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세계, KT 등 대기업들이 전자책 사업에서 점차 손을 뗄 움직임이다. 전자책 단말기·콘텐츠 분야 시장 상황을 밝게 보고 의욕적으로 추진했던 사업에서 발을 빼는 수순으로 받아들여진다. 외국에 비해 아직도 저조한 전자책 비중에다 성장성까지 불투명하게 보고 있다는 분석이다. 대기업 참여로 활기를 기대했던 전자책 업계는 실망한 분위기다.

30일 다수의 전자책업계 관계자에 따르면 신세계I&C는 전자책 서비스 `오도독`을 내년 초 접을 예정이며, KT는 내년 전자책 사업 중 기업과 소비자간 거래(B2C) 부문을 다른 전자책 사업자에 위탁할 계획이다.

신세계I&C는 이미 전자책 담당 부서를 축소시켰다. 업계 관계자는 “신세계가 전자책 담당 직원 수를 대폭 줄였다”며 “새해 초 사업을 철수하고 나면 기존 고객을 위한 서비스를 유지할 최소 인력만 남겨둔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다른 업계 관계자는 “KT도 전자책 B2C부문을 다른 기업에 위탁하기로 결정했으나, CEO 교체시기에 최종 결정은 잠시 보류됐다”고 전했다.

신세계와 KT가 전자책사업에서 손을 떼거나 대폭 축소시키는 이유는 국내 전자책 시장의 성장률이 기대이하로 저조하기 때문인 것으로 알려졌다. 우리나라 출판 시장에서 전자책이 차지하는 비중은 아직 1∼2% 수준에 불과하다. 외국과 비교해도 차이는 확연하다. 글로벌 시장에서 전자책의 비중은 지난해 이미 7.3%에 달했다.

전자책 시장이 급성장하지 못하는 이유는 콘텐츠 부족으로 꼽힌다. 전자출판협회에 따르면 출판된 도서의 약 15~20% 만이 전자책으로 나오는 실정이다. 즉, 베스트셀러 10권 중 2권 정도만이 전자책으로 접할 수 있다는 얘기다. 한 전자책 사업자 대표는 “종이책이 전자책으로 많이 나와야 전자책 업계도 활성화되는데 종이책 업계가 시장이 무너질까 두려워 전자책 출판을 꺼려 전자책 시장이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대기업들이 전자책 사업을 잇달아 축소하거나 철수하면서 그 여파가 전체 전자책 시장의 침체로 이어지지 않을까하는 우려도 제기된다. 신세계I&C는 지난해 7월 오도독 서비스를 시작해 약 1년 반 만에 사업을 접는다. KT는 2010년 4월 전자책 사업을 처음 시작했다. 전자책 업계 관계자는 “기업은 이익에 따라 움직이지만 전자책 시장에 너무 쉽게 들어왔다가 쉽게 나가서 다른 중소 전자책 사업자에게 시장위축에 따른 피해가 갈까 걱정”이라고 토로했다.

한편, 신세계와 KT 측은 전자책 사업 축소나 중단이 확정된 것이 아니라고 밝혔다. 신세계I&C 관계자는 “사업 철수가 내부적으로 결정된 바 없다”고 했으며 KT 관계자는 “전자책 B2C 사업 위탁은 정해지지 않았다”고 말했다.

by 100명 2013. 12. 31. 07:33

<7680×4320> UHD시장서 '기선잡기'…상용화 서두를 듯

OLED는 가변형 디스플레이로 차별화 전략

삼성과 LG가 1주일 앞으로 다가온 전 세계 최대 가전 전시회 `CES 2014'에서 8K4K(7680×4320) 디스플레이를 공개한다. 전시 가능성이 높은 가변형 TV용 디스플레이와 함께 전시회의 최대 이슈가 될 전망이다.

30일 디스플레이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삼성디스플레이)와 LG전자(LG디스플레이)는 내년 1월 7일(현지시간) 개막하는 `CES 2014'에서 나란히 8K4K(7680×4320)급 해상도를 갖춘 초고화질(UHD) LCD(액정표시장치)를 전시할 계획이다.

기존 4K2K(3840×2160)급 해상도를 뛰어넘는 8K급 해상도를 갖춘 디스플레이는 지난 2011년 9월 독일 IFA에서 샤프가 세계 최초로 85인치 제품으로 선보였고, 지난해 5월에는 파나소닉이 일본 공영 방송사인 NHK와 공동으로 145인치 PDP(플라즈마) 제품을 개발해 그해 9월 IFA에 출품한바 있다. 하지만 시제품으로만 선보였을 뿐 상용화는 아직 이뤄지지 않았다.

이번에 국내 업체들이 최초로 8K급 제품을 선보일 경우, 상용화가 빠르게 이뤄질 수 있을 전망이다. 삼성과 LG는 그간 상용화 바로 전 단계의 제품을 CES에 선보여 온 데다, 올해 UHD 시장에서 기선을 잡기 위해 제품 출시를 서두를 것이라는 예상에 따른 것이다. 특히 LCD의 경우, 성장이 정체되면서 차세대 디스플레이 경쟁에서 OLED에 밀려나고 있어 기술 혁신을 통한 경쟁력 향상이 필요한 시점인 것도 이러한 가능성을 더욱 높이고 있다.

업계에서도 삼성과 LG전자의 8K급 UHD 공개 여부에 주목하고 있다. 업체간 경쟁이 심화되고 있는 현실을 감안하면 행사 당일에나 공개 여부가 결정될 전망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실제 공개 여부는 잘 모르겠지만 선적과 운송 작업은 이미 이뤄진 것으로 안다"면서 "양사에서 워낙 극비로 하고 있어 100% 확신할 수는 없지만 가능성은 높다고 본다"고 밝혔다.

또 이번 CES에서 처음으로 공개될 가능성이 높은 가변형 TV에는 55인치 OLED 디스플레이 채택이 유력하게 점쳐지고 있다. 가변형TV는 시청자가 원하는 대로 평면TV의 곡률(휘어짐 정도)을 조절할 수 있는 TV로 플렉서블(Flexible) 형태가 가능한 OLED 기술이 상용화되면서 가능해졌다. 이는 올해 주를 이뤘던 곡면(Curved)과 달리 곡률을 조절해 평면과 곡면이 모두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업계에서는 그동안 고 난이도 디스플레이 기술로 인해 어려움을 겪었으나 최근 문제를 해결, 가변형 TV 시제품 제작이 가능한 수준까지 기술력을 끌어올린 것으로 보고 있다.

곡면 디스플레이를 OLED 외에 LCD에서 구현한 만큼 OLED는 차별화를 위해 가변형 디스플레이에 초점을 맞춰나가기 위해 전시할 것이라는 예상이다. 이미 올해 CES와 IFA 등을 통해 삼성과 LG 모두 55인치 곡면 OLED 제품을 내놓은 경험이 있는 데다 이번에 초대형 제품으로 105인치 곡면 TV용 UHD LCD를 전시하는 만큼 가변형 TV용으로는 50인치대 UHD OLED를 채택할 것이라는 분석이다.

이 외에 삼성전자와 삼성디스플레이는 8인치와 10인치(이상 OLED), 12인치(LCD)대 태블릿용 UHD 패널을 나란히 전시할 것으로 알려졌다. 내년부터 태블릿 시장을 적극적으로 개척하겠다는 의지를 구체적인 실행에 옮기는 것으로 스마트폰과 마찬가지로 프리미엄급 제품은 OLED, 중저가 제품은 LCD라는 투트랙 전략으로 접근할 전망이다.

by 100명 2013. 12. 31. 07:32

콘텐츠 암호화·복사 방지장치도 역부족…“양심 소비 시급”

 

 
 

[컨슈머타임스 민경갑 기자] KT, SK브로드밴드, LG유플러스 등 실시간 방송과 다시보기(VOD) 서비스를 제공하는 IPTV 사업자들이 영상물 불법복제에 골머리를 앓고 있다. 

 

콘텐츠를 암호화 하는 등 각종 방지책을 개발·도입하고 있지만 복제된 드라마나 최신영화가 버젓이 온라인상에서 유포되고 있어 대책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일각에서는 이용자 스스로 양심적인 소비를 해야한다는 자성의 주문도 적지 않다.   

 

◆ IPTV 사업자, 불법 복제에 ‘한숨’ 

 

30일 유료방송업계에 따르면 IPTV 서비스 이용자가 늘면서 영상물 무단복제를 막기 위한 기업들의 고민도 깊어지고 있다.  

 

한국디지털미디어산업협회가 최근 발표한 자료를 보면 KT의 ‘올레tv’는 480만, SK브로드밴드의 ‘B tv’가 203만, LG유플러스의 ‘tv G’가 152만 가입자를 확보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말연시 판촉 마케팅 결과에 따라 새해 1000만 가입자의 문턱에 들어설 것이란 전망이다. 

 

이들 업체는 인터넷을 기반으로 소비자들에게 TV 서비스를 제공한다. 다양한 콘텐츠를 PC, 스마트폰 등과 연동해 즐길 수 있다. 문제는 각종 IT기기를 이용해 복제를 할 수 있다는 점. 

 

KT, SK브로드밴드, LG유플러스 등은 수신제한시스템(CAS)을 운영 중이다. CAS는 유료채널과 영상콘텐츠를 암호화해 불법시청·복제를 방지한다. 소비자의 시청권한, 상품 패키지, 시청연령제한 등을 시행할 수 있는 안전장치인 셈이다. 

 

셋톱박스에 연결된 USB, 외장하드 등 외부장치에 파일 저장도 불가능하다. 

 

이 같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불법복제물은 웹하드, 파일공유사이트(P2P) 등을 통해 빠르게 유통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온라인커뮤니티 등지에서는 ‘IPTV 보호장치 뚫는 법’이 담긴 글을 어렵지 않게 찾을 수 있었다. 영상을 무단 복사가 공공연하게 이뤄지고 있다는 추측이 가능하다. 

 

업계 관계자는 “TV화면을 컴퓨터에 연동시켜 녹화하거나 전문해커가 나서면 손쓸 방법이 없다”며 “국내뿐 아니라 전세계 IPTV 사업자들이 동일하게 겪고 있는 문제인데 이용자 스스로의 인식이 개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IPTV사업자들이 고가의 장비와 기술 개발에 투자하고 있지만 불법복제를 원천봉쇄 하기는 역부족인 상황. 

 

◆ “유포자 추적기술 개발에 초점” 

 

기업들은 콘텐츠 유포자 색출 쪽으로 해결 방향을 잡고 있다. 

 

KT 관계자는 “워터마크 기술을 발달시키면 (콘텐츠)복제자를 찾는 것도 가능하다”며 “추적기술이 현실적 대안이라고 판단,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고 밝혔다. 

 

LG유플러스 관계자는 “영상 콘텐츠에는 자사의 워터마크가 적용돼 있다”며 “이를 통해 해당 콘텐츠의 유통경로를 가늠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전문가들은 소비자들의 양심소비를 강조했다. 

 

저작권보호센터 관계자는 “합법적인 유통시장을 구축하기 위해선 ‘콘텐츠도 돈을 주고 구매하는 상품’이란 (소비자) 인식변화가 무엇보다 우선시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by 100명 2013. 12. 31. 07:24
| 1 |