함께 인공위성 헐값 매각 의혹 에 대해서도 소제기 청구에 나선 한편 KT가 응하지 않을 경우 손해배상청구에 나선다는 입장이다. 

by 100명 2013. 11. 8. 14:34
[앵커]
검찰의 KT 이석채 회장에 대한 수사가 급물살을 타고 있습니다. 검찰은 이 회장의 배임 혐의와 더불어 비자금 조성, 정관계 로비 의혹까지 전방위 수사를 벌이고 있습니다.

김자민 기자입니다.

 

[리포트]
검찰이 KT 이석채 회장 측이 전직 차관급 인사에게 뒷돈을 건넨 정황을 포착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 회장 측이 사업 상 편의를 위해 정관계 로비를 벌였을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하는 것입니다.

검찰은 또 이 회장이 임직원 10여명의 계좌를 이용해 임금을 과다하게 지급한 뒤 되돌려 받는 수법으로 비자금을 조성한 사실을 확인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특히 김일영 KT 코퍼레이트센터장이 이 회장 비자금 조성에 깊숙히 개입한 정황을 잡고 김 사장을 출국금지 시켰습니다.

김일영 사장은 지난 6일 우간다로 출국하려다 출국을 저지당해, 도피성 출국을 시도한 게 아니냐는 의혹을 받고 있습니다.

김 사장은 이석채 회장의 핵심 측근으로, KT의 대규모 프로젝트 사업비와 해외컨설팅 명목으로 상당액을 해외로 빼돌린 의혹도 받고 있습니다.

검찰은 이 회장의 지시로 김 사장이 비자금을 조성했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고 공모 관계를 입증하는데 수사력을 모으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by 100명 2013. 11. 8. 14:33

무궁화 위성 매각 논란에 휩싸인 KT가 방송통신위원회로부터 행정 처분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스포츠서울닷컴DB
무궁화 위성 매각 논란에 휩싸인 KT가 방송통신위원회로부터 행정 처분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스포츠서울닷컴DB

 

[스포츠서울닷컴 | 황원영 기자] KT 무궁화 위성 매각 논란이 일파만파 확대되며 매각 적법성을 둘러싼 수사가 본격적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미래창조과학부(미래부)는 KT의 무궁화 3호 위성 매각과 관련해 주파수 할당 취소까지 포함한 행정 처분을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윤종록 미래부 2차관은 국회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 결산감사에서 KT가 매각한 무궁화 3호 위성의 주파수 배정 과정에 문제가 확인되면 주파수 할당 취소까지 고려해 법적 조치를 취하겠다고 밝혔다.

 

윤 차관은 KT 무궁화 위성 3호 불법 매각 사실을 인지하고 지난 8월 이미 법률자문을 받았으며, 10월 전문가 대책회의를 연 바 있다고 밝혔다. 그는 "KT가 위성 수명이 다했다고 주장한 것과 자사 주파수를 배정하는 과정에서 불거진 문제점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법적 조치를 다하겠다"고 말했다.

 

미래부는 KT로부터 위성을 구입한 홍콩 위성서비스업체인 ABS(Asia Broadcasting Satellite)가 적법한 절차를 거치지 않은 채 국내 위성 주파수를 사용하는 것은 문제가 된다며, 주파수 할당을 취소한 후 다른 위성을 쏘아 올릴 수 있다는 가능성을 내비췄다.

 

산업통상자원부(산업부) 역시 KT가 무궁화위성 해외 매각과 관련해 전략물자 관리제도를 위반한 것으로 판단, 7일 검찰에 공식적으로 수사를 의뢰했다.

 

산업부는 전략물자판정기관인 전략물자관리원 검토를 거쳐 KT가 ABS에 매각한 위성이 전략물자에 해당된다고 판정했다. 대외무역법에 따르면 전략물자는 수출입 시 사전에 허가를 얻어야 한다. KT는 무궁화 위성 2호와 3호를 임의로 처분한 혐의를 받고 있다.

 

KT가 전략물자 관리제도를 위반한 것으로 판정되면 3년 간 전략물자 전부 또는 일부의 수출입을 제한하는 행정처분을 받게 된다. 산업부는 검찰 수사 진행 추이를 살펴본 후 행정처분을 검토할 방침이다.

 

또한, KT 위성 매각 과정을 정확히 파악하고 규정 위반에 고의성이 있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지난 6일 저녁 대검찰청에 수사를 의뢰한 상태다.

 

앞서 지난달 31일 민주당 유승희 의원은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 확인국감에서 이 회장이 국가 자산인 무궁화 위성 2호와 3호를 헐값에 매각했다고 주장했다. 또한 KT가 이를 매각하는 과정에서 대외 무역법상 전략물자 수출 허가를 거치지도 않았다고 밝혀 논란이 됐다.

 

KT는 이에 지난 4일 기자 간담회를 열고 무궁화 위성 2호, 3호를 헐값에 매각하고 관제시설까지 팔아 넘겼다는 의혹에 대한 입장을 밝혔으나 논란은 가라앉지 않고 있다.

by 100명 2013. 11. 8. 14:31

불필요한 '세대간 번호이동 수수료'가 왜 안 없어지나 했더니 사업자 간 이해 충돌이 그 원인인 것으로 밝혀졌다.

SKT와 LGU+는 수수료 폐지에 찬성하고 있는 반면 KT가 '수수료 유지'를 고집하고 있다는 것.

여기에 업무를 대행하는 한국통신사업자연합회(KTOA) 또한 수수료 폐지에 따른 손실 보전을 주장하고 있어 일이 쉽게 풀리지 않고 있다는 지적이다.

국회 미방위 민주당 전병헌 의원은 7일 내놓은 보도자료를 통해 '세대간 번호이동 수수료' 존속 이유에 대해 "KT의 몽니와 KTOA의 이기주의가 결합한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전 의원은 최근 미래부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시대에 뒤떨어진 '세대간 번호이동 수수료'로 인해 이용자들은 불편하고 통신요금 117억원이 불필요하게 KOTA로 지급됐다"며 문제점을 지적했다.

이에 대해 미래부는 서면 답변을 통해 "DB 및 전산 비용 등으로 800원의 번호이동 수수료를 사업자에 부과하고 있다"며 "이용약관상 수수료는 고객이 납부하도록 하고 있으나 실제는 사업자가 대납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미래부는 그러면서 "동 수수료 폐지에 대해 통신사업자 간 입장 차이가 있기 때문에 KOTA가 통신사업자와 협의해 수수료 폐지 여부를 검토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SKT와 LGU+의 경우 자사내 번호이동은 KOTA DB없이 간단한 자사 DB 구축으로 가능하므로 수수료가 필요없다는 입장이다.

반면 KT는 기존의 자사 2G 고객에 대해서 이미 수수료를 부과했기 때문에 폐지시 형평성 문제를 제기하며 수수료 폐지에 반대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KT의 경우 2011년 2G 서비스를 종료해 자사 내 세대간 번호이동을 할 고객이 없기 때문에 제도를 없앨 수 없다는 지적이다.

그러나 KT가 2G 서비스를 종료를 시작한 2011년 KT 2G 서비스 가입자는 81만명 수준(2011년 6월 기준)에 불과한 반면 SKT와 LGU+의 현재 2G 가입자는 848만명에 이른다고 한다.

이와 관련해 전병헌 의원은 "본인들이 91만명 2G 서비스 종료 과정에서 수수료를 이미 납부했으니 불필요한 제도를 유지해야 한다는 KT의 입장은 '몽니'라고 밖에 볼 수 없다"고 지적했다.

KOTA의 입장도 상식적으로 이해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전 의원은 KOTA에 대해 "자신들의 수수료 수입을 보장해줘야 세대간 번호이동 수수료 폐지가 가능하다는 이기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전 의원은 "불필요한 통신수수료는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신속한 정책 개선이 필요하다"며 "철지난 규제인 '세대간 번호이동'은 사업자에게 맡겨둘 게 아니라 미래부가 적극 나서서 폐지하는 것이 맞다"고 정책 제언했다.

이러한 국회 지적에 대해 KOTA 쪽은 미래부와 사업자가 결정하면 수수료 폐지에 따를 것이라고 밝혔다.

KTOA 관계자는 이날 <데일리중앙>과 통화에서 "수수료가 폐지되지 않고 있는 것은 사업자끼리 이해관계가 달라 생긴 일"이라며 "우리는 업무를 대행하는 기관이기 때문에 미래부나 사업자(회원사)들이 협의해 결정하면 그에 따른다"고 말했다.

그는 또 '수수료 수입 보전' 지적에 대해 "세대간 번호이동 수수료가 없어지면 계획했던 예산에 차질이 생길 수 있다는 정도의 얘기는 했지만 수입을 보장해줘야 수수료 폐지가 가능하다고 한 적은 없다"고 해명했다.

한편 논란이 되고 있는 '세대간 번호이동 수수료' 폐지를 둘러싼 국회와 통신사업자 간 심도 있는 논의가 본격화할 전망이다.

 

by 100명 2013. 11. 8. 14:21

“차라리 그쪽(제조사)이 알아서 팔라고 하세요. 우리가 그 물건(외산 스마트폰) 수만대를 어떻게 책임지나요. 그거 안 팔려요.” -국내 모 통신사

 

“통신사가 초도물량 3만대만 받겠다는데, 그거 때문에 전국에 AS망 운영하라니 본사가 이해 못하죠. ‘제조사 장려금’도 엄청나게 내놓으라는데...” -외산 모 휴대폰 제조사

 

애플 아이폰을 제외하면 국내 이동통신 대리점에서 씨가 마른 외산 스마트폰. 올 들어 간간히 나왔던 재도전 루머들은 루머로만 끝났다. 국내 이동통신사들과 이해관계가 여전히 엇갈린다.

 

■초도물량 10만대, 불가능 시나리오

 

7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일본 소니와 몇몇 중국 업체들이 국내 이동통신사들과 스마트폰 출시를 놓고 최근 접촉했으나 성과는 없다.

 

소니는 야심작 ‘엑스페리아Z1’의 국내 전파인증까지 받아냈기에 더 아쉬운 상황이다. 지난해 초에도 SK텔레콤과 협상만 벌이다 전파인증 통과 제품을 출시 못했다.


현장 사람들의 말을 종합할 때 외산 제조사들이 이동통신사에 원하는 기본 조건은 10만대 안팎의 초도물량 공급으로 요약된다. 반품 없이 이동통신사가 소화해야 할 물량이다.

 

위탁 형태라도 전국에 AS 망을 두고 각종 마케팅 비용까지 책정할 때 경영진이 납득할 마지노선이 10만대라는 설명. 과거 모토로라와 HTC 등도 비슷한 전략을 폈다.

 

한국 재진출 계획이 없다는 HTC의 고위 관계자는 “애플과 삼성으로 판이 완전히 나뉘기 전에는 외산들도 초도물량 공급이 수월했으나 안 팔리는 데 장사 없다”며 “신제품이 나와도 이동통신사에서 몇 만대 받아주지 않으니 짐을 쌌다”고 말했다.

 

소니는 아직 SK텔레콤과의 협상 끈을 놓지 않았기에 이 문제에 조심스러운 모습이다. 회사 관계자는 “물량 관련해 한국 이동통신사와 협상이 쉽지 않다”며 “제품 출시를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밝혔다.

 

■통신사 “우리가 재고처리?”

 

‘10만대 주문’ 조건에 대한 이동통신사 반응은 냉담하다 못해 싸늘하다. 팔리지 않을 제품으로 부담을 안을 이유가 없다는 입장이다. 실패 사례는 충분하다.

 

지난해 SK텔레콤과 KT는 외산 재고 처리에 진땀을 흘렸다. 모토로라와 블랙베리, 노키아, HTC 등의 제품들이다.


KT의 경우 ‘모토로라 레이저’를 사면 소니의 인기 게임기 ‘플레이스테이션3’를 무료로 주는 프로모션까지 벌였다. 자체 예산 1억5천만원을 쏟았다.

 

올해 LG유플러스도 일본 카시오의 방수 스마트폰을 시험 삼아 출시했으나 몇 주 만에 공짜폰으로 돌렸다.

 

결국 국내 이동통신사들은 아이폰을 제외한 외산에 믿음을 못 보내고, 출시 길이 막히는 구조가 굳어진 것이다.

 

뾰족한 수는 외산 제조사 진영에서 만들어야 한다는 게 일반적 분석이다. 이동통신사들은 삼성-LG-팬택-애플 등으로도 아쉽지 않다는 반응들이기 때문이다.

 

한 이동통신사 임원은 “과거에는 스마트폰 라인업 다양화 차원에서 외산을 받아들였지만 올해는 그럴 여유가 없다”며 “삼성전자나 LG전자 제품이 가입자 모으기에 유리한 것이 사실”이라고 말했다.

by 100명 2013. 11. 8. 14: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